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노란집
박완서 지음, 이철원 그림 / 열림원 / 2013년 8월
평점 :
이상도 하지요. 책을 읽다 보면 그 계절과 딱 맞는 그런 책과 만날 수 있다는 게. 혼잡한 거리에서 우연히 친한 친구와 마주치는 그런 경우처럼 말입니다. 한결 부드러워진 바람결과 나날이 도타워지는 봄의 기운이 나를 인도했던 건 아닐까 생각했습니다. 누구나 다 그렇겠지요. 숨죽였던 계절이 기지개를 켜는 이맘때면 세월의 켯속에 꽁꽁 숨겨져 있던 추억 한토막쯤 풀어내어 한나절 그 추억 속에서 노닐고 싶은 심정.
박완서 작가의 유고집 <노란집>은 그런 책인지도 모르겠습니다. 작가와 나는 일면식도 없고 생전에 어떤 인연의 끈으로 엮여진 관계는 아니었을지라도 마치 오래 전부터 알고 지내던 사람인 양 스스럼없이 내 속내를 드러낼 수 있을 것만 같습니다. 봄의 기운이 소리가 되어 터져나오기에는 조금 이른 이 계절에 작가가 들려주는 소소한 일상의 추억들이 그렇게 좋을 수가 없습니다. 긴장과 불안 속에서 한동안 잊고 지냈던 작은 것들의 소중함, 그 이야기들이 얼음장 같던 내 마음을 사르르 녹입니다. 나는 저으기 안심하며 푸근해지는 것입니다.
"설이 지나고 제법 해가 길어진 어느 날 아침이었다. 곧 해가 뜨려나, 파스텔 조의 노을빛을 받은 숲의 나무들이 흡사 꼼지락대는 것처럼 보였다. 겨우내 맨몸으로 삭풍을 견딘 늠름하고도 날카로운 가장귀들이 마치 간지럼을 참듯이 들썩이고 있는 게 암만해도 수상쩍었다. 나는 숲을 좀 더 자세히 보려고 마당 끝까지 걸어갔다. 우리 집 마당 끝은 조그만 시냇물을 사이에 두고 숲과 연결돼 있다. 바람 없는 조용한 새벽이었다." (p.126)
어느 책이건 글에서 작가 자신의 성품이 투명하게 드러나는 경우는 참 드문 경우입니다. 글을 잘 쓰고, 못 쓰고의 문제가 아닙니다. 글 속에서 작가의 모습을 또렷이 그릴 수 있느냐 하는 것입니다. 나는 박완서 작가의 작품에서(그것이 소설이든 산문이든 간에)는 언제나 살아생전의 작가의 모습을 떠올릴 수 있었습니다. 어쩌면 그것은 작가의 솔직한 성격과 똘망한 기억력 덕분이겠지요. 자신의 삶을 솔직하게 고백할 수 있다는 것, 굳이 감추거나 숨길 필요가 없다는 것만으로도 작가의 삶은 있는 그대로의 소설이자 잘 씌어진 한 권의 산문집일 것입니다.
"나는 시골에서 조부모님을 모시고 대가족 속에서 자랄 때부터 거짓말을 못하는 아이로 인식되어왔다. 거짓을 말하거나 남의 것에 손대는 것을 가장 수치스러운 걸로 교육받았고 구태여 그걸 어길 만한 일도 없었기 때문에 저절로 그리 된 것이었을 텐데도, 어른들 사이에서 나는 '쟤는 제 털 빼, 제 구멍에 넣을 애'로 통했다. 엄마도 칭찬의 뜻보다는 융통성 없음에 대한 한탄 비슷하게 그런 말을 했지만 속으로는 그런 나를 믿음직스럽게 여기고 예뻐하신다는 걸 나는 알고 있었다." (p.234)
삶의 질곡을 아무렇지도 않은 듯, 마치 다정한 할머니가 어린 손녀의 포동한 손을 붙잡고 자신의 삶을 차분히 들려주는 듯한 동화 같은 이야기들은 그 자체로 감동이 아닐 수 없습니다. 감정의 찌꺼기들일랑 흐르는 세월에 훠이훠이 날려보내고 맑고 투명한 이야기들만 고스란히 남아 있는 듯합니다. 나이가 든다는 것은 그런 것인지도 모르겠습니다. 박경리 작가가 박완서 작가를 아껴하셨던 까닭도 그런 이유겠지요.
"내가 죽도록 현역작가이고 싶은 것은 삶을 사랑하기 때문이고 노년기 또한 삶의 일부분이기 때문이다. 사람에 따라서는 삶의 가장 긴 동안일 수도 있는 노년기, 다만 늙었다는 이유로 아무 일도 일어날 수 없다고 여긴다면 그건 삶에 대한 모독이다. 아무것도 안 일어나는 삶에서 소설이 나올 수는 없다." (p.121~p.213)
밤이 깊었습니다. 배를 쓸어주던 할머니의 손길처럼 순한 달빛입니다. 어쩌면 나는 오늘 그렇게 순한 잠을 잘 듯합니다. 꿈결에서 새싹의 수런거림을 들을지도 모르겠습니다. 그랬으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