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 오래전에 허리 인대를 다쳐 한동안 치료를 받았던 적이 있다. 그런데 이게 겉으로 보기에는 다 나은 것 같지만 피곤하거나 컨디션이 안 좋을 때면 여지없이 재발한다는 데 문제가 있다. 때로는 아주 심하게 아플 때도 있고, 조금 뻐근하다가 이내 좋아질 때도 있다.

 

어제는 좀 과하게 피곤했었던지 오늘 아침부터 허리가 아파오기 시작했다. 의자에 앉았다가 일어설라치면 허리가 끊어질 듯 아파와서 제대로 걸을 수가 없었다. 허리에 손을 얹고 엉거주춤 걷는 폼이 영락없는 노인의 모습이었다. 어쩔 수 없이 한의원을 찾았다. 찜질에 전기치료에 부황에 침까지 맞고서야 치료가 끝났다. 내일 또 오란다. 소 잃고 외양간 고치는 격이다.

 

말이 나왔으니 말이지만 '소 잃고 외양간 고친다'는 속담에서 소를 잃고도 그 사실을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도 얼마나 많은지. '내가 소를 잃었구나. 다시는 소를 잃지 않도록 단속을 보다 철저히 해야겠는걸' 하는 마음이 들었다면 비록 소를 잃었다고 할지라도 그나마 다행인 셈이다.

 

국가도 다르지 않다. 현 정부와 지난 정부의 실정으로 인해 국민들이 각성하는 계기가 되었던 것도 오히려 감사할 일이라 말하지 않을 수 없으니 말이다. 예컨대 지난 정부의 사대강 공사로 인해 해마다 구경하는 녹차라떼나, 큰빗이끼벌레의 창궐을 보면서 자연의 소중함을 깨닫는 것이나 현 정부의 역사 교과서 국정화 작업으로 인해 역사 바로 알기의 중요성을 깨닫는 일, 북한과의 강대강 대결로 인해 깨닫게 되는 평화의 소중함 등은 비록 소 잃고 외양간은 고치지 못했지만 소를 잃었다는 사실만큼은 국민들이 똑똑히 알게 되지 않았나 싶다.

 

그동안 기레기 언론으로 인해 우리가 소를 잃었다는 사실조차 까맣게 몰랐던 적이 어디 한두 번인가. 정부의 실정이 잦아지면서 소를 잃었구나, 국민들이 확실히 깨닫는 건 좋은데 이렇게 계속 소만 잃으면 소는 누가 키울지 걱정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