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순한 기쁨
아베 피에르 지음, 백선희 옮김 / 마음산책 / 2001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린 시절 나무 뿌리로 실내 장식재를 만들어 본 적이 있었다.
먼저 잘생긴 나무 뿌리를 고르는 것이 문제인데,  분재나 화분에 관심이 많은 사람들은 익히 알고 있는 것이지만 심근성의 수종은 땅 속 깊은 곳까지 뿌리를 내려 그 뿌리를 캐기도 어렵지만 모양도 단순하여 장식재로는 적합하지 않다.  반면에 천근성 수종은 그 뿌리가 얕고 세근이 거미줄처럼 복잡하게 얽혀 있어 장식재로는 그만이다.  이러한 천근성(淺根性) 수종 중에 대표적인 것이 철쭉이다.  철쭉은 대체로 10cm 이내의 땅에 뿌리를 내리고 그 모양새도 마치 비구상의 미술작품처럼 아름답다.  지금은 산의 나무를 채취하는 것이 금지되어 있지만 당시에는 지천으로 깔린 철쭉 한두 뿌리를 캐는 것은 아이들 놀이 쯤으로 취급되던 시절이었다.
땅에서 캔 철쭉의 뿌리를 흙을 털어 잘 말리고 다듬어 코팅을 입히면 그보다 멋진 예술품이 없을 정도로 훌륭한 장식품이 되곤 했었다.
사람의 마음도 이런 것이 아닐까?  어쩌면 마음 뿐 아니라 우리네 삶 전체가 이와 닮지 않았을까?
이것저것 잡다한 것까지 욕심을 부리면 그 뿌리도 얕고 가뭄에 쉬이 말라죽지만 군더더기 없이 단순하면 그 뿌리도 깊고 어떠한 시련에도 잘 견딜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마치 법정 스님이나 피에르 신부님처럼.
이 책은 제목처럼 오직 복음서에 의지하여 단순한 삶으로 평생을 살다 가신 피에르 신부님의 소신과 일화를 담은 글이다.  1912년에 프랑스 리옹의 상류층 가정에서 태어나 19세에 모든 유산을 포기하고 카푸친 수도회에 들어가 평생을 집 없는 가난한 사람들과 소외된 사람들과 함께함으로써 ’살아있는 성자’로 불리웠던 분.  제2차 세계대전 당시에는 항독 레지스탕스 투사였으며, 전쟁 후에는 국회의원으로 활동했고, ’엠마우스’라는 빈민구호 공동체를 만들어 가난하고 소외된 사람들을 위하여 헌신하다 2007년 94세로 험난한 삶을 마치신 분.  
나는 인간의 마음이 상처입은 독수리와 같다고 여긴다.  그림자와 빛으로 짜여져, 영웅적인 행동과 지독히도 비겁한 행동 둘 다를 할 수 있는 게 인간의 마음이요, 광대한 지평을 갈망하지만 끊임없이 온갖 장애물에, 대개의 경우 내면적인 장애물에 부딪히는 게 바로 인간의 마음인 것이다. (P.38)
상황이 예외적일 경우에는 법 중의 법에 도움을 청할 줄 알아야 한다며 이 ’법 중의 법’이란 인간의 생명을 구하길 요구하며, 모든 인간의 존엄성을 존중하길 요구하는 법이라고 주장하시며 정치적이거나 권위적인 교회와 편협한 정부에 맞서고자 하셨던 분.  신부님은 가톨릭 사제로서 여성 사제를 허용하고 남성 사제의 결혼을 허락하라는 주장 등을 펼쳐 보수적인 바티칸으로부터 눈총을 받기도 하였고, 1992년 프랑스 정부로부터 레지옹 도뇌르 훈장 수상자로 선정되었으나 정부 정책이 노숙자들에게 불충분하다는 이유로 거부하였고, 2001년 수상자로 다시 선정되자 받아들였었다.
참으로 역설적이지만 인류의 빈곤, 실업, 부패, 그리고 인종차별주의로 우리를 위협하는 악에 맞서 가차없는 전쟁을 이끌어나가는 것이야말로 굳건한 평화를 보장하는 유일한 방법임을 부르짖어야 한다.  그 누구도 그것과 무관할 수 없다.  그렇잖은 자는 공범자이다.  굶주린 아이들을 볼 때, 잠잘 곳 없는 가족들을 볼 때, 많은 젊은이들이 적당한 일자리를 찾을 희망이 없는 것을 볼 때 우리는 모두 분개해야만 한다.  이 같은 분노와 그 분노가 불러일으키는 자발적 행동들이 없다면 사회적 평화를 위한 어떤 희망이 남아있겠는가?(P.184)
모든 불의와 부조리에는 전쟁과 같은 대결을, 그리고 우리의 동참을 부르짖었고, 가난하고 소외된 사람들에게는 한없는 배려와 이해를 요구하셨던 신부님.  그분의 용기와 강직함은 가난하고 소외된 사람들에 대한 무한한 사랑의 힘이 아니었을까?
고통받는 자들에게 충고를 하려 들지 않도록 주의하자.  그들에게 멋진 설교를 하지 않도록 주의하자.  신앙에 대한 설교일지라도 말이다.  다만 애정어리고 걱정어린 몸짓으로 조용히 기도함으로써, 그 고통에 함께함으로써 우리가 곁에 있다는 걸 느끼게 해주는 그런 조심성, 그런 신중함을 갖도록 하자.  자비란 바로 그런 것이다.  그리고 그것은 인간의 경험들 가운데 가장 아름답고 가장 정신을 풍요롭게 해주는 것이다.(P.213 - 214)
남미로 향하는 배가 난파되어 죽을 고비를 맞게 되었을 때 신부님은 ’한평생 자신의 손으로 가난한 자들의 손을 잡고자 애썼을 때, 비로소 죽음의 순간 자신의 다른 쪽 손에서 하느님의 손을 느낄 수 있는 것이구나’라고 생각했다는 신부님의 회고는 납덩이처럼 나의 가슴을 무겁게 짓눌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