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에서 푸념이나 넋두리를 하는 것보다 더 손쉬운 일을 찾기도 어려울 듯싶다.

앞으로의 굳은 맹세나 결심을 듣기는 어렵지만, 푸념이나 넋두리는 익숙하게 들려온다.

내가 우선 그렇고, 아내도 별반 다를 바 없고, 주위의 사람들도 비슷한 모습으로 살아간다.

약속이나 한 듯 그렇게 비슷한 행위를 하는 이유는 도대체 무엇이란 말인가?

푸념이나 넋두리는 습관이요, 일종의 배설행위이다.

우리의 육체가 음식을 먹고 배변행위를 통하여 그 잔여물을 몸 밖으로 내보내듯이, 우리의 마음도 불필요한 찌꺼기를 일정한 시점에서 푸념이나 넋두리를 통하여 밀어낼 필요를 느끼는 것이다.

그러나 여기에도 이해득실이 존재하고, 우리의 잘못된 인식이 저변에 깔려있다.

먼저 우리가 범하는 일반적 오류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리는 음식의 섭취보다는 배변행위가 더 사적이고 은밀한 행위로 인식한다.

실상은 정반대이다.  음식의 섭취는 개인의 취향이나 기호에 따라 매우 다양하고, 경제적 여건과 같은 외부적 환경에 의해서도 제약을 받는 지극히 사적인 영역이라 할 수 있다.  반면에 배변행위는 모든 생물체가 취하는 공통의 행위임을 부인할 수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영유아기 이후로 배변행위를 자연스러운 인체활동으로 받아들이지 못하는 것도 사실이다.

반면에 마음의 문제에서는 이것이 오히려 자연스럽다.

맹세나 결심을 음식의 섭취로 본다면 이는 지극히 사적인 영역에 속한다.

그러므로 자신만의 결심은 남에게 내보이기 어렵고, 자신이 바라는 바를 이루는 에너지원으로서 그 본래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에서 겪는 실패와 좌절은 소화과정을 거친 음식의 찌꺼기와 마찬가지로 자연스러운 배설행위를 통하여 마음의 밖으로 나가게 된다.  이는 우리 육체의 배변행위와 너무나 닮아있다.  그러나 육체의 배변행위나 마음의 배설행위에는 모두 에너지가 소모된다는 것을 간과해서는 안된다.  적당한 에너지의 소비를 통한 배변행위는 육체의 건강을 도모하지만 설사와 같은 지나친 배변행위는 에너지의 고갈로 이어지듯, 마음의 배설행위도 그 정도가 적당할 때는 나와 듣는 상대방에게 실보다는 득이 크다.

즉, 적당한 푸념이나 넋두리는 듣는 상대방에게 나에 대한 친밀도를 높이며, 공감대를 형성하게 하고, 나 또한 스트레스 해소를 통한 기분의 전환을 맛볼 수 있다.

반면에 지나친 넋두리나 푸념은 나와 상대방의 에너지를 고갈시켜 지치고 피곤하게 한다.  여기서 보듯이 마음의 배설행위는 육체와 달리 상호의존적이다.

즉, 내가 그 정도를 조절하지 못하면 나와 상대방의 에너지가 동시에 고갈될 수 있다는 점이다.

그러므로 우리는 푸념이나 넋두리의 정도를 잘 조절할 필요가 있다.

나와 너의 기분 전환에 알맞은 푸념은 오히려 자연스럽지 않은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