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시절을 생각할 때마다 떠오르는 이미지가 몇 개 있다. 앞산의 능선 위로 부챗살처럼 퍼져 오르는 아침 햇살과 그 햇살을 받아 서서히 밝아지는 뒷산. 밝은 초록의 물결 위로 서서히 옅어지는 운무와 장독대 뒤로 보이던 거미줄! 정말 그랬다. 아침이면 언제나 방사상의 거미줄에 햇살을 받아 더욱 빛나는 이슬 방울이 조롱조롱 매달려 있었다.
그러나 판타지 만화영화에서나 등장할 만한 방사상의 커다란 거미줄은 더이상 보기 어려워졌다. 징그러운 외모와는 다르게 거미란 놈은 환경 변화에 무척이나 민감하여 각종 오염물질을 감지하는 환경지표생물로 잘 알려져 있는 것처럼 거미가 자취를 감추었다는 건 우리의 주변환경이 그만큼 오염됐다는 걸 의미하는지도 모른다.
얼마전 뉴스에서는 우리나라의 공기질 수준이 세계 180개국 중 최하위권인 173위를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미국 예일대와 컬럼비아대가 공동으로 연구하여 발표한 '환경성과지수(EPI) 2016'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공기질 부문에서 100점 만점에 45.51점을 받아 전체 조사대상 180개국 중 173위였단다.
환경오염은 비단 자연에만 국한되는 건 아니었던 모양이다. 한국 정부의 정책결정 투명성 순위도 2007년 34위에서 2015년 123위로 급락했고, IMD라는 스위스 기관에서 매년 시행하는 회계투명성 조사에서는 우리나라가 61개 나라 중에 60등을 차지했단다. 회계가 불투명하다고 비판받는 중국이 57위였다니 말 다했지 뭔가. 정부는 요즘 해운과 조선에 대해 구조조정을 하고는 있지만 국민의 혈세로 이미 투자된 수조 원의 자금은 손실로 굳어질 모양이다. 누구 하나 책임지는 것 없이 말이다.
자연환경이 나빠지면 사람과 사람 사이의 투명성이라도 좋아져야 할 텐데 모두 나빠지는 것만 있고 좋아지는 건 없으니 나라 꼬라지가 참 딱하기만 하다. 그렇게 나빠지다 보니 이 틈에 한몫 챙기려는 사람들만 득시글거린다. 수질이 오염되면서 매년 여름 등장하는 큰빗이끼벌레처럼 말이다. 검사장 출신의 홍모 변호사나 판사 출신의 최모 변호사는 모두 자연 환경이 나빠지면서 매년 출몰하는 큰빗이끼벌레와 크게 다르지 않아 보인다. 자연환경이나 인간환경이 이토록 나빠지니 다들 죽겠다고 아우성이지. 오늘도 미세먼지에, 오존에 주의할 것 투성이인데 도통 어떻게 주의해야 하는지 알 길이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