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하루하루가 이별의 날
프레드릭 배크만 지음, 이은선 옮김 / 다산책방 / 2017년 6월
평점 :
우리는 저마다 '남다르게 평범한 인생'을 살아가는 게 아닐까 싶어요. 지구가 생겨난 이후 완전히 똑같은 날씨는 단 하루도 없었다는 것처럼 깨알같이 많은 사람들이 살다가지만 서로가 서로를 완벽하게 닮은 삶을 살았던 사람은 결코 존재하지 않겠지요. 어제와 오늘의 날씨가 비슷해 보이고 나와 당신의 삶이 그닥 크게 다르지 않은 것처럼 보이기는 하지만 말입니다.
프레드릭 배크만의 소설 <하루하루가 이별의 날>은 비록 남들이 볼 때는 평범해 보일지라도 우리들 삶이 우리를 기억하는 특별한 사람들에게 만큼은 특별한 의미로 남을 수밖에 없다는 사실을 동화처럼 투명한 언어로 독자들에게 전달하고 있습니다. 나는 사실 칼릴 지브란의 <예언자>를 잘 각색된 소설로 다시 읽고 있는 게 아닌가 하는 생각에 잠시 혼란스러웠습니다.
책에는 할머니를 먼저 떠나 보낸 후 혼자가 된 할아버지와 사랑하는 손자 노아, 할아버지의 아들이자 노아의 아빠인 테드, 인생의 절반을 함께 했던 과거 기억 속의 할머니가 등장합니다. 작가의 의도도 그러햇겠지만 이 소설에 등장하는 인물의 특성은 그닥 중요하지 않은 듯 보입니다. 점점 기억을 잃어가는 할아버지는 자신의 현재 상태와 언젠가 닥쳐올 이별의 순간을 위해 손자인 노아에게 삶에 필요한 여러 진실들을 조곤조곤 들려줍니다.
"이 책은 기억과 놓음에 대한 이야기다. 한 남자와 그의 손자, 한 아버지와 아들이 주고받는 연서이자 느린 작별 인사다. 솔직히 누군가에게 보일 목적으로 시작한 원고가 아니었다. 나는 글로 적어야 이해할 수 있는 사람이기에 그냥 내 생각을 글로 정리하려고 했을 뿐이다." (p.7 작가의 말)
삶의 어느 한 순간이 끊임없이 재생되고 현실로 돌아오는 시간마저 점점 길어지고 있는 노인은 현실이 완전히 녹아내려 집으로 돌아오는 길을 영원히 찾을 수 없는 순간이 자신에게도 곧 닥쳐오리라는 걸 사랑하는 어린 손자에게 마치 한 편의 동화처럼 들려줍니다. 광장의 벤치에 앉은 할아버지와 노아는 할머니의 정원을 가득 채우던 히아신스의 달콤한 향기를 맡고 있습니다.
"할아버지는 노아 쪽으로 몸을 숙이고긴 잠 속으로 빠져들려는 사람처럼 숨을 뱉는다. 두 사람 중 한 사람은 점점 자라고 한 사람은 점점 작아져서 몇 년이 지나면 중간에서 만날 수 있을 것이다." (p.112)
수학을 좋아하는 두 사람은 그것 말고도 서로 통하는 게 많습니다. 글쓰기와 기타치기를 좋아했던 노아의 아빠 테드와는 달리 수학을 좋아하는 노아와 할아버지는 서로 한 몸인 양 느끼는 듯합니다. 그러므로 할아버지가 노아에게 하는 말은 어쩌면 자신이 노아만 했던 과거의 자신을 향해 던지는 혼잣말인지도 모르겠습니다. 할아버지와 노아는 이따금 할머니와의 추억을 공유하기도 합니다.
"할아버지는 우주의 나이가 130억 년이 넘는다고 노아에게 잊을 만하면 한 번씩 이야기한다. 할머니는 늘 중얼거렸다. "그런데도 당신은 그 우주를 쳐다보느라 바빠서 설거지를 할 시간도 없다 이거죠." 할머니는 노아에게 가끔 "바쁘게 사는 사람들은 항상 뭔가를 바쁘게 놓치면서 사는 거야."라고 속삭였지만 노아는 할머니가 돌아가실 때까지 그게 무슨 소리인지 이해하지 못했다." (p.67)
이별은 누구에게나 두렵고 가슴 아픈 일일 테지요. 더구나 사랑하는 사람을 영원히 다시 볼 수 없는 상실의 고통은 말해 뭐하겠습니까. '영원'이라는 말처럼 아득한 게 또 있을까요? 그러나 자연 속에서 평생을 사는 우리 역시 자연의 순리를 거역할 방법은 없습니다.
"아빠가 저녁에 할머니, 할아버지 집으로 데리러 오면 할머니는 작별 인사를 못 하게 했다. "하지 마라, 노아야. 내 앞에서 그 소리는 하지 마! 네가 떠나면 이 할미가 늙잖니. 내 얼굴에 새겨진 모든 주름이 너의 작별 인사야." 할머니는 이렇게 푸념을 늘어놓곤 했다." (p.75)
<오베라는 남자>로 우리에게 잘 알려진 프레드릭 배크만은 이 책에서 웃음기를 싹 뺀 진지한 언어로 생로병사의 피할 수 없는 변화를 우리가 어떻게 하면 두려움 없이 대할 수 있을지 차분하게 풀어내고 있습니다. 아무리 연습해도 익숙해지지 않는 경험이지만 두껍지 않은 이 책을 반복하여 읽다 보면 어느 순간 두려운 마음을 속으로만 갈무리한 채 마지막 이별의 순간에도 우리는 당황하거나 호들갑스럽지 않은 모습으로 담담히 수용할 수 있을런지도 모르겠습니다. 노아에게도 마음의 굳은살이 꾸덕꾸덕 생겨나 이별의 순간에도 의연하게 대처하기를 바랐던 할아버지처럼 독자들도 그러하기를 작가는 원하고 있을 테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