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은 음들의 조합이고 목젖과 혀로 음의 파열에서 생기는 다양한 음성인데, 이는 알라가 인간의 신체기관과 혀를 빌려 창조한 것이다.
인간은 생각을 말로 타인과 교류할 수 있는데 이것이 사고를 교류하는 첫 단계이다. […] 보이지 않는 곳에 존재하는 이, 몸이 멀리 떨어져 있는 이, 후세의 사람, 동시대인이 아니어서 만나 본 적도 없는 사람에게 자신의 생각을 보내는 것이 두번째 단계이다. 이것은 글의교류로 이루어진다. (이븐 칼둔, 『무깟디마 2, 김정아 옮김, 소명, 2012,
386쪽)

누구든 천지인의 이치를 깨닫게 되면, 그 순간 바로 진리의 전령사가 된다. 얇은 곧 교 동이므로, 그 파동에 몸을 맡기게 되어 있다.
서양에서는 문자의 역할이 훨씬 두드러졌다. 유대교는 특히
‘책의 종교‘였다. 이슬람의 경전인 코란은 그 의미 자체가 읽어라!‘라는 뜻이다. "신이 세계에 내려 준 것은 글이다. 아담이 동물에 처음으로 이름을 부여했을 때, 신은 단지 가시적이고 말없는 표지를 읽게 했을 뿐이다. 율법 역시 인간의 기억이 아닌 석판에 새겨졌다. 그리고 참된 말씀을 재발견해야 하는 것은 바로 책에서이다.

비주네르와 뒤레는 둘다 거의 동일한 용어로, 자연에서는 돌이고 어쩌면 인간의 지식에서조차, 글이 말보다 언제나 선행했다.
고 단언하곤 했다."(푸코, 『말과 사물』, 이규현 옮김, 민음사, 2012, 75쪽)말과 글 중에서 어느 것이 더 우선하는가는 핵심이 아니다. 말과글은 늘 서로 갈마든다. 때론 유연하게 어울리고, 때론 심오하게맞서면서. 하지만 그 본질은 동일하다. 천지인을 연결하는 가장 보편적이고도 신성한 행위라는 점에서 말이다.
이 우주적 차원의 SNS는 무한한 변주 속에서 스마트폰과 함께 ‘정보, 검색, 페북, 카톡‘ 등의 방식으로 우리에게 도래했고, 또그 어디론가 흘러갈 것이다. 그리고 그 흐름은 결코 멈추지 않을것이다. 존재와 세계가 완벽하게 ‘통하는‘ 그 순간까지..

나무는 직립한다. 뿌리는 땅속 깊은 지하세계를, 가지는 하늘을 향해 뻗어 나간다. 사람의 형상과 닮았다. 하늘과 땅을 연결하는 존 재라는 점에서 상통한다. 그래서인가. 나무는 하늘의 메시지를 전달하는 역할을 자임했다. 태곳적 숲은 신성한 영역이었다. 나무는샤먼들에게 영감을 주는 원천이었다. 문명이 시작되자 나무는 지식을 전달하는 전령사가 된다. 처음엔 죽간으로, 그다음에는 종이로, 종이가 발명된 지 1,900여 년, 문자는 종이와 만나서 책이 되었다. 문자를 통해 지식과 지혜를 더 길게, 더 멀리 전달하고자 하는 열망은 마침내 책을 창조했다. 나무가 인류에게 선사한 최고의 선물 이다.

나무는 오행상 목(木)기에 해당한다. 목기는 태양과 동람, 그리고 교육을 상징한다. 배운다는 것은 곧 책을 읽는다는 지을 의미한다. 나무가 아니었다면, 종이가 없었다면, 지혜는 여지히 허공을 맴돌고 샤먼이나 가객의 기억을 통해 말로 전승되고 있을 것이다. 말이 문자로 변이되고, 그것이 다시 종이를 만나 책이되면서 지혜는 듣기에서 읽기로 변주된다. 배운다는 것은 듣고 읽는 것에서 시작한다. 듣기에서 읽기로 전환되면서 지식은 양적으로 폭발하고 질적으로 변이한다. 샤먼이나 사제들 혹은 엘리트라는 지배계급에서 점차로 보통사람들 속으로 스며들었다. 지나가는 누구에게나 그늘을 허락하고 쉼터를 허락하는 나무, 그리고 그나무들의 집합체인 숲이 그러하듯이, 인도문명이 영성탐구의 센구자가 된 까닭도 북인도 지역을 장식하는 숲으로 인해서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