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쓰고 읽다
고종석 지음 / 알마 / 2016년 12월
평점 :
쓰는 일과 읽는 일을 한 줄에 놓고 비교할 수는 없다. 읽는 것에 비해 무엇인가를 쓴다는 행위는 쓰는 이의 노력도 노력이지만 품이 여간 많이 드는 게 아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무시로 책을 읽는 이는 많아도 책을 쓰겠노라 감히 엄두를 내는 사람은 많지 않은 것이다. 그래서인지 글 쓰는 일을 업으로 하는 사람들의 책 읽기는 독자들의 관심사가 되곤 한다. 그들은 어떤 책을 읽는지, 어떤 방식으로, 심지어 어느 시간대에 등 모든 게 궁금한 것이다. 따지고 보면 글 쓰는 일을 업으로 한다 뿐이지 일반인의 책 읽기와 크게 다를 것도 없는데 말이다.
고종석의 <쓰고 읽다> 역시 독자들의 궁금증을 충족하기 위한 책이 아닐까 싶다. 시사주간지 '시사IN'에 2015년 10월부터 2016년 9월까지 연재한 [독서한담]과 2015년 8월부터 2016년 2월까지 '경향신문'에 연재한 [고정석의 편지]를 한 권의 책으로 엮은 이 책은 작가가 지금까지 읽었던 책을 구어체 문장으로 소개하고 있다. 기자로 단련되었던 그가 익숙지도 않은 구어체 문장으로 글을 쓴다는 건 쉽지 않았을 터, 작가도 그런 사실이 몹시 신경 쓰였던지 [독서한담]의 끝머리에 다음과 같이 쓰고 있다.
"이제 작별의 시간이 됐네. 이 난에서 나는, 돌아가신 이오덕 선생의 가르침에 따라, 구어체의 글쓰기를 시도해봤어. 내 말투, 내 글투가 불편했던 독자들도 있었을 거야. 이 구어체 글쓰기가 성공했는지 실패했는지를 판단하는 건 독자들의 몫이지. 지난 여름이 유독 뜨거웠으니, 이 가을은 풍성한 결실의 철이 됐으면 좋겠어. 모두들 강건하시길!" (p.152)
이 책에서 작가가 소개하는 많은 책들 중에 유독 나의 기억에 남았던 책은 김욱이라는 법학자가 쓴 <아주 낯선 상식>이었다. 그것은 작가의 최근 행보와도 무관치 않아 보였다. 알만한 사람은 다아는 사실이지만 작가는 잘 알려진 '반노인사'일 뿐만 아니라 절필 선언 후 트위터에 남긴 수많은 단문들을 볼 때 그의 정치적 색채는 '극력 반노'에 가까운 사람이다. 그렇다고 박정희를 우상으로 떠받드는, 반쯤 눈이 먼 '극력 우파'라고 할 수도 없다. 그는 박정희 노무현의 영남패권주의를 강력한 어조로 비판하는, 말하자면 지역에 기반을 둔 한국적 민주주의 체제에 반기를 든 사람이라고 보아야 할 것이다.
작가는 사실 시쳇말로 스펙이 화려한 사람이다. 성균관대 법대를 졸업하고, 서울대에서 언어학 석사, 파리 사회과학고등연구원에서 박사과정을 수료하였을 뿐만 아니라, 코리아타임스 기자로 출발하여 한겨레와 시사저널 등을 거치며 논설위원 편집위원을 지냈고, 이후 한국일보에서 논설위원으로 신문사 근무를 마쳤으니 말이다. 언론인들의 정치권 영입이 하나의 유행처럼 번지는 마당에 그도 일찌기 정치에 뜻을 뒀더라면 오래전에 국회의원 배지를 달았을지도 모른다. 그러나 우리시대 '글쟁이'로써 한 획을 그었던 그는 2012년 9월 돌연 절필을 선언했었다. '글은 세상을 바꾸는 데 무력해 보였다.'는 게 그 이유였다. 전남 여수가 고향인 그에게 깨지지 않는 영남패권주의 신화는 넘을 수 없는 장벽이었는지도 모른다.
"한국사회에 분명하게 작동하고 있는 영남패권주의를 지식인들조차 모른 체해. 그것을 절대 변경할 수 없는 디폴트값으로 정하고, 그 위에서 보수니, 진보니, 개혁이니 하는 얘기를 하는 거지. 그렇지만 개혁이나 진보라는 것이 차별과 양립할 수 없다면, 나는 영남패권주의를 우회하는 개혁담론이나 진보담론은 다 거짓말이라고 생각해. 가짜 개혁담론이자, 가짜 진보담론이라는 뜻이지." (p.54)
그랬던 그가 이제는 대선 출마를 염두에 두고 있는 모양이다. 그 스스로 무소속으로 대통령 출마를 하겠다는 것이다. 다양한 분야의 책에 관심을 갖고 온전히 빠져들었던 소년은 자라 어른이 된 후 자신의 글로 세상을 바꿔보자 결심했었는지도 모른다. 그러나 세상이 어디 자기 뜻대로 움직여 주던가. 누구에게나 마음의 상처는 한이 되고 결국에는 저승으로 가는 노자인 양 쓰이는 게 다반사이지만 작가는 그마저도 싫었던 모양이다. 이제 흰머리 희끗희끗한 노인이 되어 자신의 쌓인 한을 대통령으로 풀려 하니 말이다. 노작가의 헛된 꿈이 왠지 짠하기만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