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의 마음
이토 히로미 지음, 나지윤 옮김 / 책비 / 2015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람이 사는 방에서 개나 고양이가 함께 지내는 것이 요즘에는 그닥 새삼스러울 것도 없지만 내가 어렸을 때만 하더라도 그것은 놀랍고도 해괴한 일이 아닐 수 없었다. 마을에서 누가 애완견을 안고 다니는 모습만 눈에 띄어도 노인들은 하나같이 '망칙스럽게 개새끼를 어찌...' 하면서 혀를 끌끌 차거나 내일 곧 지구가 멸망할 것처럼 낙담한 표정으로 '말세야. 말세'를 외치곤 했었다. 깊은 한숨과 함께.

 

그랬던 게 엊그제 일처럼 선명한데 요즘에는 애완견이니 반려견이니 하면서 제 자식 대하듯 하는 사람들이 어찌나 많은지 괜히 말 한 번 잘못했다가는 봉변을 당하기 십상이다. 어디 개뿐인가. 고양이며, 닭이며, 돼지까지도 애완동물로 받아들여지더니 요즘에는 뱀과 거미 등 예전에는 기겁을 하며 피하던 동물들까지 애완동물로 대접을 받는다. 물론 이런 풍조가 새로운 사회문제를 야기하기도 하지만. 예컨대 길거리에 버려진 유기견이나 길고양이들, 일부 몰상식한 사람들에 의한 동물학대 등 해결이 쉽지 않은 문제들이 하나둘 늘어가는 추세이니 말이다.

 

얼마 전만 하더라도 용인의 한 아파트에서 길고양이를 돌보던 여인들이 한 아이가 던진 벽돌에 맞아 한 명이 죽고 한 명은 부상을 당하지 않았던가. 애완동물을 기르는 것에 적극적인 지지를 보내는 것도, 그렇다고 적극적인 반대의 마음도 없는 나로서는 애완동물로 인하여 벌어지는 이러한 일들이 그저 신기할 뿐이다. 내가 어렸을 때 우리집에서도 개를 키웠던 적이 두어 번 있었던 것 같다. 애완용으로 길렀던 것은 물론 아니고 키워서 팔면 약간의 돈을 손에 쥘 수 있겠다고 판단한 어머니의 결심이 크게 작용했었다. 장에서 사 온 잡종견은 마당 한귀퉁이에 매어진 채 우리가 주는 밥을 게걸스레 먹어치우거나 낯선 사람을 보고 컹컹 짖거나 할 뿐 사람들과의 특별한 교감은 없었다. 그러나 이따금 목줄이라도 풀어 놓은 날이면 학교에서 돌아오는 우리 형제들을 향해 쏜살같이 달려오기도 했고, 어두운 산길을 걸어 늦은 귀가를 서두르는 어머니의 곁을 든든히 지켜주기도 했었다. 오랫동안 정이 들었던 개가 이 마을 저 마을로 떠도는 이름도 모르는 개장수에게 팔려가고 나면 우리집은 한동안 적적함에 몸살을 앓아야만 했다.

 

일본의 여성 문학가 이토 히로미가 쓴 <개의 마음>은 개를 키우지 않는 나에게도 잔잔한 감동을 준 책이다. 작가가 일본을 떠나 타국 생활을 시작했던 초창기부터 14년이라는 긴 시간 동안 그녀의 가족과 동고동락했던 애완견 '다케'의 마지막 2년을 기록한 책이다. 사람으로 치자면 노년의 삶과 죽음에 대한 기록인 셈이다.

 

"다케. 태어난 지 13년 된 저먼 셰퍼드. 인간의 나이로 56세. 개 수명으로 따지면 애저녁에 저세상으로 떠났을 나이. 내가 두 딸을 데리고 캘리포니아에 정착한 지 15년이 지났다. 처음 미국에 첫발을 내딛고 1년 반 후에 다케를 만났으니, 이국 생활의 대부분을 다케와 동고동락한 셈이다." (p.12)

 

전남편과 이혼한 후 작가는 두 딸을 데리고 미국에 정착했다고 한다. 개를 그닥 좋아하지 않는 유대계 남자와 재혼을 하고 막내딸 도메가 태어나고 파피용 견종인 '니코'와 앵무새 '삐짱'이 한 가족으로 살게 된다. '다케'가 죽기 전, 일본 구마모토에서 홀로 사시던 그녀의 아버지를 돌보기 위해 그녀는 미국과 일본을 수시로 오가야 했다. 당시 89세의 늙은 몸이었던 그녀의 아버지는 애견 '루이'와 함께 살고 있었다. '루이'를 온전히 돌볼 수 없었던 그녀의 아버지가 허망하게 떠난 후 늙고 병든 '루이'는 그녀의 책임으로 남는다.

 

그녀가 집을 비웠던 많은 날들 중 '다케'는 몇 번이나 죽을 고비를 넘긴다. 주변의 많은 사람들이 그녀에게 '다케'의 안락사를 권하지만 그녀는 차마 그렇게 하지 못한다. 힘들어 하는 '다케'를 이끌고 산책을 나가고, '다케'의 용변을 치우고, 하루가 다르게 늙어가는 '다케'의 모습에서 그녀는 아버지의 모습을 회상한다.

 

"아버지가 죽기 전 몇 년간은 텔레비전 앞에 앉아 맛집 탐방 프로그램이나 음식 광고를 보면서 "저거 맛있겠다" 하고 입맛을 다시며 중얼거리는 걸로 대부분의 시간을 보냈다. 구마모토에 갈 때마다 아버지는 타코야키나 야키소바, 이것저것 싸구려 주전부리를 사오라고 부탁했다. 그것은 아버지가 아직 살아 있음을 느끼게 해주고 앞으로 더 살고 싶다는 갈망을 보여주는 유일한 반증이었다. 매번 맛도 없는 건조음식에 통조림을 섞어주면서, 나는 부디 개에게는 그런 갈망이 없기를 바라고 또 바란다. 다케가 꽁치 머리나 쇠고기 뼈다귀, 접시에 묻은 케이크 재료를 제발 떠올리지 않기를." (p.193)

 

개와 함께 같은 방에서 뒹굴어 본 경험이 없는 나로서는 솔직히 작가의 심정을 다 이해할 수는 없었다. 군말 없이 개의 수발을 들 자신도 없고 말이다. 그러나 모든 것을 개의 입장에서 생각하고 오롯이 가족의 일원으로 대하면서 울고 웃었던 2년여의 기록이 나와 같은 독자에게도 새삼 뭉클한 감동으로 전해졌던 이유는 명확했다. 삶과 죽음의 문제는 개나 사람에게 다를 게 없다는 평범한 진리가 내 가슴을 흔들었기 때문이다.

 

"다케와 함께한 마지막 2년 동안, 나는 삶과 죽음의 민낯과 마주했다. 다케를 보내고 내 삶은 딱히 달라진 게 없다. 삶과 죽음에 대한 상념도 아스라이 사라지고 늘 그렇듯 밥과 산책으로 이루어진 일상이 반복된다. 촉촉한 혀와 살랑거리는 꼬리, 가만히 나를 올려다보는 선량한 눈망울이 내 곁에 있다. 니코와 루이가 몸을 기대온다. 무겁고 귀찮다는 생각도 잠시, 부드럽고 따스한 감촉에 이내 마음이 편안해진다." (p.25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