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맛비가 내리는 일요일 한낮. 높아진 습도와 후끈한 열기로 바깥 공기는 후텁지근하다. 눅눅한 게으름이 휴일 도심을 뒤덮은 듯 거리를 오가는 사람들의 발걸음은 마냥 무겁게만 보인다. 그렇게나 바라던 장마가 아니었던가. 그러나 장맛비에 대한 반가움도 잠시, 금세 높아진 습도 탓인지 변덕이 심한 도시인들의 환대는 오래 가지 못한다.
지독한 가뭄이었다. 비 한 방울이 아쉬웠던 메마른 대지와 지독한 갈증을 묵묵히 견뎌야만 했던 숲의 나무들을 보며 나는 그동안 많은 생각을 했다. 불황기에는 기반이 튼튼하지 못한 젊은이들이나 흥청망청 손이 큰 사람들이 타격을 받는 것처럼 가뭄에는 활엽수의 어린 나무들이 가장 먼저 말라 죽는 걸 보았다. 가뭄이 지속되는 동안 숲은 그먀말로 치열한 생존경쟁의 장이었다. 뿌리가 얕은 어린 나무들이 시름시름 말라 죽는 모습을 곳곳에서 볼 수 있었다. 가을도 아닌 한여름에 서글픈 낙엽이 지고 있었다.

큰 나무들이 우거진 숲일수록 어린 나무들은 더 빨리 말라 죽었다. 불황이 계속될 때 가난한 사람들이 쉽게 고사(枯死)하는 것과 크게 다르지 않아 보였다. 경기 불황이 어어지는 가운데 지난해 새로 창업한 사업자가 122만 명이 넘었던 반면 폐업한 사업자가 91만 명에 이르렀다고 한다. 안타까운 일이다. 그럼에도 종교인들은 자신들의 재산을 지키기 위해 안간힘을 쓰는 듯하다. 내년 1월부터 시행되는 종교인 과세에 대해 집단적인 반발 움직임을 보이니 말이다.
이를 보도하는 언론인들 또한 국민들을 우롱하는 듯한 모습을 보인다. <'종교인 과세' 간담회 착수..종교계 반발>과 같은 제목을 붙임으로써 종교인 전체가 과세에 반대하는 듯한 뉘앙스로 읽히기 때문이다. 이미 세금을 내고 있는 신부님들이나 수녀님들로부터 이 제도가 잘못되었다거나, 종교인 과세가 부당하다는 말을 나는 단 한 번도 들어본 적 없다. 불교계에서도 기본적으로 찬성하는 입장이고 반대하는 건 오직 개신교 목사들뿐이다. 무당과 같은 사이비 종교인들은 혹 반대할런지도 모른다. 그들은 세금 몇 푼 내는 게 문제가 아니라 자신들의 소득이 밝혀지는 게 두려운 것이다. 과도한 축재를 하면서도 신도들로부터 존경과 권위를 인정받던 사람들이 자신들의 재산이 밝혀짐으로써 하루 아침에 나락으로 떨어질 수 있다는 걸 그들이라고 왜 모르겠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