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생이 시골이어서 그런지 나는 집을 고를 때도 인근에 산이 없으면 왠지 불안하고, 그런 곳에서는 아무리 오래 살아도 쉽게 정을 붙이지 못한다.  그런 까닭에 지금 살고 있는 아파트 근처에도 야트막한 산이 있다.  평일 아침에 그 산을 매일 오르다보니 몇 년 되지 않아 나는 그 산의 속살을 훤히 꿰뚫게 되었다.  하여, 요즘처럼 밤이 긴 계절에도 달빛도 한 줄기 없는 캄캄한 길을 손전등도 없이 잘 걷는다.  아마 눈을 감고 걸어도 눈 뜬 초행자 정도는 따라 잡을 수 있지 않을까 싶다.

 

그러나 요즘 오르는 산과 내가 어린 시절을 보냈던 고향의 산천과는 산에 사는 식물들이 달라도 너무 달랐다.  눈으로 뻔히 보면서도 그 이름을 모른다는 게 어찌나 얼띠고 한심하던지.  가끔은 산에서 우연히 만나는 사람에게 묻기도 하고, 이따금 식물도감도 찾아 보면서 이제는 어지간한 것들의 이름은 외우게 되었지만 처음에는 여간 답답한 게 아니었다.  식물이나 사람이나 제가 나고 자란 곳을 떠나 낯선 곳에 자리를 잡아  정착하는 데는 시간도 걸리고, 품도 드는 일이라는 것을 절감하게 된다.

 

산에는 소나무, 아카시아, 은사시나무, 졸참나무, 밤나무, 쥐똥나무, 산벚나무, 찔레나무 등 수종이 비교적 다양한 편이지만 요즘 내 눈에 들어오는 나무는 밤나무와 졸참나무다.  미끈하게 쭉 뻗어 몸피도 야리야리한 은사시나무와는 달리 가지도 많고 몸통에 잔주름도 많은 그 나무들이 내 눈을 잡아 끌었던 것은 단지 겨울이 다 지나도록 칙칙한 작년의 갈잎을 다 떨구지 못하고 있다는 이유 하나였다.  이제는 말라 오그라든 채 가지 끝에 간신히 매달려 있는 나뭇잎들.  때로는 약한 바람에도 어떤 무게감도 느낄 수 없을 정도로 가벼워진 그 잎들이 그렇게 겨울을 나는 이유가 궁금했다.

 

손을 대면 금방이라도 와삭 부서질 것 같은 마른 갈잎이 매서운 겨울 눈보라를 이기고 봄철 새순이 돋을 무렵이 되어서야 묵은 옷을 벗는 이유는 도대체 뭘까?  줄기를 보호하는 보온의 목적이 있는 것도 아닐 테요, 그렇다고 잡아먹힐까 두려워하여 허세를 부리는 것도 아닐 텐데 말이다.  식물학자들이 들으면 웃겠지만 나는 요즘 그 나무들이 배려심이 많은 까닭이라고 결론을 내렸다.

 

새순이 막 돋아날 무렵, 꽃샘추위로부터 여린 새싹을 지켜주기 위해 겨울 한철을 그렇게 악착같이 매달려 있는 게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었던 것이다.  강한 봄바람을 타고 어딘가에 있을 어린 새싹을 찾아 멀리 날아가는 갈잎들을 떠올리게 되었다.  그 무한의 사랑과 배려심에 생각이 이르자 나는 밤나무와 졸참나무를 새로운 눈으로 보게 되었다.  게다가 가지에 붙어 엄혹한 겨울을 나기 위해서는 잎의 수분을 모두 날려보내고 최대한 가벼워져야 한다는 사실도 갈잎을 통해 배웠다.

 

요즘 나는 아침에 산을 오를 때마다 내 손이 닿을 수 있는 등산로 주변의 밤나무와 졸참나무에 가만히 손을 얹고 그 사랑과 배려를 생각하곤 한다.  식물도 그럴진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