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어렸을 때 나는 종종 '책잠'에 빠져들곤 했는데 이런 나를 두고 형이나 누나들은 일부러 그러는 게 아닌지 의심하곤 했다. 말하자면 내가 힘든 일을 피하기 위해 짐짓 못 들은 체 한다는 거였다. 예컨대 아주 추운 날 연탄을 날라야 한다거나, 샘에서 물을 길어와야 한다거나, 산으로 나무를 하러 가야 한다거나 할 때면 나를 아무리 불러도 못 들은 체 대답을 하지 않는다는 게 그 이유였다. 나는 그럴 때마다 '책잠'에 빠져 있어서 듣지 못했노라고 해명하곤 했다.

 

그때만 하더라도 나는 정말 일단 책을 잡기만 하면 마치 가수면 상태로 진입한 것처럼 책에 빠져들곤 했었다. 나는 그것을 '책잠'이라 부르곤 했는데, 형이나 누나들은 도대체 이해할 수 없다는 표정이었다. 오히려 일을 피하기 위한 하나의 핑곗거리 내지는 변명으로 받아들였다. 그렇게 큰 소리로 불렀는데 듣지 못했다는 게 말이 되느냐면서. 그러나 나는 정말 책에서 깜박 '깨어났'을 때 현실의 세계에 적응하지 못한 채 잠시 동안 어리둥절하곤 했었다.

 

내 방이 따로 존재하지 않았던 탓에 '책잠'에 한껏 빠져둘고 싶은 날이면 형과 누나의 눈을 피해 으슥한 곳으로 숨어들곤 했었다. 곰팡내 지독한 광이나 외양간으로. 나는 그곳에서 누구의 눈치도 보지 않고 '책잠'에 빠져들 수 있었다. 이따금 진짜로 잠이 든 적도 없지 않았으므로 그럴 때마다 형과 누나는 나를 찾아 헤맨 적도 많았다. 지금 생각해 보면 미안한 마음이 든다.

 

그러나 이제 나는 '책잠'에 빠지지 않는다. 이 사람 저 사람의 눈치를 보며 짬짬이 읽는 독서가 그렇게 될 리도 없을 뿐더러 그렇게 한동안 길들여져 온전히 책에 집중한다는 건 꿈도 꾸지 못한다. 어린 시절의 나는 어쩌면 책이라는 가상현실의 세계에서 단조롭고 안전한, 때로는 평화롭고 푸근한 느낌에 한껏 취했었는지도 모르겠다.

 

이따금 아들과 함께 서점에 들러 책을 읽을라치면 아들을 통해 내 어린 시절을 떠올리곤 한다. 책에 흠벅 취한 아들은 혼자 킬킬대기도 하고, 인상을 쓰기도 하고, 조용히 미소짓기도 한다. 그럴 때면 나는 아들을 방해하지 않는다. '책잠'에서 스스로 깨어날 때까지 옆에서 조용히 기다릴 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