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작스런 폭설에 많은 사람들이 놀라워 했다.
이렇게 가끔 자연은 우리들 앞에 예기치 않은 상황을 펼쳐보임으로써 자연의 신비와 경이로움을 느끼게 한다.
그런데 사람들에게 이런 갑작스러움은 전혀 달갑지 않은 일이었나 보다.
점심 시간에 나누었던 대화의 전반을 차지했던 것은 갑자기 내린 눈으로 인한 혼란과 자신들이 겪었던 불편함과 의미없는 불평이었다.
내가 "아름답지 않아? 3월에 이런 장관을 볼 수 있다는 것은 축복이지."라고 말했을 때 같이 대화를 나누던 모든 사람들이 나를 '이상한 사람'으로 생각했다.
졸지에 나는 원치 않았던 이상한 놈이 되고 만 것이다.
"아직도 그런 낭만을 간직하고 있으니 좋겠군."하며 어깨를 치는 사람의 표정에서는 신기한 표정이 역력했다.
심지어 나보다 한참이나 어린 사람의 표정에서도 그와 똑같은 표정을 읽었을 때 나는 새삼 놀랐다.
우리 사회에서(물론 다른 나라도 그렇지만) 이런 1차원적인 집단적 사고가 관습처럼 굳어 있음을 흔히 보게 된다.
안락과 행복이 최상의 선이며 그외의 것은 악으로 치부하는 고정관념 또는 집단적 사고가 우리 사회를 병들게 하고 갈등을 유발한다는 사실을 사람들은 모르고 있다.
이러한 순응적 사고는 지금 겪고 있는 '소통의 부재'와도 결코 무관하지 않다.
어쩌면 사람들은 생각의 자유를 인정하면서도 의심하고 사고하는 능력을 상실했는지도 모른다.
고정관념에 묶여있는 사람들은 타인의 생각을 들으려 하지도, 자신의 생각이 잘못되었을지도 모른다는 조금의 의심도 하지 않는다.
이런 상황에서는 대화란 있을 수 없다. 자신의 생각을 관철시키기 위한 투쟁이나 비열한 속임수만이 존재할 뿐이다.
M.스캇 펙 박사가 그의 저서에서 썼던 말이 떠올랐다.
부모나 고용주 또는 정부처럼 통제하는 위치에 있는 사람들은 누구나 우리가 독자적으로 생각하는 것 자체를 위협적인 것으로 느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