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색채가 없는 다자키 쓰쿠루와 그가 순례를 떠난 해
무라카미 하루키 지음, 양억관 옮김 / 민음사 / 2013년 7월
평점 :
이건 순전히 내 생각이지만, 꽃에도 '꽃말'이 있듯이 책에도 '책말'이 있다고 생각한다. 이를테면 이런 것이다. 소설은 '나는 외로워', 에세이는 '삶이 무서워', 경제서적이나 자기계발서는 '돈이 필요해', 시집은 '옛 시절이 그리워', 그렇다면 종교서적은? 글쎄, 미처 생각해보지 않았다. 나는 가끔 엉뚱한 생각을 잘 한다. 그래서 이런 철없는 짓도 하나 보다. 그렇다면 소설의 책말이 왜 '나는 외로워'이냐고? 글쎄다. 일단 소설을 읽으면 외로움에서 아주 조금씩 벗어나는 느낌이 든다. 마치 전면이 유리창으로 된 카페에 앉아 분주히 움직이는 사람들을 구경하는 느낌이랄까. 나는 소설을 읽으며 그들의 일상을 감상한다. 갤러리에서 작가의 정신세계를 천천히 훑는 것처럼.
소설에서 읽게 되는 익명성의 너의 이야기는 색깔이 중요하다. 주인공이 갖는 삶의 색채가 선명할수록 현실에서는 자주 만날 수 없는 그리운 이의 가려진 시간들이 덜 궁금해진다. 나는 내 앞에 펼쳐진 현실의 시간에게 소설이라는 마취제를 놓는 셈이다. 그렇다고 내가 은둔형 외톨이라고 생각한다면 큰 오산이다. 내가 일 년 내내 소설만 읽는 것도 아니요, 현실세계의 사람들과 일정한 거리를 두고 사는 것도 아니기 때문이다.
아무튼 나는 요즘 외롭다. 그건 확실하다. 최근에 읽었던 책들의 대부분이 소설이었다는 사실이 그 걸 증명한다. 나는 오늘 또 소설을 한 권 읽었다. 그것도 무라카미 하루키의 소설을. <색채가 없는 다자키 쓰쿠루와 그가 순례를 떠난 해>라는 제목의 신간 소설이다. 제목이 참 길다. 하루키 작품의 특징은 그가 창조해 낸 독특한 성격의 캐릭터를 그가 쓰는 작품에 따라 번갈아 가며 써먹는다는 데 있다. 일단 그 주인공의 색채가 맘에 들었던 독자는 작가의 다음 작품에 어떤 인물이 등장할 것인가, 하는 궁금증에 새로 출간되는 책마다 사지 않고는 배겨 낼 수 없다. 나도 그런 부류의 한 사람이다. 하루키의 소설은 무엇보다도 작가의 섣부른 판단이나 주관이 없어서 좋다. 마치 한 인간의 삶을 변사가 없는 무성영화처럼 툭 던져줄 뿐이다. 판단은 니들이 알아서 하라는 듯.
이 책의 주인공인 다자키 쓰쿠루는 <상실의 시대>에서 '와타나베'의 성격과 비슷하다. 시골에서 도쿄에 있는 대학에 진학한 것도, 말이 없으며 친한 친구가 없는 것도, 심지어 주말이면 도쿄 시내의 여러 곳을 무작정 돌아다니는 것도 닮았다. 서로 이름만 다른 작가 자신의 분신일 수도 있겠다. 이제 서른여섯 살의 다자키 쓰쿠르는 그보다 두 살 연상의 기모토 사라를 만나면서 이야기는 시작된다. 그에게는 고등학교 시절의 아픈 기억이 있다. 다섯 명의 남녀로 이루어진 순수한 우정의 고등학교 동창 모임에서 그는 어느 날 이유도 없이 내쳐진다. 그 고독과 상실감으로 인해 죽음을 생각할 정도로 고통스러운 시간을 보낸 그는 완전히 다른 사람으로 변한다. 대학을 졸업하고 철도 회사에 근무하면서도 그는 여전히 그때의 상실감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하다. 사람들에게 마음을 열지 않았던 것이다. 또 다른 이별의 슬픔을 겪지 않으려는 듯.
"분명 자기에게는 근본적으로 사람을 낙담케 하는 뭔가가 있다. 색채가 없는 다자키 쓰쿠루, 그는 소리 내어 말해 보았다. 결국 남에게 내밀 수 있는 건 뭐 하나 가진 게 없어. 그러고 보면 나 자신에게도 내밀 것이 하나도 없을지 모르지." (p.150~151)
여행사에 근무하는 다자키 쓰쿠루의 연인 기모토 사라는 그에게 16년 전의 친구들을 다시 만나볼 것을 제안한다. 다자키 쓰쿠루는 자신의 고향에 사는 두 명의 남자 친구를 만난다. 그때 한 친구는 이렇게 말했다.
"우리 같은 인간이 스스로에게 정직하고 자유롭게 살아간다는 게 여기서는 간단한 일이 아니야. ......어이, 이런 거 엄청난 패러독스라는 생각 안 들어? 우리는 삶의 과정에서 진실한 자신의 모습을 조금씩 발견하게 돼. 그리고 발견할수록 자기 자신을 상실해 가는 거야." (p.244)
프란츠 리스트의 곡 <르 말 뒤 페이>를 연주하던 한 명의 여자 친구는 죽고 없다. 마지막으로 그는 핀란드인과 결혼한 다른 한 명의 여자 친구를 만나러 핀란드로 향한다. 그녀에게서 다자키 쓰쿠루는 왜 자신이 그들로부터 추방되었는지, 왜 그렇게 되지 않으면 안 되었는지를 듣게 된다.
"그때 그는 비로소 모든 것을 받아들일 수 있었다. 영혼의 맨 밑바닥에서 다자키 쓰쿠루는 이해했다. 사람의 마음과 사람의 마음은 조화만으로 이어진 것이 아니다. 오히려 상처와 상처로 깊이 연결된 것이다. 아픔과 아픔으로 나약함과 나약함으로 이어진다. 비통한 절규를 내포하지 않은 고요는 없으며 땅 위에 피 흘리지 않는 용서는 없고, 가슴 아픈 상실을 통과하지 않는 수용은 없다. 그것이 진정한 조화의 근저에 있는 것이다." (p.363~364)
스토리는 비교적 단순하고 보잘 것 없다. 나는 처음부터 작가의 의도를 생각했었다. 왜 하필이면 작가는 고교시절의 순순했던 우정과 그로부터 16년의 단절을 설정했을까 하고 말이다. 학창시절의 순수로부터 추방된 모든 사람들이 다 그렇고 그런 삶을 살면서 아무렇지도 않게 잊혀지고, 까마득한 과거를 잊은 채 살아가고 있는데... 다자키 쓰쿠루는 말한다. '모든 것이 시간의 흐름에 휩쓸려 사라져 버리지는 않는다'고.
이 작품에서 서른여섯 살의 다자키 쓰쿠루에게 지워진 예순이 넘은 작가의 철학이 조금은 부담스러운 듯 보였다. 작가의 상상력은 서른여섯의 나이로 결코 돌아갈 수 없는 듯 느껴지기도 했다. 마치 블라인드 처리된 잊혀진 역사처럼 툭툭 끊어지는 단절이 곳곳에 드러난다. 세월은 결국 많은 경험을 통하여 인간을 성장하게 하지만 그 기억만으로 과거를 재현할 수는 없는가 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