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삶에게 묻지 말고 삶의 물음에 답하라 - 나를 비우고 깨우는 명상 에세이 60
김영권 지음, 유별남 사진 / 이덴슬리벨 / 2011년 1월
평점 :
봄이다.
그렇게 드세던 동장군의 기세가 한풀 꺾이고 나니 먼 미래에나 만날 것 같던 봄햇살이 살갑게 다가온다. 이렇게 반가울 수가...
봄나들이를 하듯 한권의 책을 가벼운 마음으로 읽었다.
눈코 뜰 새 없이 바빴던 지난주의 무거운 마음을 벗어던지고 봄날의 여유를 만끽하는 데 독서만한 것이 있을까. 눈을 감으면 따스한 봄햇살이 온 몸에 스르르 퍼져나갈 것만 같다.
볕이 잘드는 곳에 자리를 잡고 읽기 시작한 책이 김영권의 <삶에게 묻지 말고 삶의 물음에 답하라>라는 책이었다.
책의 제목이 먼저 눈에 들어온 이유는 얼마전에 읽었던 빅터 프랭클의 저서 <죽음의 수용소에서>의 한 귀절이 생각났기 때문이었다. 아우슈비츠 수용소에서 극적으로 살아난 자신의 체험을 바탕으로 로고테라피를 창시한 빅터 프랭클은 자신이 그 끔찍한 곳에서 미치지 않고 살아남은 것도 살아야 할 의미를 놓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했다.
20년 넘게 기자 외길을 걸었던 저자가 들려주는 행복의 방법론. 이 책에 실린 60편의 명상 에세이는 자신을 찾아가는 마음의 여행기라고 저자는 말한다.
한가한 휴일의 오후에 어울릴 것 같지 않은 주제.
이렇게 햇살이 좋은데...
갑자기 몰려오는 졸음을 주체하지 못해 깜박 졸았다. 또 다시 건성건성 책장을 넘기고, 봄 햇살 아래 뛰노는 아이들이 까르르 웃고, 그 웃음 소리에 취해 다시 잠이 들고...
나는 문득 행복에 이르는 방법을 말하는 비슷비슷한 주제의 많은 책들을 읽어왔음을 자각한다. 그리고 ’나는 지금 그 방법을 몰라서 행복하지 않은가?’라고 자문한다.
집착과 욕심을 버리고, 현재를 즐기고, 유행을 좇지 말고, 자신의 내면을 들여다보고, 마음이 시키는 일을 하고, 등등 내가 그동안 모아온 방법만으로도 한 권의 책을 쓸 수 있을 성싶다.
그럼에도 나는 여전히 행복의 방법론을 찾아 헤매고, 고개를 끄덕인다.
휴일이 끝나가고 있음을 깨닫는다.
가족과 헤어져 직장이 있는 곳의 숙소로 떠나야 하는 시간이 점점 가까워지고 있다.
생각해보면 나는 적당히 돈도 벌고, 적당히 유행도 좇으면서, 적당히 욕심도 내고, 그러면서 행복하기도 했으면 좋겠다는 식으로 살아왔고 지금도 다르지 않다.
소위 이쪽도 저쪽도 아닌 ’양다리’를 걸친 채, 양쪽 모두를 욕심내고 있다.
어느 것 하나라도 내 손에서 결코 내려놓고 싶지 않은 것이 솔직한 내 심정이다.
작가라면 내게 이렇게 충고할지도 모르겠다.
"언제까지 그렇게 살 수 있을지 두고 보자."라고.
앤소니 드멜로 신부님은 그의 저서 <깨어나십시오>에서 이렇게 말한다.
"행복은 우리의 본래 상태이다. 사회와 문화의 어리석음에 오염되기 전에 천국이 그들의 것인 어린아이들의 자연적인 상태 그것이다. 행복은 얻는 것이 아니다. 이미 가졌기 때문이다. 이미 가진 것을 어떻게 얻는 다는 말인가? 그런데 왜 우리는 행복을 늘 체험하지 못할까? 무언가 버려야 할 것들이 있기 때문이다. 환상, 야망, 탐욕, 욕심을 버리는 순간 우리가 이미 가진 행복이 살며시 고개를 내민다."라고.
나는 여전히 꿈결 속에서 헤매고, 부족하다 싶은 행복을 욕심내고, 오지 않은 내일을 걱정한다. 정녕 이 미망의 세월을 전복시킬 길은 막힌 건가.
저자는 “진정 행복한 중년 이후의 삶은 노후를 위한 돈 저축이 아니라 영혼을 위해 저축하고,다시 가슴이 시키는 일을 하는 데 있다. 정말 중요한 것은 통장의 무게가 아니라 영혼의 무게다” (P.312)고 강조한다. 나는 내일쯤 또 다시 행복에 이르는 길을 찾아 코를 박고 글을 읽으며 고개를 끄덕일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