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카페에서 문학읽기 - <파우스트>에서 <당신들의 천국>까지, 철학, 세기의 문학을 읽다
김용규 지음 / 웅진지식하우스 / 2006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철학적 담론을 글로 옮길 때에는 언제나 조심스럽다.

글을 이어가다 보면 내 일천한 철학적 지식이 금세 바닥을 드러낼 것만 같아 나도 모르게 불안에 휩싸이기 때문이다.  그나마 내가 이 책의 리뷰를 쓰기로 맘 먹었던 것은 고등학교 시절에 심취했던 '실존주의' 철학이 책 내용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이었다.  실제로 그랬다.  나는 고교 시절 야스퍼스, 하이데거, 키르케고르, 사르트르, 알베르 카뮈, 카프카 등으로 대표되는 실존주의 철학자와 작가의 작품에 열광했었다.  조숙했다고?  그럴지도 모르겠다.  그렇지만 그 나이 때의 청소년들에게 실존주의 철학은 충분히 매력적이고 위로가 되는 사상임은 분명해 보인다.  청소년에서 성인으로 전환되는 그 시점에 자신도 모르게 찾아드는 삶의 비의와 원인도 알 수 없는 우울을 조용히 위로하고 토닥여 주는 듯한 느낌을 나는 실존주의 철학자들에게서 여러 번 느꼈었다.

 

내가 나도 모르게 리뷰를 쓰고자 하는 무모한(?) 도전을 감행하게 만든 것처럼 이 책의 저자인 김용규의 풍부한 교양과 인문학적 소양 이면에는 철학에 대한 독자들의 흥미를 일시에 불러 모을 것만 같은 마력이 숨어 있다.  어쩌면 한두 번쯤 발을 빼거나 망설였을 법한 독자라 할지라도 일단 책장을 넘기는 순간 빠져들지 않고는 배길 수 없을 것이다.

 

책은 독일의 대문호 괴테의 역작인 <파우스트>로 시작된다.  메피스토펠레스의 유혹에 빠진 파우스트, 파우스트를 사랑하는 그레트헨의 이야기를 통하여 키르케고르의 '실존의 3단계설'을 설명하고 있다.  사랑하는 사람을 따라가는 것을 포기한 그레트헨의 '최고의 자기부정', '무한한 자기 체념'은 그녀가 이미 종교적 단계에 도달했다는 증거라고 저자는 말한다.  <파우스트 2부>에 대한 설명에서 작가는 괴테의 실존주의 이전의 낭만주의 철학에 기인한 파우스트의 구원을 설명하고 있다.  실러의 '최고의 자기 긍정' 내지 '무한한 자기 실현'은 파우스트가 이상적인 인간에 도달하는 기반이었음을 말해준다.  놀랍지 않은가.  어떤 의미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한 채 읽었던 <파우스트>가 새로운 인물로 재창조되는 느낌이었다.

 

<파우스트>가 인간의 구원과 내적 성장의 문제를 다루었다면 <데미안>은 인간의 내적 성장에 집중하는 책이다.  잘 아는 것처럼 싱클레어가 만나는 에바 부인은 인간으로서 이룰 수 있는 자기실현의 완성체이며 싱클레어가 깨닫고 경험하는 모든 과정은 자아실현의 과정이라는 것이다.  즉 인간의 내면에 존재하는 '빛의 세계'와 '어둠의 세계'는 개인의 문제인 동시에 전 인류의 문제이며 모든 삶과 사색의 문제라는 것을 싱클레어를 통하여 잘 보여준다.

 

"하지만 이 일은 '새가 알을 깨고 나오듯', '뱀이 허물을 벗고 성장하듯' 몇 번이고 주어진 자기를 부수고 죽을 것 같은 절망과 고통을 견디어야 하는 일이기도 합니다.  싱클레어도 그러한 절망과 고통을 통해 비로소 자기실현을 완성해냈던 거지요.  헤세는 그렇다고 이러한 성장과 자기실현을 두려워하거나 포기해서는 안 된다고 우리에게 당부합니다.  그리고 동시에 위로도 합니다.  "신이 우리에게 절망을 보내는 것은 우리를 죽이기 위해서가 아니라, 우리에게 새로운 생명을 불러일으키기 위해서이다.""    (p.70-p.71)

 

저자는 생텍쥐페리의 <어린 왕자>를 통하여 관계의 중요성과 '관계를 맺는 법' 또는 '사랑하는 법'을 설명한다.  무엇보다도 인상깊었던 것은 셰익스피어의 <오셀로>를 통하여 사랑과 질투를 철학적으로 관찰하는 대목이었다.  여기에는 권지예의 단편 소설 <꽃게 무덤>이 함께 등장한다.  나는 저자의 작품 선택에 무릎을 치며 공감했다.  <오셀로>가 자신이 이미 소유한 대상에 대한 불안심리와 그에 기인한 질투였다면 <꽃게 무덤>은 가질 수 없는 영혼을 소유하고자 하는 집착 또는 쓸쓸함에서 비롯된 질투였다는 것이다.

 

"이런 관점에서 보면, 질투란 오셀로가 가졌던 진화심리학적 질투든, <꽃게 무덤>에 나타난 존재론적 질투든 분명 일종의 신경증 증상입니다.  일종의 심리적 질환이라는 말이지요.  프롬의 관점에서는, 질투는 사랑의 다른 얼굴이 아니라 소유욕의 다른 얼굴일 뿐입니다.  그렇다면 우리는 이제 이 글의 서두에서 던졌던 질문, 곧 '질투 없는 사랑이 있을까,사랑 없는 질투가 있을까?'에 대해 답을 할 수 있게 되었지요.  질투 없는 사랑이 진정 사랑이라고!  그리고 질투에는 아예 사랑이 없는 거라고!"    (p.114)

 

저자는 이제 카프카의 <변신>에서 가족의 의미를 발견한다.  이 부분에서는 황석영의 <삼포 가는 길>과 영화 <집으로>가 함께 등장한다.  사르트르의 <구토>를 읽었던 사람이라면 공감하겠지만 저자도 이 책에서 '삶의 무의미성'과 일상의 갑작스러운 낯섦, 또는 '아찔한 의식의 순간'을 말한다.  일상에 대한 연장선으로 선택한 작품이겠지만 사뮈엘 베게트의 <고도를 기다리며>에서 우리는 <구토>에서 마저 듣지 못한 일상의 권태를 듣게 된다.

 

알베르 카뮈의 <페스트>에서 비롯된 삶의 부조리와 무의미성, 또는 이에 저항하는 인간의 '반항' 또는 '무의미에의 의미 주기'가 인간 개개인의 문제였다면 이제 그범위를 넓혀 이상사회 또는 유토피아의 문제로 넘어간다.  최인훈의 <광장>을 통하여 이념의 대립이나 갈등이 해결된 이상사회의 모색을, 이청준의 <당신들의 천국>을 통하여 약간의 가능성을 철학적으로 살펴보고 잇다.

 

저자는 이 책의 말미에 이르러 올더스 헉슬리의 <멋진 신세계>와 조지 오웰의 <1984년>을 거론한다.  페터 슬로터다이크의 ‘인간 사육’ 논쟁과 더불어 이상사회의 목적만을 강조하는 것, 그로 인한 전체주의화와 인간성 말살과 폭력 및 억압의 문제, 그리고 유전공학의 발달과 생물학적 결정론의 문제를 다루고 있다.  마지막에 등장하는 마르셀 프루스트의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는 마지막이라는 약간의 아쉬움과 철학적 양념으로서 거론된 듯하다.  

 

원작의 적절한 인용과 저자의 감칠맛 나는 설명은 철학에 대한 기존 통념을 한순간에 바꿔 놓았다.  철학도 읽는 사람의 기본지식과 인문학적 소양에 따라 재미와 가독력에 크나 큰 차이가 있을 수 있음을 깨닫게 된다.  철학을 이해할 것이냐 아니면 그저 바라볼 것이냐 하는 문제는 이 책을 읽었느냐 그렇지 못하냐의 기준에 의해 나뉘지 않을까 하고 생각하는 것은 나만의 과장일까? 

 

다만 내가 개인적으로 아쉽게 느꼈던 점은 이러한 철학적 설명이나 분석이 유익한 것은 사실이지만, 오직 자신의 감성에만 의지하여 체계적 분석을 방치한 채 '무작정 읽기'에 길들여진 대부분의 독자들이 문학 작품을 일정한 분석 틀을 동원하여 딱딱하게 읽어야 할 것만 같은 부담감에 짓눌리거나 이전의 감성과 순수성이 철학과 논리에 의해 훼손되지나 않을까 하는 우려를 아니할 수 없다는 것이다.  한 권의 소설을 읽으며 영문도 없이 눈물을 찔끔거리거나 맘에 드는 시 한 편을 읽으며 먼 기억의 회상에 잠길 수 았는 순수성을 말이다. 그것이 나만의 기우라면 다행이겠지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