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의 일을 매듭짓고 나면 산적했던 또 다른 일이 내 앞에 나타난다. 마치 제 차례를 기다렸다는 듯 말이다. 한숨을 돌릴 만한 잠시의 여유도 없이 이렇게 일이 몰아칠 때면 내가 마치 그리스신화 속 시지프스의 삶을 살고 있는 듯한 느낌이 들곤 한다. 무거운 바위를 어렵게 어렵게 산의 정상까지 굴려다 놓으면 바위는 반대편으로 굴러 떨어져 다시 제자리에서 바위를 굴려야만 하는 반복적인 삶. 그와 같은 무의미한 행동을 아무런 생각도 없이 되풀이하고 있는 건 아닌지... 시간에 쫓겨가면서 말이다. 그렇게 어찌어찌 위태로운 시간을 보내다 보면 반나절이 훌쩍 흐르고, 기계적으로 일상을 반복하다 보면 금세 또 일주일이 흘러가고 만다.
아무런 노력도 없이 쉽게 얻은 듯한 주말. <죽고 싶지만 떡볶이는 먹고 싶어>로 우리에게 잘 알려진 백세희 작가의 부고 소식을 신문 기사로 읽었다. 우울증을 앓고 있는 많은 사람들에게 또는 삶에 지친 많은 이들에게 작가의 글은 언제나 작은 위로가 되곤 했었는데 35세라는 이른 나이에 세상을 떴다는 소식은 적잖은 충격이었다. 우리는 누구나 자신이 견딜 수 있는 거붓한 일상을 살고 있는 듯하지만, 우리 주위에는 어쩌면 일상의 무게에 눌려 한 발짝도 뗄 수 없는 상태에 놓였으면서도 아무렇지도 않은 듯 무심한 표정으로 나를 대하는 이가 있을지도 모른다. 자신이 굴려가는 일상의 바위가 앞으로 나아가지 못할 정도로 힘에 겨울 때, 우리를 대신하여 그 바위를 굴려줄 이는 누구인가. 우리의 근원적인 외로움은 거기에서 출발하는지도 모른다.
"대학생 때 나는 시각장애에 관해 아는 것이 별로 없었다. 내가 속한 세계가 아니었기에 알 수도 없었고 구태여 알려고 하지도 않았다. 「무용지물 박물관」을 읽고, 그해 갑작스럽게 발병했던 녹내장 수술을 받고 난 뒤에는 자연스럽게 시각장애에 관심이 생겼다. 그리고 점자블록을 알게 되었다. 우리가 걷거나 뛰는 보도블록 사이에 함께 깔린 울퉁불퉁한 노란색 블록. 그게 시각장애인의 안전을 위한 블록이라는 걸 처음 알게 된 것이다. 그때 이 문장이 떠올랐다. 모든 것은 눈앞에 있다. 우리는 손만 뻗으면 된다. 몇십 년 동안 셀 수 없이 많은 길을 걸었으면서도 한 번도 점자블록을 의식하거나 의문을 품은 적이 없다. '노란색 블록이 있구나' 정도도 생각한 적이 없다. 보이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즈음 내가 얼마나 많은 것을 못 본 채로 눈을 감고 있는지 생각하게 됐다." ('다름 아닌 사랑과 자유' 중 백세희 작가의 글에서)
<다름 아닌 사랑과 자유>는 김하나, 이슬아, 김금희, 최은영, 백수린, 백세희, 이석원, 임진아, 김동영 등 9명 작가의 글이 실린 책이다. 백세희 작가의 글을 비교적 길게 옮겨 적는 동안 나는 마음속으로 조용히 작가의 명복을 빌어본다. 오늘 밤에는 어쩌면 속살거리는 빗소리가 천둥소리처럼 크게 들릴지도 모르겠다. 소슬한 추위를 함께 느낄지도 모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