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이가 쓴 원고를 책으로 만든 책 - 새끼 고양이, 길 잃은 고양이, 집 없는 고양이를 위한 지침서
폴 갈리코 지음, 조동섭 옮김 / 윌북 / 2010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대학을 다니던 시절,  내가 살던 신림동의 한 아파트에는 유난히 도둑 고양이가 많았다.
밤마다 들리는 고양이 울음 소리는 마치 갓난아기의 울음 소리와 너무나 흡사해서 `뉘집 아기가 이렇게 우나?’하고 문을 열어보면 배고픈 고양이가 쓰레기장 주변을 어슬렁거리는 모습을 목격하곤 하였다.
달빛에 반사된 고양이의 파란 눈빛은 섬뜩하였다.
그때마다 언제 적에 들었는지 알 수 없는 고양이에 얽힌 미신이 생각나곤 하였다.
나는 고양이를 잘 몰랐었고, 지금도 여전히 그렇다.

이 책은 고양이가 쓴 암호를 해독하여 옮긴 것이라고 저자는 말한다.
물론 사실일 리 없는 저자의 주장이지만, 스포츠 기자를 역임하고, 복싱 선수로도 뛰었던 저자의 경력에 비한다면 이런 귀엽고 앙증맞은 거짓말은 그럭저럭 봐줄만 하다.
생후 6주 만에 갑작스러운 사고로 엄마를 잃은 착하고, 똑똑하고, 영리한 고양이가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써내려간, 새끼고양이, 길잃은 고양이, 집없는 고양이를 위한 인간 길들이기 지침서이자 고양이의 눈에 비친 인간의 본성과 심리를 꿰뚫어 보는 다양한 인간 군상을 그리고 있는 그런 책이다.

"인간 여자를 절대 과소평가하지 마.  인간 여자는 아주 영리해.  남자를 사로잡아서 접수하는 게 여자니까.  남자보다 여자가 훨씬 영리하지.  인간 부부 중 남편을 쉬 접수했다 하더라도 조심해야 해.  그 아내는 우리 고양이가 자기 남편을 어떻게 구워삶았는지 다 알아낼테니까. "(P.41)

기록에 의하면 고양이가 애완동물로 길들여지기 시작한 것은 BC 1500년경 고대 이집트에서 비롯되었다고 한다.  고양이의 머리로 여신을 경배하였으며 따라서 고양이를 매우 신성시했다 한다.  이후 고양이는 다른 문화권에도 퍼져 BC 500년경에는 그리스와 중국에 흔하게 되었으며 인도에는 BC100년경에 알려졌다고 한다.이처럼 고양이는 이집트에서 신성한 동물로 귀한 대접을 받았던 영광의 역사서부터 마녀사냥이 횡행했을 때는 화형에 처해지기도 했던 수난의 역사까지 두루 갖고 있다. 그리고 각 문화권마다 가장 희비가 많은 짐승이기도 하다. 특히 우리 나라에서는 고양이를 부정한 짐승으로 보는 경향이 많았고, 이런 까닭에 나는 고양이와 가까이 할 수 있는 기회를 갖지 못하였다.  이 책에 의하면 나는 무식한 인간 남자에 불과한 것이다.

"인간이랑 말을 더 섞어서 좋을 일은 없어.  이건 인류학적 입장에서 관찰한 결과이고, 또 어느 고양이나 인간과 오래 산 뒤에는 깨닫겠지만, 인간이 곤란한 처지에 놓이는 경우의 대부분은 끝없는 말과 수다에서 비롯된 것이거든. "(P.130)

애묘가들 사이에서 `고양이책의 고전'으로 손꼽힌다는 이 책에는 고양이가 인간과 더불어 살아가기 위한 다양한 지침들을 기록하고 있다.  나는 여전히 그들의 언어와 습성을 모르고 앞으로도 가까워질 것 같지 않지만, 고양이를 기르는 사람들(혹은 고양이에게 접수당한 사람들)은 이 책의 내용이 많은 도움이 될지도 모르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