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버이날에 부모님을 뵙지 못한 죄책감을 조금이나마 덜어보려는 얄팍한 속셈을 안고 서울에 갔었다.  승용차를 타고 가지 않은 탓에 고속버스와 지하철, 마을버스를 번갈아 갈아 타야 한다는 압박감이 나를 주눅들게 한다.  과거에 익숙했던 그 방식은 세월의 경과와 함께 나를 낯선 곳으로 데려다 놓은 듯하다.   지하철의 승강장과 선로부를 구분짓는 스크린 도어를 통해 그 느낌은 더욱 생생해졌다.  '남자는 자기도 모르는 사이에, 거울이 아닌 사건을 통해서 자신의 얼굴을 보게 된다.'는 어느 작가의 말처럼 승강장으로 진입하며 지하철이 일으키던 바람에 머릿결이 흩날리던 기억과 덜커덩거리는 소음의 기억은 스크린 도어라는 낯선 구조물이 과거와 현재를 가로막고 있었다.  그림 맞추기를 하는 것처럼 과거의 나와 현재의 나 사이를 연결할 적당한 그림을 찾지 못한 채 답답한 마음이 한동안 계속 되었다.
마을버스 승강장에서 줄을 지어 기다리는 한 무리의 사람들 속에 섞였을 때 그 어색함.
영영 변하지 않을 듯하던 거리의 풍경은 건물의 높이 만큼이나 위압적인 모습으로 나를 내려다본다.  갑작스런 나의 방문에 어머니는 적잖이 놀란 눈치였다.
세월의 무게는 당신의 키도 낮추어 놓는 듯했다.
우리는 언젠가 그렇게 차츰 낮아지다가 결국 땅속에 묻히는 날을 수동적으로 맞이하는 게 아닐까?  집사람과 아들녀석을 대동하지 않고 노부모를 찾아 뵙는 일이 나에게도, 다른 누군가에게도 결코 있어서는 안 될 일처럼 느껴지게 된 것은 언제부터였는지 기억이 나지 않았다.
나의 얼굴도 기억하지 못하는 아버지께 어색한 인사를 건넸다.
호스를 통하여 소변을 받아내는 탓에 진한 지린내가 방안을 채우고 있었다.
아들을 위해 늦은 점심을 차리시는 어머니.
어색한 침묵을 멈추려는 어머니의 노력은 항상 과거에 머문다.
모자 사이의 대화도 어느 순간부터 과거의 창을 통하지 않고는 이어가기 어려워진다는 것은 슬픈 일이다.  그런 대화마저 어느 정도의 시간이 지나면 늙으신 어머니는 현재를 붙들 기운마저 소진한듯 오롯이 과거에만 머문다.  나는 서둘러 식사를 마치고 집을 나선다.
딱히 정한 곳도 없이 발걸음을 옮겼다.  짧았던 봄이 여름의 중간에 위치한듯 무덥다.
나는 그런 단조로운 일상을 반복하다 오늘에서야 업무에 복귀했다.
무거운 마음만큼 하늘도 무겁다.  하루 종일 비가 내려 기운 없는 나를 더욱 지치게 했다.
오늘처럼 긴 하루를 또 언제 맞게 될런지...
일찍 자려고 해도 좀처럼 잠을 이루지 못하고 서성이고만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