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은 시간을 향해 터덜터덜 내려가는 내리막길이자 자신의 의지나 열정이 포함되지 않은 기계적인 서사일 뿐이다. 반면에 가을은 짧고 가파른 언덕인 동시에 극복하고자 하는 의지가 내포된 자발적 서사라고 나는 생각한다. 그러므로 먼 훗날 자신의 기억 속에 선명히 남는 것은 길고 길었던 여름의 기억이 아니라 짧았던 가을의 추억일 확률이 높다. 그것은 어디까지나 확률일 뿐이지만 우리에게 주어진 시간을 어찌 보내고 있는지 이따금 생각해 볼 필요는 분명 있어 보인다. 말하자면 시간의 효율성 제고를 위해 소비 패턴을 찬찬히 따져볼 필요가 있다는 얘기다. 예컨대 무임승차의 에스컬레이터에 무심코 올라 탄 채 흐르는 시간을 무작정 지켜보는 방법과 각각의 시간 속에 자신의 생각을 적극적으로 피력하거나 생각 속에 시간을 숨기기 위해 애를 쓰면서 보내는 방법 간에는 분명한 차이가 존재하는 것이다.

 

오늘 오후에는 이상하리만치 졸려서 잠을 떨쳐버리기 위해 무던히도 애를 썼다. 가을철에는 좀처럼 없는 일이었다. 한 시간 남짓 아까운 시간이 흘러갔다. 가을의 시간은 조각에 알맞은 장미무늬목과 같다. 조금의 노력만으로도 시간 속에 훌륭한 작품을 남길 수 있다는 얘기다.

 

가볍게 읽을 만한 책이 뭐 없을까 생각했다. 그렇게 또 몇십 분이 흘렀다. 아까워라. 결국 내가 선택한 책은 이상한 조합이 되고 말았다.

 

 

 

 

 

 

 

 

 

 

 

 

 

 

 

 

 

이사벨 아옌데의 <영혼의 집>, 에쿠니 가오리의 <울지 않는 아이>, 아고타 크리스토프의 <존재의 세 가지 거짓말>, 정말지 수녀의 <바보 마음>.

 

나도 왜 이런 조합을 만들었는지 모르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