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 며칠 동안 남들이 흔히 말하는 '사랑해!'라는 말에 대해 곰곰 생각해 보았다.

너무도 흔해빠져서 그 가치마저 사라진 듯한 그 말을 무에 생각할 게 있다고 그렇게 오래 생각했느냐 하겠지만 나는 그래서 더 오래 생각했는지도 모른다. 그것도 대충 생각한 게 아니라 시간이 날 때마다 아주 열심히, 이마에 땀이 맺힐 정도로, 정말 열과 성을 다하여 생각에 생각을 거듭했었다. 나란 놈, 내가 생각해도 참 유별나고 별난 놈이다. 그냥 '사랑해!'라고 말하나 보다 생각하면 그만인데 그걸 한사코 끄집어 내어 뒤집어도 보고, 나누어도 보고, 말하는 주체와 객체를 분리하여 정량화를 하고 싶으니 말이다. 시쳇말로 "노답!!"

 

그렇게 오랫동안 생각하면서 그동안 몰랐던 새로운 것 하나를 알게 되었다. 진행형의 구분이 애매한 우리말에서 '사랑하다'는 진행의 의미보다는 오히려 한 시점에 정지된 상태로 읽는다는 걸 알고 조금 놀랐다. '어떻게 그럴 수가...' 사랑은 연속적인 시계열의 진행이지 한 순간에 들었던 심리 상태만 의미하는 건 절대 아니기 때문이다. 또 그렇게 될 수도 없고 말이다. 예컨대 나는 '지금' 널 무지무지 사랑하지만 조금 지난 '다음 순간'에는 너를 사랑하지 않을지도 모른다는 의미가 아니라는 얘기다. 다만 그 강도가 때에 따라 점층적이거나 점강적일 수는 있을지 모르지만.

 

"사랑해'라고 말하는 사람의 그 순간의 마음 상태로 받아들이는 것, 또는 책의 주인공이 그 말을 하는 순간의 심리로만 읽는다는 것은 진행형으로 읽었을 때와 상당한 의미 차이가 난다. 지금껏 나만 그렇게 받아들였는지도 모르지만 나는 그동안 '사랑해'라는 말을 들었을 때, '아, 저 사람이 지금 나를 사랑하는구나'쯤으로 생각했다. 사랑하는 감정은 결코 순간적으로 들었다가 순간적으로 사라지는 게 아닌데도 말이다. 혹시라도 나처럼 '사랑해'라는 말을 순간적인 심리 상태로 받아들였던 분이 있다면 의식적으로나마 진행형으로 생각할 것을 권한다. 그래야만 불안을 떨쳐버릴 수 있다. 삶을 사랑의 과정으로 볼 때 사랑이 순간적이라면 그 얼마나 불안할 것인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