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자를 위하여]를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
-
남자를 위하여 - 여자가 알아야 할 남자 이야기
김형경 지음 / 창비 / 2013년 11월
평점 :
통계학에는 극단값이론(extreme value theory)이라는 게 있다. 통계학에서 가장 유명한 이론이 정규분포이론이라면, 극단값이론은 반대로 특이한 이상현상(보통 분포상 outlier라고 불리는)의 발생패턴을 연구한다. 몇 년 전에 출간되었던 나심 니콜라스 탈레브의 <블랙 스완>은 이 이론을 자세히 설명하고 있다. 극단값이란 결국 과거의 경험으로는 그 존재 가능성을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일반적인 기대 영역 바깥에 놓여 있을 뿐만 아니라 이것이 존재할 가능성을 과거의 경험으로도 확신할 수 없다. 그러므로 실재하는 관측값이라고 할지라도 특이값이 존재하는 경우 모집단의 성향을 왜곡시킬 수 있으므로 보정평균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예컨대 우리나라 전체 국민의 가구별 평균 소득을 추정하기 위한 표본에 이건희 삼성그룹 회장과 가장 가난한 누군가를 포함시켰다면 그 평균값은 우리나라를 대표한다고 말할 수 없을 것이다. 이러한 예는 실생활에서 얼마든지 찾아볼 수 있다. 정부에서 발표하는 물가지수와 내가 느끼는 체감지수도 그런 것 중에 하나이다. 결국 전체를 대표할 수 있는 표본을 설정한다는 것은 우리가 생각하는 것만큼 그렇게 쉬운 일은 아니다.
나는 김형경의 <남자를 위하여>를 읽는 내내 그런 생각이 들었다. 심리학이나 인문학에서 통계학을 이용하지 말라는 법은 없지만 이 책에서 주장하고자 하는 남자의 심리에 대하여 작가는 '극단의 왕국((Extrimistan)'에서나 존재할 법한 어떤 남성을 관찰함으로써 세계의 모든 남성이 그런 것인 양 추정하고 있지나 않는지 의심하지 않을 수 없었다. 물론 책의 전체 내용이 다 그렇다는 것은 아니다.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나 프로이트와 자끄 라캉의 이론을 설명할 때에는 작가의 경험이나 작가 자신이 읽었던 책을 인용함으로써 독자의 흥미를 끌기도 하였다. 그러나 나는 저자의 생각이나 추측 혹은 인용에서 비롯된 '세계 모든 남성이 다 이렇다'는 일반화의 오류에 대해서는 찬성할 수 없었다. 저자도 물론 독자의(특히 남성 독자의) 이와 같은 불편한 심기를 예측하지 못했던 것은 아닌 듯하다.
"그럼에도, 남자들의 심리에 대한 책을 쓰는 일은 주저되었다. 몇 가지 편견 때문이었다. 남자들은 심리의 시옷 자도 듣기 싫어한다는 게 첫번째 편견이었다. 심리 이야기를 쓰게 되면 남자들의 이상화된 자기 이미지 밑에 숨겨둔 아프고, 슬프고, 찌질한 이야기들을 들추게 될 텐데, 그 점에 불편을 느낀 남자들이 책을 집어던질 것이라는 게 두번째 편견이었다. 세번째 편견은 남자들이 결국 분노하여, 내가 이 남성 중심 사회에서 추방당할지도 모른다는 것이었다." (p.4~p.5)
나도 한때 여자들의 심리를 몹시 궁금해 했던 시기가 있었다. 대학에서 경제학을 전공하면서도 교양과목으로 국문학과 과목이었던 문예비평론을 들었을 때였다. 취업과 안정된 미래를 꿈꾸며 웬만해서는 한눈을 팔지 않는 경제학과 학생들과는 달리 무척이나 한가롭고 자유로워 보였던, (때에 따라서는)방탕해 보이기까지 한 국문과 학생들의 모습은 그야말로 신선한 충격이었다. 나는 그때 아주 잠깐 소설을 쓰는 작가를 꿈꾸기도 했었다. 그러나 공부 외에는 이렇다 할 경험이 전무했던 나였기에 '여자들은 이럴 때 어떻게 행동할까?'하는 물음 앞에서는 두 손을 들 수밖에 없었다. 나는 여자들에 대해서 몰라도 너무 몰랐던 것이다. 그 후로 소설가가 되겠다는 꿈은 접었지만 여자들의 심리가 궁금하지 않았던 것은 아니다.
이 책에서 말하는 남자들의 심리가 대학시절의 나처럼 단순한 궁금증에서 비롯된 것이었다면 오히려 나는 편한 마음으로 책을 읽었을지도 모른다. 그러나 저자의 시각은 다소 편협되고 공격적인, 이를 테면 페미니스트의 시각에서 기술되었다고 느껴졌기 때문에 내 생각과는 크게 벗어난 대목에서는 여간 불편한 게 아니었다. 심리학이나 정신분석에 있어 지적 소양을 갖추지도 못한 내가 저자의 주장에 대해 조목조목 반박할 수는 없다 할지라도 저자의 경험이나 일부 도서를 바탕으로 전 세계 남성으로까지 일반화시킨다는 것은 논리에 맞지 않는 것처럼 보였다.
물론 이 책을 쓴 저자의 의도를 모르는 바는 아니다. 태초로부터 이질적인 성격의 두 집단인 남성과 여성이 같은 사회에서 상호 신뢰 및 배려를 기반으로 협력하여 살라는 의무를 부여받았으니 이게 어디 쉬운 일인가. 저자는 분명 서로에 대해 더 많이 '앎'으로써 더 많이 이해하고 협력할 것이라는 전제하에 이 글을 썼을 것이다. 그러나 내 생각은 조금 다르다. 서로에 대하여 아무리 많은 지식을 습득한다 할지라도 이성의 한계는 감정의 굴레에 쉽게 굴복되고 만다는 점이다. 결국 인간은(남자든 여자든) 겪으면서 체득하는 수밖에는 도리가 없다는 얘기다. 죽을 때까지 지겹게 싸우고 지지고 볶아도 서로에 대해 알 수 있는 것은 지극히 적을 것이라고 믿는다. 다만 서로에 대하여 증오하지 않도록 기도하는 수밖에...
"남녀가 사이좋게 지내는 일은 쉽지 않을 것이다. 인류의 처음부터 남녀는 필요한 부분을 주고받으며 서로에게 불편한 것들을 투사해왔으므로, 그래도 완전히 불가능한 일은 아닌 듯 보인다. 개인들이 사적인 관계에서 잘 지내는 길에는 명백히 검증된 방법이 있다. 그 방식을 더 큰 단위로 확장시켜 적용하면 가능하지 않을까, 또 순진한 환상을 꽃피워본다." (p.326~p.327)
* 알라딘 공식 신간평가단의 투표를 통해 선정된 우수 도서를 출판사로부터 제공 받아 읽고 쓴 리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