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가 천재를 죽였는가 - 고 최인호 작가 다섯 번째 유고집
최인호 지음 / 여백(여백미디어) / 2017년 6월
평점 :
절판


도시에서 맞는 아침은 대개 혼미하거나 텁텁하다. 그것은 날씨와는 무관한 현상이다. 청명한 가을 아침에도, 구름 한 점 없는 어느 봄날에도 텁텁한 느낌은 가시지 않으니까. 다만 바람이 없는 여름철에 그 농도가 진해질 뿐 일 년 열두 달 중 어느 한 달이라도 맑고 개운한 느낌을 받지는 못한다. 그래서인지 도시인들은 이따금 과거로의 퇴행을 거듭하곤 한다. 늦여름이나 초가을의 어느 이른 아침, 햇살을 받아 영롱하게 빛나는 거미줄의 이슬방울들. 아이들은 그 투명한 아침의 공기를 뚫고 잠자리 잡을 생각에 들뜬다. 가는 나뭇가지를 타원형으로 구부려 테를 만든 뒤 긴 자루에 묶고 나서 여기저기에 쳐져 있는 거미줄을 테에 붙여서 잠자리를 잡을 수 있는 잠자리채를 만드는 게 기본이다. 거미줄에 붙어 퍼덕이는 잠자리를 손으로 떼어내며 무심코 바라보았던 하늘. 더없이 투명했던 어느 아침. 그런 식의 퇴행은 마치 이제는 가질 수 없는 어떤 대상에 대한 동경이나 아련한 향수처럼 읽힌다.

 

어릴 적 어느 한 시절로의 퇴행은 비단 한토막의 추억에서 그치지 않고, 그 시절에 유행했던 노래나 영화, 소설이나 시 등 다양한 것들로 전이된다. 모호하거나 에둘러 표현하는 방식으로 자신의 속내를 감추는 요즘의 작가들과는 달리 거칠지만 순박했던 당시의 어느 인기 작가의 소설이나 산문이 또한 그리워지는 것이다. 2,30년도 더 지난 어느 작가의 글을 읽고 있노라면 이맘때의 나리꽃이 피듯 그 시절의 추억이 몽글몽글 피어나곤 한다.

 

최인호의 산문집 <누가 천재를 죽였는가>를 읽게 된 것도 그런 이유였다. 작가의 유고집 <눈물>을 읽었던 게 엊그제 같은데 작가가 떠난 지도 벌써 만 4년이 다 되어가고 있다. 이 책에 실린 글들은 대개 절판되어 다시 접할 수 없는 30~40년 전에 쓴 작가의 초기 글들을 비롯해 습작노트와 신문, 잡지, 문예지 등에 기고한 원고들이다. <눈물>이 작가의 말년을 기록한 책이라면 이 책은 그보다 훨씬 어린, 젊은 시절의 작가를 떠올리게 한다. 작가를 꿈꾸었던 어린 시절부터, 생의 마지막까지 작품을 구상했던 모습까지 대부분의 시간들이 이 책에 녹아있지만 낡았다거나 진부하다는 느낌이 들지 않는 까닭은 작가의 쉼 없는 열정 때문이 아니었을까.

 

"우리가 신이 부활하였으므로 신을 믿는 것과 같이, 새벽이 있으므로 밤을 인내하는 것과 같이, 오늘 우리 세대에 젊음이 있으므로 우리의 슬픔을 오늘날의 인내로 극복하는 것과 같이 우리의 이 모든 슬픔을 용서해 주시옵소서." (p.36 '우리를 슬프게 하는 것들' 중에서)

 

시대를 풍미했던 그도 한 사람의 연약한 인간이었던지라 도덕적으로 완벽하지 못하였고, 젊은 시절의 치기와 열정으로 인해 때로는 사람들의 입방아에 오르내렸고, 인기와 더불어 세인들의 시샘이 그의 허물에 더하여졌으니 그의 작품과는 별도로 그를 비난하는 사람들도 많았던 게 사실이다. 그러나 스물일곱 살의 젊은이였던 그도, 투병 중에 있었던 말년의 그도 역사에 대한 해박한 지식으로, 뛰어난 상상력으로, 천재적인 예술성으로 우리 시대를 논하였고 자신의 작품으로써 미진한 시대를 위로했다.

 

"내 젊은 시절을 이제 거의 지내고, 밤마다 나는 검은 재처럼 스러지는 나의 빛나는 청춘을 본다. 나의 젊은 시절은 묵은 책갈피에 끼워진 건조한 낙엽 몇 장처럼 이미 죽어 있었지. 그것은 무엇을 의미하는 것일까. 그것은 이제 전갈보다 깊은 표정을 하고 술을 마시고, 세금 인상에 눈 부릅뜨는 일상사에 젖어 합창보다 시끄러운 여론에 깜짝깜짝 놀라고 몇 개의 거짓말, 몇 개의 허위 속에 침몰한다는 얘기겠지." (p.126 '꽃을 노래함' 중에서)

 

이 책의 제목이기도 한 '누가 천재를 죽였는가'는 천재 화가 이인성의 어처구니없는 죽음을 소설체 형식을 빌려 재현한 글이다. 통행금지가 있던 해방 직후 해방의 기쁨으로 술에 취한 천재 화가는 같은 동포였던 치안대원의 총 한 방으로 어이없이 죽었던 것이다. 이인성의 죽음을 안타까워했던 작가는 그의 죽음에 대한 책임이 동시대인 모두에게 있다고 말한다. 그리고 천재는 신에게서 태어나는 것이며, 천재를 가늠하는 척도가 인품이라고도 한다.

 

"그렇다. 수학을 잘 한다고 천재 수학자는 아니다. 문재文才가 뛰어나다고 천재 작가는 아니다. 천재를 가늠하는 척도는 인품이다. 그렇다고 인품을 지닌 것만으로 우리는 천재라고 하지 않는다. 인품이 풍기는 재능을 가졌을 때, 우리는 그를 진정한 천재라고 부른다. 그러므로 나는 천재가 아니다." (p.233 '천재란 누구인가' 중에서)

 

자신의 소설을 영화화 한 '별들의 고향'과 '바보들의 행진'이 폭발적인 흥행기록을 올리면서 졸지에 스타작가가 되었던 그는 <걷지말고 뛰어라>를 통하여 영화감독으로 데뷔하기도 했었다. 그러나 그는 영화보다는 작가로서의 삶이 더 어울리던 사람이었다. 여배우와의 염문설 등 수많은 스캔들에 시달리면서도 연애소설을 쓰고 싶어했던 그는 천생 작가였다.

 

"아아, 그런 의미에서 나는 연애소설을 쓰고 싶다. 모든 여성들의 가슴에 화전민이 되어 불을 지르고 그 타버린 폐허에서 씨를 뿌려 나날의 양식을 거둬들이는 그런 연애소설을 쓰고 싶다. 내가 쓰는 소설은 '연애를 연애하는' 그런 연애소설이 될 것이다." (p.312 '나는 연애소설을 쓰고 싶다'중에서)

 

텁텁한 공기와 끄느름한 하늘, 그리고 숨 막히는 더위. 청량한 아침 공기가 몹시도 그리웠던 오늘, 닿을 수 없는 어떤 것에 대한 동경과 향수의 마음으로 나는 <누가 천재를 죽였는가>를 읽었다. 중국의 인권 운동가이자 노벨 평화상 수상자인 류샤오보의 사망 소식을 들었고, 그가 했던 말을 조용히 음미했다. "증오는 지혜와 양심이 아니다. 적대적인 감정은 국가의 영혼을 오염시키고, 야만적인 삶을 악화시키고, 사회의 관용과 인간성을 파괴한다. 또, 국가가 자유와 민주를 향해 나아가는 것을 방해한다." 투명한 아침햇살을 그리워 하듯 그 시절의 글이 기리워질 때가 있다. 동경은 사라져가는 모든 것에 대한 반작용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