우리가 읽는 책이 우리 머리를 주먹으로 한 대 쳐서 우리를 잠에서, 깨우지 않는다면, 도대체 왜 우리가 그 책을 읽는 거지?
책이란 무릇. 우리 안에 있는 꽁꽁 얼어버린 바다를 깨뜨려버리는 도끼가 아니면안 되는 거야.
- 1904년 1월, 카프카, 친구 오스카 폴락에게 보낸 편지 중-

땅콩을 거두었다.
덜 익은 놈일수록 줄기를 놓지 않는다
덜된 놈! 덜떨어진 놈!

이 한 줄만으로도 덜된다는 게 이런 얘기구나 알 수 있지 않습니까? 익으면 떨어지는데, 익지 않아 ‘덜떨어진다는 겁니다. 이 한 줄 자연현상이 인간사로 넘어오는 순간입니다. 현기증 나는 차이가 느껴지시나요? 그냥 자연현상인데 순식간에 사람의 것으로 이입이 됩니다. 이 철수는 또 저에게 동양철학과 서양철학, 동양의 삶의 태도와 서양의태도를 가장 극명하게 비교하게 해주었는데요, 그것은 역시 판화 가을사과에 쓴 한 줄의 글이었습니다.

사과가 떨어졌다.
만유인력 때문이란다
때가 되었기 때문이지

사과가 떨어진 걸 만유인력 때문이라고 기어이 과학적으로 밝혀내고야 마는 것은 서양의 장점입니다. 그리고 동양의 장점은 때가 되어서 떨어지는 걸 왜 안달복달 난리들이야 하며 자연을 아우르는 철학입니다.
과학적으로 끌고 온 서양의 담론과 노력은 인정하지만, 동양의 것은 이렇게 쾌도난마亂麻의 느낌이에요. 칼로 퍽 쳐서 단숨에 꼬인 실타래를 확 풀어버리는 맛이 있죠. 서양의 장점이 가져다준 문명적인 혜택,충분히 많습니다. 하지만 그것은 지금의 자연적 재앙도 가져왔습니다.
‘그래서 이제 자연현상을 때가 되었기 때문이라고 파악하는 동양의 지혜가 다시 힘을 발휘해야 할 때가 되었구나 생각합니다

요즘 책을 읽으면서 참 많은 고수들이 일상의 중요성에 대해 깨달았구나 싶습니다. 박재삼이, 존 러스킨이, 헬렌 켈러가 같은 생각을 했어요. 사과가 떨어져 있는 걸 본 최초의 사람이 뉴턴이 아니잖아요. 사과는 늘 떨어져 있지만 아무도 들여다보지 않은 겁니다. 상황에 대한 다른시선, 절박함이 사과를 보고 이론을 정리하게 했죠. 답은 일상 속에 있습니다. 나한테 모든 것들이 말을 걸고 있어요. 하지만 대부분 들을 마음이 없죠. 그런데 들을 마음이 생겼다면, 그 사람은 창의적인 사람입니다. ... 여러분 안에 씨앗이 들어갔으면 좋겠습니다. 그래서 나한테 울림을 줬던 것들이 무엇인지 찾아봤으면 좋겠습니다. 그것이 바로 창의성입니다.

파리가 아름다운 이유는 파리가 아름다워서가 아니라 우리가 그곳에있을 시간이 삼 일밖에 없기 때문입니다. 삼 일 있다가 떠난다는 걸 아니까 모든 게 난리인 겁니다. 에펠탑 봐, 이게 퐁피두래, 이게 샹젤리제거리야. 그런데 만약 거기에서 삼십 년을 산다고 생각해보세요. 그러면그것들이 그렇게 감탄스러울까요? 대한민국, 서울, 우리가 사는 이 공간에도 들여다보면 좋은 게 꽤 많은 것 같습니다. 물론 그런 것들을 들여다볼 수 있는 시선이 있느냐, 없느냐에 따라 다르겠지요. 그러니까 그시선을 길렀으면 좋겠습니다. 여러 번 말했듯 그런 것들을 기르는 데 가장 좋은 것이 책입니다.
기억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감동받는 것이라고 합니다. 그래서인지지식이 많은 친구들보다, 감동을 잘 받는 친구들이 일을 더 잘합니다.감동을 잘 받는다는 건 풍요로운 삶을 살고 있다는 증거이기 때문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