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들이 말하지 않는 23가지
장하준 지음, 김희정.안세민 옮김 / 부키 / 2010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2000년대 이후 베스트 셀러에 오르는 책을 보면 특이한 현상이 있다.
인기 작가나 외국 번안서가 순위를 차지하는 것은 출판사의 의도된 판매 전략이라고 보아야 하겠지만, 일반 독자에게는 가독력이 떨어지는 어렵고 난해한 책이 상위에 랭크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는 것이다.
다들 알다시피 마이클 샌델 교수의 <정의란 무엇인가>가 베스트 셀러 1위에 오른 것도 모자라, 수개월 동안 그 자리를 지킨 것만 봐도 그렇다.  철학 입문서라고 보기에는 결코 가볍게 읽혀질만한 책이 아님에도 독자들의 인기는 여전히 식지 않았고, 최근에 장하준 교수의 이 책이 인기몰이를 이어가고 있는 것만 보아도 그저 신기할 따름이다.

이 책은 물론 일반 독자를 대상으로 하여 씌여진 자유 시장 경제 정책에 대한 비판서이자 2008년 미국의 서브프라임 모기지에서 비롯된 세계적 금융 위기의 결과와 그 촉발 원인에서 보여지는 자유 시장주의자들, 혹은 신자유주의 경제학자들의 허술한 추측과 왜곡된 시각을 꼬집고 있는 책이다. 나아가 자본주의를 더 나은 시스템으로 만들기 위해 '경제 시민으로서의 권리'를 되찾는 과정에서 꼭 필요한 자본주의 경제 체제에 대한 일반 대중의 이해를 돕고자 쓰여진 책이라고 저자는 서문에서 밝히고 있다.  어쩌면 저자는 이 책을 읽은 독자들이 자신의 권리을 올바르게 이해하고 경제 시민으로서 자신의 권익을 당당하게 주장할 수 있기를 바라고 있는지도 모른다.  과연 그럴까?  나는 저자의 의도 또는 희망사항에 대한 의문으로 이 글을 시작하고자 한다.

사실 개인의 정치 사회화 과정에서 확립되는 정치적 성향은 쉽게 변하지 않는다는 게 통설이다.
그렇다면 자신의 힘이나 권력으로 시스템을 바꿀 수 있는 정치 지도자들, 혹은 권력자들은 이 책을 읽기나 했을까?  만일 대부분의 정치인들이 읽었다고 가정할 때, 그들의 사고는 책을 읽기 전과 얼마만큼 달라졌을까?  비록 그들이 유권자의 인기를 의식하지 않을 수 없는 처지에서 살고 있기는 하지만 결국 최종 판단의 순간이 오면 이 책에서도 여러번 다뤄지고 있는, 어쩌면 자본주의의 근간이 될 수도 있는 개인의 이기심에 따르지 않겠는가.

정치인이 아닌 일반 대중의 입장에 있는 독자는 또 어떤 생각으로 이 책을 읽었을까? 
자신이 어떤 이슈나 제도에 불만이 있다고 하더라도 일정한 때가 아니면 실질적 권리행사를 할 수 없는 제한적 권력자(일반 시민)인 대다수 국민은 이 책을 읽고 과연 무엇을 얻었을까 하는 의문이 든다.  자신의 불만이 저자와 같은 지식인의 그것과 일치한다는 만족감으로?  또는 최소한 이 정도의 지식은 있어야 한다는 지적 만족을 위해?  또는 읽기 어려운 책이었지만 읽어냈다는 성취감을 맛보기 위해?  또는 읽는 내내 '에이, 더러운 세상!'이라며 속으로만 맘껏 외칠 수 있었던 불만 해소용으로?  이도 저도 아니면 아무 책이나 읽어두면 언젠가 쓸모가 있겠지 하는 식의 지적 보험이라도 필요해서?  아니면 이제라도 사회의(또는 제도의) 어두운 이면을 보았으니 정치일선에 나서야겠다는 결심을 굳히려고?

나는 대학에서 경제학을 전공한 얼치기 경제학도로서 이 책을 읽었지만 그 내용은 결코 쉽지 않았다.
어차피 책은 시대의 트렌드를 반영한다고 하니 어떤 책을 많이 읽는지 살펴보면 그 시대 사람들이 무슨 생각을 하는지 알 수 있다는 것은 알겠다.  그런 면에서 지금 우리의 자본주의 체제는 분명 잘못된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고, 정의가 희박한 사회임은 분명하다.  그렇지만 나 아닌 다른 사람들이 이 어려운 책을 어떤 목적으로 읽었을지 지금도 몹시 궁금하다.  도대체 왜 읽었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