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는 일마다 실패하였다는 한 사람을 만났다.
자신의 문제가 무엇인지, 어떻게 하면 남들처럼 잘 할 수 있는지 알고 싶었던 그는 필요하다면 전국 안 가본 곳이 없고, 안 만난 사람이 없다고 했다. 
그래도 여전히 자신의 태도에서 확실히 변했다고 자신있게 내세울만한 것이 없다고 했다.
한동안 그의 이야기를 듣고만 있던 나는 본인에게 가장 큰 문제는 무엇이라고 스스로 생각하는지를 물었다.  "한마디로 제 의지가 부족한 탓이겠죠."라고 말하며 체념한듯 한숨을 쉬었다.

자신의 잘못된 점을 인식하고 자신의 사고를 행동으로 변화시키는 것은 나를 포함한 대다수 일반인에게 결코 쉬운 일은 아니다.  거창하게 레온 페스팅거(Leon Festinger)의  '인지 부조화론'을 들먹이지 않아도 나의 사고와 행동에는 분명한 차이가 존재한다.
이러한 차이를 극복하는 방법, 즉 나의 사고와 행동을 일치시키는 방법은 과연 무엇일까?
단순히 자신의 빈약한 의지력을  탓해야 할까?
오래 전부터 내가 생각했던 인지 부조화 현상은 일종의 '문명병'이 아닐까 하는 것이었다.
언제부턴가 우리는 미래를 예측하고 일어나지 않은 미래에 대비하는 것이 자신의 사고를 지배하게 되었다.  과거의 원시사회에서는 전혀 필요하지 않았던 '미래'라는 단어가 현대인에게는 문신처럼 각인되어 있음을 보게 된다.  그러나 나의 결심이나 행동 변화에 있어 미래형의 언급은 치명적인 약점을 갖게 마련이다.  '나는 달라지겠다' 또는 '나는 달라질 것이다'라고 선언하는 것은 아무리 생각해도 지켜질 것이라 믿기 어렵다.  왜냐하면 이 말 속에는 미래의 의지가 담겨 있기 때문이다.  현재와 미래에는 아무리 그 간극이 미세하다고 하더라도 시간상의 간격이 존재하는 것이다.  결국 그 시간의 벌어짐에서 우리는 자신을 합리화하거나 약간의 유예를 허용하고 있는 것이다.
이것은 자신의 의지와는 별개의 문제임에도 불구하고 마치 이것이 자신의 '의지 부족 '이라 인식하게 되고 한없이 자책하게 되는 빌미로도 작용한다.
종국에 나는 하나의 결심마저 제대로 실천하지 못하는 '바보'로 전락하고 마는 것이다.
이러한 악순환은 어쩌면 삶을 마감하는 순간까지 지속될지 모른다.
관건은 나의 결심과 실천 사이에 존재하는 시간상의 간극을 없애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세상에 변화하지 않는 것은 없다.  좋은 쪽으로든 나쁜 쪽으로든 매순간 변화하고 있다는 사실은 누구나 알고 있는 상식이다.
한 시간 전의 '나' 또는 방금 전의 '나'와 현재의 '나'는 느끼지 못했어도 분명 달라져 있다.
이러한 사실을 확연하게 깨닫는 것, 현재의 나는 달라져 있음을 인식하는 자체가 변화의 출발이다.  우리는 매순간 변화하고 있음을 깨달아야 한다.  이렇게 인식하는 순간 나의 결심과 행동 사이의 간극이나 부조화는 소멸되고 만다.
인식의 틀을 미래가 아닌 현재에 맞추는 행위는 의지가 아니라 각성의 문제이다.

나의 생각을 그에게 말했을 때, 그의 얼굴에 피어나는 환한 미소를 볼 수 있었다.
찰나의 짧은 순간에도 그는 변해 있었다.
매순간 변화하는 사람들이 변화를 추구하는 것이 우습지 않은가.
변화는 원하든 원하지 않든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자연현상이다.  우리가 의지를 갖고 행동할 때만 선별적으로 발생하는 특별한 사건이 결코 아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