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의 서재 - 나만의 도서관을 향한 인문학 프로젝트
정여울 지음 / 천년의상상 / 2013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사람이 생활하는 데 기본이 되는 의식주의 문제를 타인의 손에 의존하면서부터 현대인의 질병은 깊어진 듯하다.  나는 그것을 '중독 현상'으로 이해하고 있다.  현대인에게 '중독'은 비단 담배나 마약, 또는 술과 같은 직접적이고도 인식 가능한 사물에만 해당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종교, 성형, 범죄, 섹스, 권력, 허세, 게임, 사치, 독서 등에 이르기까지 그 형태와 양상은 다양하고도 포괄적이다.

 

나는 주변에서 종교에 중독된 사람들을 가끔 본다.  그들은 마치 신의 숨결이 한 번 스치기라도 하면 현실의 상처들이 말끔히 해소될 것만 같은 상상 속에서 종교를 믿는다.  알량한 헌금이나 시주의 대가로 그들이 얻는 상상의 쾌감은 실로 큰 것이다.  그러나 그 효력은 며칠을 넘기지 못한다.  그러므로 약발이 떨어지기 전에 서둘러 그들이 믿는 종교 신전을 다시 찾아야만 한다.  '중독'은 무한반복을 전제로 한다.  그들은 결코 그 사슬에서 벗어나지 못한다.

 

서두에 언급했지만 독서도 일종의 중독으로 빠지는 경우가 종종 있다.  독서는 모름지기 현실에 기반을 두지 않으면 쉽게 중독으로 이어진다.  자기 계발서에 대한 탐닉이 좋은 예이다.  현실의 습관이 조금도 나아지지 않는데도 불구하고 주구장창 자기 계발서만 읽는 사람들은 대개 독서 중독에 빠진 사람들이다.  그들은 단지 책만 읽음으로써 이사로 승진하거나, 억만장자가 된다거나, 토익 만점을 받은 자신의 모습을 상상하곤 한다.

 

현대인에게 좋은 책이란 무엇보다도 중독의 늪에서 벗어나도록 돕는 것이어야 한다.  상상이나 가상의 세계에서 현실의 세계로 돌아갈 수 있는 영혼의 동아줄, 그것이 바로 책이어야 한다.  가상의 세계에서 길을 잃고 헤매는 현대인에게 자신의 위치를 제대로 알려주는 것이야말로 책의 진정한 효용이 아니겠는가.  문학 평론가 정여울의 <마음의 서재>는 내가 생각하는 책의 효용에 걸맞는 책이다.  280여 쪽에 이르는 보통의 두께이지만 그 하나하나의 내용을 음미하고 곱씹으려면 일주일은 족히 걸리지 싶다.

 

"도대체 무슨 책을 읽어야 인생을 바꿀 수 있을까요.  그 질문이 너무 아파, 한참을 망설이다 늦어진 답장은 이렇다.  인생을 확 바꾸는 책은 없지만, 인생을 확 바꾸는 절실한 물음은 있다고.  당신이 그 질문을 시작한 그 순간, 인생은 이미 바뀌기 시작했다고.  머리에 불이 활활 타오르는 채 연못을 찾는 심정으로, 내게 맞는 책을 찾는다면, 내게 전혀 안 맞는 책조차 커다란 스승이 된다고."    (p.11)

 

맞는 말이다.  나는 저자의 말에서 책은 곧 가상의 세계와 현실의 세계를 이어주는 메신저 역할을 하는 것이라는 인상을 받았다.  받아들이기 싫은 현실의 고통을 당당하게 받아들일 수 있는 용기, 뒤돌아서거나 회피하고 싶은 현실을 똑바로 쳐다볼 수 있는 인내심, 상실의 고통마저 의연히 감수하며 먼먼 세월의 뒤안을 바라볼 수 있는 지혜, 책이란 본디 그 모든 것을 담아내야 한다고 믿는다.

 

나도 그랬지만 세월호의 참사를 겪으면서 대한민국 전체가 집단 우울증에 걸린 듯한 모습을 보이는 것은 건전한 태도가 아니다.  타인의 슬픔을 공감하는 것은 바람직하지만 그렇다고 무작정 무기력해지는 모습은 부끄럽다.  슬픔을 안으로 갈무리한 채 의연하고도 강건하게 일어서는 모습을 보여줘야 하지 않을까.  사실 나는 이 책을 오래전에 다 읽었었고 최근에 다시 꺼내어 읽었다.  말하자면 두 번을 읽은 셈인데 그래도 뭔가 확연히 떠오르거나 손에 확실히 쥐어지는 게 없다.  책에 문제가 있다기보다는 내 능력이 모자라는 탓이다.

 

"프로이트(Sigmund Freud)의 <애도와 우울>에 따르면, 대상의 상실로 인한 우울증이 여타의 슬픔과 결정적으로 다른 점은 '자애심의 추락'이라고 한다.  대상의 상실을 곧 자아의 상실로 인식하면서, 타인은 물론 자기를 사랑하는 능력조차 잃어버리는 것이 우울증의 치명적 위험이다.  슬픔의 경우는 세상이 빈곤해지지만, 우울증의 경우는 자아가 빈곤해진다는 것이다.  이 모든 것이 내 탓이라 생각하는 순간, 우울의 칼날은 자기 자신을 향하게 된다.  급기야 '누군가 나를 처벌해주었으면'하는 망상에 빠지면서, 고통이 기다리는 장소를 향해 자발적으로 떠나기까지 한다.  소중한 사람을 잃은 이들이 위험천만한 전쟁터에 자원하는 심리가 바로 그것이다."    (p.81)

 

세상의 모든 '중독 현상'의 기저에는 고통이나 불편한 심리가 존재하기 마련이다.  우리가 인문학을 읽는 이유는 단순히 고통으로부터 달아나거나 회피하고자 함이 아니다.  그보다는 오히려 고통과 당당히 맞서 싸울 수 있는 용기, 그 힘을 배양하는 데 있다.  정여울의 <마음의 서재>가 좋은 책이 될 수 있는 이유는 작가가 우리에게 현실의 세계로 돌아오라고, 현실을 직시하라고 끝없이 외치고 있기 때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