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으로서의 소설가
무라카미 하루키 지음, 양윤옥 옮김 / 현대문학 / 2016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블로그에 글을 올리면서 몇 번 밝힌 적이 있지만 나는 하루키의 열성 팬입니다. 그가 쓴 소설은 물론 에세이 또한 읽지 않은 게 없고, 그의 광팬임을 자처하는 임경선 작가의 책('하루키와 노르웨이 숲을 걷다', '어디까지나 개인적인')이나 일본의 대표적인 문예비평가인 고모리 요이치가 쓴 책('무라카미 하루키론')과 말의 권위자 사이토 다카시가 쓴 책('사랑하고 있다고, 하루키가 고백했다') 등 하루키와 관련된 책이라면 가리지 않고 모조리 읽었습니다. 이렇게 말하는 내가 조금 섬뜩한가요? 혹시 하루키의 사생팬이 아닌가 싶어서 말입니다.

 

평소에 독서를 좋아하여 즐겨 책을 읽기는 하지만 예전부터 좋아하던 작가라고 해서 그/그녀의 전작(全作)을 무작정 읽었던 적은 없었던 듯 싶은데 그런 면에서 하루키는 내게 특별한 작가였었나 봅니다. 내가 이토록 하루키를 탐닉하게 된 데에는 나름의 어떤 이유가 있지 않았을까? 이따금 생각하게 됩니다. 나로서도 참으로 신기한 일이 아닐 수 없습니다만 아무리 곰곰 생각해봐도 그 이유를 도무지 알 수 없습니다. 다만, 그의 소설이나 에세이가 다른 작가와 비교하여 이러이러한 점에서 확실히 다르다는 건 몇 가지 말할 수 있을지도 모르겠습니다.

 

당연하게도 나는 최근에 나온 하루키의 신작 <직업으로서의 소설가>를 읽었습니다. 삼십오 년 동안 지속적으로 소설을 써오면서도 자신을 세상 밖으로 드러내는 걸 극도로 꺼렸던 작가이기에 자신의 이야기를 책으로 썼다는 사실이 다소 의외로 받아들여지기는 했습니다. '이 정도 썼으면 됐다' 생각하여 소설가로서 은퇴를 선언하거나 절필을 결심하기 전에는 자신의 이야기를 결코 쓰지 않을 줄 알았는데 아직 일흔도 되지 않은 나이에 이런 책을 출간하리라고 누가 생각이나 했겠습니까.

 

"내가 오랜 세월에 걸쳐 가장 소중하게 여겨온 것은(그리고 지금도 가장 소중히 여기는 것은) '나는 어떤 특별한 힘에 의해 소설을 쓸 기회를 부여받은 것이다'라는 솔직한 인식입니다. 그리고 나는 어떻게든 그 기회를 붙잡았고, 또한 적지 않은 행운의 덕도 있어서 이렇게 소설가가 됐습니다." (p.58)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 잘 알려진 유명 작가인 까닭에 그가 살아온 삶이나 세계관, 가치관, 직업관 등 작가가 직접 책으로 쓰거나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았어도 이미 그에 대한 세세한 부분까지 다 밝혀진 마당에 더이상 말할 게 남아 있을까, 싶겠지만 그는 아마도 소설가로서 살아왔던 자신의 반평생에 대하여 약간의 변론이나 반론이 필요했었나 봅니다. 그것은 아마도 일본의 기성 작가들과 다른 스타일의 글쓰기, 일본 문단과 동떨어진 행보, 작가만의 독특한 생활 습관 등 다름에서 오는 오해와 불신을 그 나름대로 변명하거나 합당한 이유를 들어 설명해야 할 필요성을 느꼈기 때문일 것입니다.

 

"내 작품은 현재 50개 이상의 언어로 번역되었습니다. 나름대로 크나큰 달성이라고 자부합니다. 이건 바꿔 말하면 다양한 문화의 다양한 좌표축 위에서 내 작품이 평가된다는 뜻이니까, 나는 한 사람의 작가로서 기쁘게 생각하고 또한 자랑스럽게 느낍니다. 하지만 '그러므로 내가 해온 일이 옳다'라는 식으로 생각하는 것도 아니고 그런 말을 입에 올릴 생각도 없습니다. 그건 그거고 이건 또 이것이지요. 나는 아직 발전 도상의 작가고, 나의 여지라고 할까 '발전 가능성'은 아직 (거의) 무한하게 남겨져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p.314)

 

작가는 이 책에서 소설가로서 자신이 경험했던 다양한 것들에 대해 쓰고 있습니다. 소설가의 자격에 대해서, 문학상에 대해서, 오리지낼리티에 대해서,소설의 내용에 대해서, 소설가가 지향하는 독자층이나 소설의 등장인물에 대해서 등 소설 쓰기에 대한 자신의 경험이나 생각을 소상하게 밝히고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자신이 소설가가 된 계기며, 학창시절과의 연관성이며, 전업 작가가 되기로 결심한 이후의 달라진 습관이나 경험, 미국에 진출했을 때의 경험과 개인적으로 존경하는 가와이 하야오와의 만남 등을 자세히 들려줍니다.

 

'무라카미 자전적 에세이'라는 부제가 붙은 이 책은 그가 썼던 다른 에세이집과는 확연히 구별되는 점이 있습니다. 한 문장 한 문장이 그렇게 진지할 수가 없다는 것입니다. 조금 심하다 싶을 정도로 말이지요. 자신의 이야기를 글로 쓰는 데서 오는 머쓱함이랄까, 아니면 쑥스러움이랄까 작가 본인이 느꼈음직한 그런 감정들이 고스란히 느껴집니다. 지금껏 써왔던 그의 에세이는 적절한 유머와 위트를 섞어 독자들이 시간 가는 줄 모르고 읽을 수 있는 그런 책들이 대부분이었고, 나는 이렇게 생각하는데 다른 사람은 어떻게 생각하든 나와는 상관없다는 식의 내던지는 투로 말함으로써 독자들의 어깨를 가볍게 하는 글이 대부분이었습니다. 말하자면 본인이 어떤 상황을 슬프다고 느꼈을 때 글에서도 여전히 슬픈 느낌을 지나치게 많이 씀으로 해서 책을 읽는 독자들에게도 슬픔을 억지로 강요하는 듯한 글쓰기는 절대적으로 자제해왔던 작가였기에 진지하다는 건 독자의 입장에서 조금 무겁게 느껴졌다는 뜻입니다.

 

워낙에 호불호가 명확히 갈리는 작가인 까닭에 이 책 또한 호불호가 갈릴 수밖에 없다고 생각합니다만 나는 개인적으로 책을 읽는 내내 작가의 생각에 공감할 수 있었습니다. 소설가로 성공하기 위해서는 다른 스타일의 글을 써야 한다는 것도, 지속적으로 글을 쓰기 위해서 체력의 중요성을 강조한 것도, 실질적인 체험만으로 글을 쓴다는 건 오래 가지 못한다는 것도 충분히 이해할 수 있었을 뿐만 아니라 자신이 쓰기에는 몹시 쑥스러웠을 듯한 자신의 경험을 아주 솔직하게 씀으로 해서 소설가를 꿈꾸는 많은 작가 지망생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고자 했던 그의 자세가 진심으로 느껴졌던 것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