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정일의 독서일기>를 읽기 시작한 것은 꽤나 오래 전의 일이다. 내 돈 주고 사서 읽었던 것은 아니고 지인에게 빌려 읽었는데 그 이유인즉슨 이런 종류의 책-독서가 목적이 아닌 독서 목록을 수집하고자 하는 수단으로서의 책-을 구입하는 데 내 돈을 주고 산다는 것이 은근히 아깝다는 얄팍한 생각이 들었던 탓이다. 한 권으로 끝나겠거니 했던 책이 점차 권수를 더하는 바람에 나는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처지에 처하고 말았다. 지인은 더 이상 책을 사지 않았고 누군가의 독서일기를 몰래 엿보던 묘한 즐거움(또는 관음증)은 끊기 힘든 유혹이 되었다. 그렇게 사 모은 책이 이 책을 더하여 도합 여덟 권에 이른다. 책 수집가도 아닌데 말이다. 나는 이런 종류의 책을 단 한번에 끝까지 읽지 못한다. 생각날 때마다 그저 야금야금 읽는다. 형제가 많은 집에서 자란 사람들은 다 이해하겠지만 누군가로부터 받은 사탕 몇 알을 자신만 아는 장소에 숨겨두고는 달콤한 것이 간절할 때만 몰래 가서 몇 모금 핥던 생각이 난다. 그러나 내가 책을 아껴 읽는 것은 이것과 사뭇 다르다. 독서일기 한 권에는 줄잡아 수십 권의 책이 소개되는 까닭에 책 욕심이 많은 나는 그 중 적어도 이삼십 권의 책을 사들일테고 그것은 고스란히 내 손길도 닿지 않은 채 묵은 책이 될 공산이 크기 때문이다. 돈도 돈이려니와 책 한 권을 읽음으로써 예상치도 못한 전집 한 질 분량의 책이 늘어나면 나는 한동안 독서에 대한 부담감으로 책을 읽지 못하는 처지에 처하곤 하는 것이 더욱 큰 문제다. 웬만한 사람이면 그런 경험을 서너 번 겪고 나면 그런 못된 버릇이 고쳐질만도 하련만 나의 경우에는 너무도 쉽게 잊혀지니 고칠 기회를 찾지 못한다. 그래서 생각한 것이 '야금야금 읽기'다. 책의 구매를 일정한 기간으로 나누어 소비의 분산을 꾀하자는 나의 얄팍한 속셈은 그럭저럭 성공한 듯 보인다. 충동구매로 인한 책의 대량반입은 사라졌다. 그러나 고쳐지지 않은 나의 습관이 언제든 고개를 들고 나를 노려보게 되리라는 막연한 불안감은 지울 수 없다. 이 책은 지금까지 써왔던 장정일의 스타일과 많이 다른 책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예전에 발간 된 그의 책들을 살펴보면 자신의 일상 이야기와 전형적인 일기형식이었다. 독특하고 재미있는 방법으로 풀어내어 무척 재미있게 보았다. 하지만, 이 책은 조금 달랐다. 자신의 이야기는 거의 찾아볼 수 없으며, 책읽기의 방법과 주제를 주로 소개하고 있었다. 하지만 지금까지 그래왔듯 장정일의 독서를 통한 세상읽기는 배배 꼬인 그의 심사를 번번이 드러낸다. 책은 총 4부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2부 우리는 과거로부터 얼마나 멀어졌을까"를 제외하면 부의 구별이 무의미해 보인다. 단지 작가의 자의적 분류였거나, 출판사의 편의적 구분이 아니었을까 하는 생각이 들 뿐이다. 하기야 어떤 순서로 놓여지든 한 작가가 쓴 서평이 달라질 리도 없을 것이다. 장정일의 독서일기를 읽으며 매번 드는 생각은 그의 독서 탐닉은 참 대단하다는 것이다. 글쓰기를 업으로 하는 사람이니 그 정도는 읽어야 하는 것이 아니겠느냐 하는 당위성에 빗댄 질문을 한다면 뭐라 변명할 말도 없지만, 그런 당위성마저 지키지 않는 얼치기 작가가 세상에는 쌔고 쌨다. 300쪽이 조금 넘는 책 한 권을 장장 두 달에 걸쳐 다 읽었다. 사정을 모르는 사람들이 들으면 '책도 어지간히 싫어하는 사람이군' 하는 말이 절로 나올 법하다. 오늘은 빼곡히 적은 독서목록을 들고 아들녀석과 도서관에 가기로 약속을 했다. 비는 개었지만 하늘은 여전히 어둡다. 점심을 먹고 나도 이제 슬슬 나갈 채비를 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