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별 수업 - 이별이 가르쳐주는 삶의 의미
폴라 다시 지음, 이은주 옮김 / 청림출판 / 2008년 9월
평점 :
절판


누구에게나 이별과 상실의 경험은 아픔이다.
그럼에도 우리의 삶에는 언제 다가올지 모를 이별의 순간이 항시 도사리고 있다.
결코 대면하기 싫은 그 경험을 신은 잔인하리만치 우리의 손을 틀어쥐고 놓아주지 않는다.
고통과 상처와 발버둥질로 점철된 나날을 보내고 나면 우리는 비로소 밝은 태양 아래 서서 기억의 저편에 묻어둔 아픔을 하나하나 끄집어 내어, 마치 남의 일인 양 아무렇지 않게 바라볼 수 있게 된다.  그 기나긴 어둠의 터널을 걸어갈 때, 우리의 곁에서 희미한 등불이 되어준 것은 누군가의 ’사랑’이었음을 다 지난 후에야 알게 된다.  그리고 내 손에 쥐어진 작은 깨달음에 감사하며 미소짓게 된다.
<모리와 함께 한 화요일>로 유명한 모리 교수가 죽음을 앞두고 매주 금요일에 자신의 치료와 관계없이 인간대 인간의 만남으로 선택했던 폴라 다시.  교통사고로 남편과 사랑하는 딸을 잃고 다시 한 결혼도 남편의 학대로 5년만에 헤어져야 했던 그녀는 누구보다 상실의 아픔을 잘 알고 있었다.  "어떤 일이 일생의 소중한 경험이 되었다면, 그 일은 굳이 좋게 끝나지 않아도 된다."고 갈파한 에델 퍼슨(Ethel Person)의  말처럼 저자가 겪었던 상실의 고통과 치유 과정은 깨달음을 얻는 축복의 길이었다.

저자가 자신의 아픔을 치유하게 된 계기와 경험 그리고 교도소의 재소자들과 만남을 통하여 저자와 재소인들이 변화하는 과정을 기술하면서 책은 시작된다.
이혼한 지 5년째 접어들어서도, 전쟁 같은 생활 속에서도, 치유는 계속되었다.  나 자신이 눈앞에 전과 기록이 펼쳐진 죄수처럼 느껴졌다.  내게는 자신을 내팽겨쳤던 과거가 있었다.  그러기를 반복해 왔었다.  이제 와 달라지려면 용기가 필요했다.  어떤 사람이 믿을 만한가 아닌가를 알아내는 건 차리리 쉬운 일이다.  보다 중대한 사안은 내가 날 신뢰할 수 있는지 없는지이다.  만약 신뢰할 수 있다면, 내가 언제 위험한 길을 가고 있는지 알 수 있을 것이다.  어떻게 알까? 내면의 목소리가 내게 경고를 하기 때문이다.  나는 그 소리에 주의하고 있지 않으면 안 되었다.  다른 무엇보다 그것에 주의하고 있어야 했다.(P.31)  
교도소에서 재소자들과의 만남, 그리고 대학원 시절 심리 치료의 실습과정에서 만났던 어린 스콧이 그 고마움을 잊지 않고 자신을 위로하기 위해 저자 자신을 찾았을 때 저자 폴라 다시는 이 세상이 모두 하나로 연결되어 있음을 알게 되었다.  
줄리아를 비롯한 담장 안의 그녀들.  그녀들은 내게 중요한 교훈 하나를 가르쳐주었다.  ’인생에서 정말로 귀중한 것은, 황량한 방에 발가벗고 서 있을 때 내가 지니고 있는 것’이라는 교훈이다. (P.57)
루게릭병으로 서서히 죽어가고 있던 모리 교수와의 만남.  지적 오만과 무신론적 고집으로 똘똘 뭉쳐진 모리 교수.  그의 신체가 하나씩 그 기능을 서서히 잃어가는 모습을 보면서 저자는 팔과 다리와 눈을 통하여 우리가 경험했던 아름다운 추억들을 기억하고 그것에 감사하는 마음을 갖도록 그를 설득함으로써, 어쩌면 좌절과 분노로 생의 마지막을 보냈을지 모를 짧고 소중한 시간을 감사와 사랑의 시간으로 되돌려 놓았다.  죽음을 잘 맞겠다는 강한 의지가 모리를 바꾸기 시작하면서 저자 또한 자신에게 상실의 고통을 안겨준 음주운전자와 상대방을 인정하고 사랑을 표현하는 데 매우 서툴렀던 자신의 친아버지에 대한 용서와 사랑을 실천하게 되었다고 고백한다.   
  "사랑할 수 있는데도 사랑하지 않는 쪽을 택하는 것이 아닐까?"라고 말하는 모리 교수의 말에 고개를 끄덕이게 한다.  우리는 전 인생에서 서로 사랑할 수 있는 기회가 무수히 많았음에도 사랑하지 않는 쪽을 선택하고 있지는 않은지...
저자 자신의 체험과 성찰이 주는 잔잔한 메시지가 잔물결처럼 남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