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간이 왜 그렇게 비어 있겠어. 채울 게 없어서가 아니 라니까. 다 비어 있으니 오히려 오는 사람들이 뭘 채울까 생 각하고 가라는 거야."

멋지게 살겠습니다. 가장 저희다운 게 무엇인지, 삶에서 중요한 게 무엇인지 자주 생각하면서요.

....삶은 매순간 출발이었고 도착이었습니다. 사랑이란 소유가 아니라 존재‘라는 말, 이제 너무 많이 남발되어 너덜너덜해진 말 같지만 아마 사랑하면서 가장실천하기 어려운 말이 아닌가 싶어요. 부부가 함께하는 일보다 더 절실한 것은 서로를 존재하게 해 주는 겁니다. 그러려면 그 사랑의 능력이 필요합니다.
삶을 소유나 소비가 아닌 진정한 존재, 자유로운 영혼으로 이끌어 내는 것이 사랑의 힘이라는 말입니다. 뭔가 복잡하고 어려운 것 같지만 이 능력은 ‘배려‘라는 한마디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그동안 가끔 슬쩍슬쩍 눈치챈 바로, 민정씨의 남편 될 친구는 배려에 뛰어난 사람 같아 고마운 마음입니다.
.... 모든 일상이 갓 구운 빵처럼 따뜻하고 촉촉하고 향기롭길 기도할게요.

그래서 자연의 단단한 아름다움에 다시금 겸허해집니다. 누구 재촉한 사람도 없는데, 매 순간 마음을 다하려고애쓰던 시간이 지나고서야 그 길이 전부가 아니었음을 깨닫습니다. 그러니 모든 것은 지나간다는 말은 저에겐 희망입니다.
선생님, 인간은 망각의 동물이라 기억을 선택적으로 편집한다죠. 그렇게 편집한 기억을 건강한 에너지로 만들기위해 제가 취하는 마음 공부법은 ‘기록하기‘입니다. 제 안에 흐르는 감정을 명료한 문자로 드러내며 마주하는 일은 어느대문호의 문장을 찾아 읽을 때보다 마음을 단단히 잡는 데움이 됩니다. 선택적으로 편집한 것이라는 한계도 있지만....

긍정적으로 생을 이끌어 나가는 것은 어쩌면 부끄러운 기억을 잊지 않고 마주하는 데서 출발하고, 나아가 자신의 삶과 자신이 사는 사회를 깊이 성찰하는 데로 이어지리라 생각합니다. 이때 성찰은 바른 수행법으로, 수행은 절대적 실천으로 이어져야 하겠지요. 그러한 실천이 한순간의 절정을 지나 꺾이지 않고, 자연스레 매 순간 충만한 일상으로자리하기를 바라는 계절입니다.

게으른 고뇌는 독이 된다 말하면 너무 잔인할까요.
꼬리를 물고 제자리에서 맴도는 고뇌는 자신에게도 타자에게도 아무 유익이 없습니다. 화살 같은 방향성 있는 고뇌가중요하고, 여기엔 진정한 용기가 필요합니다. 우린 일상에 너무 바쁘고, 계속 자신을 합리화하기에 급급하니까요. 실천하지 않으면 성장하지 않습니다. 기록하는 일은 늘 깨어 있어야 가능한 작업입니다.

우리가 사랑이라고 부르는 것들. 그것들은 언제나 성실한 노동과 긴 기다림과 통증 깊은 희생과 눈물 묻은 기도임을 알게 됩니다. 그러한 요소들이 우주를 무한히 생성해내는 참 에너지겠지요. 인생은 나그넷길이라며 그저 왔다가그저 가는 길이라고, 그러니 현실에 눈감고 무심해도 괜찮다고 말하고 싶은 순간도 있었지만, 이젠 매 순간이 튼튼하고치밀한 사랑이 될 수 있어야 한다는 책임감을 느낍니다.

특히 ‘치열하게 애쓰지만 아무것도 드러나지 않는 정적‘이란 구절이 정말 가슴에 다가왔어요. 무위의 매력입니다. 그리고 ‘모든 걸 알고 있지만 역시 쉽지 않은, 인간적인너무나 인간적인 그대와 나에도 공감합니다. 우리 모두는 그렇지요. 어쩔 수 없는 한계적 존재입니다.
하지만 인간은 그렇게 고민하면서 한 걸음씩 매력을키워 갑니다. 칠십이란 나이를 종심從心이라고 하는데, 아무리 비범한 사람이라도 최소한 칠십까지는 고뇌를 계속한다는 뜻이겠지요. 나도 욕심쟁이라 참 많은 것을 고민했던 것같아요. 그 고뇌의 높이와 넓이, 부피가 어줍긴 하지만....

자기를 뺏기지 않는 삶, 자신의 영혼을 빼앗기지 않는 삶, 생각을 뺏기지 않는 삶입니다.
하나로 뭉친다면 ‘자기다운 자기‘를 사는 삶이겠지요. 여기에는 어떤 등급도 어떤 시선도 중요하지 않습니다. 그저 가장 자연스러운 나만 이 끝없는 설원에 홀로 눈새기꽃처럼 피어납니다. 훈련된 관념으로 자기를 지시하지도 않고, 쉽게 자만하거나 쉽게 비하하지도 않으면서 아름답고 치열하게 그러나 잠잠히 살아가는 것. 그 매력을 다시 배워야겠어요.
두 번째는 알면서도 흔쾌히 속아 주는 관대함‘ 입니다.
나이가 들고 보니 내게 알면서도 속아 준 어른들이 있었다는 걸 깨닫습니다. 참 고마운 일들입니다. 예전엔 속는 것인지도 몰랐고, 속지 않으려도 했고, 크건 작건 속았다 싶을땐 분노와 우울을 느꼈지요. 지금은 일부러 속아 주는 경우가 많습니다. 스스로 손해를 보는 재미가 쏠쏠합니다. 또 모르고 속은 경우에도 그다지 화가 나지 않습니다. 모든 것이내 생각대로 되는 것이 아님을 압니다. 상황에 따라 내 의지는 다양한 행동으로 전개될 수밖에 없더군요. 변검술처럼말이에요. 그래서 상선약수上善藥水, 말 그대로 물의 지혜를 따 라갈밖에요. 나이란 그래서 좋은 것이더군요.

행복은 앞에 있어 잡으러 다닐 대상이 아니라, 뒤에서 부지런히 따라오는 존재라고 믿으면서요

백사람이 한번 읽는 시를 쓸 것인가, 한 사람이 백번 읽는 시를 쓸 것인가....

금강경 사상의 핵심인 ‘빌 공空과 공유에 쓰이는 ‘함께 공共은 글자는 다르지만, 서로 닿아 있습니다. 내 것이 아니라는, 모두의 것이라는 생각이 있으면 바로 空을 깨달을수 있습니다. 함께에 닿아 있다는 것, ‘나‘, ‘내 것이 아님을안다면 얼마든지 공유하고 공존할 수 있지요. 내가 가진 돈이 ‘내 것이 아니라, 모두 나누어 써야 하는 ‘모두의 것‘이라는 이치를 알면 우리 사회는 얼마든지 넉넉할 수 있습니다.
그것이 무소유라는 가르침이지요.
무소유의 가르침은 연기緣起의 법칙에 닿아 있습니다.
난 불교 철학에 관심이 있어, 깊진 않지만 꾸준히 묵상하고공부하는 편입니다. 또 힌두 철학이나 유대 신비주의, 이슬람 신비주의를 기웃거리기도 합니다. 예순 살이라는 나이에이른 지금은 내가 기독교의 윤리에 깊이 접속되어 있음을 새삼 발견하면서, 동시에 이 모든 종교와 철학이 하나같이 생병의 진리, 시간의 진리, 존재의 진리임을 깨닫습니다.

질문하는 힘을 기르고 싶다는 말, 반가워요. 질문을소홀히 하지 않는다면 얼마나 눈부신 진실들이 우리를 따뜻하게 할까요. 진정한 미래란 제대로 볼 수 있고, 제대로 물을 줄 아는 힘에 있음을 믿어요. 그 질문이 우리를 글 쓰게하는 힘이지요. 문득 만나는 날, 기대하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