춘분이 지나면서 해는 조금씩 길어지고 있습니다. 아침 운동을 마치고 산을 다 내려올 때까지도 캄캄한 어둠이 채 사라지지 않았던 지난달 초의 시간이 꽤나 멀게 느껴집니다. 그럼에도 새벽 기온은 여전히 차고 냉랭합니다. 지난주 토요일, 주말 외출을 나오는 아들을 차에 태워 집으로 향하던 길 갑작스레 내리는 눈발에 잠시 아연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펑펑 내리는 눈과 휘몰아치는 바람에 시야가 어두워졌던 것도 잠시, 터널을 지나자 사납던 눈발은 간 데 없고 운동회 뒤끝에 날리던 색종이 꽃가루처럼 힘없는 눈이 이따금 흩날릴 뿐이었습니다. 그렇게 곤두박질쳤던 기온은 금세 회복되어 한낮에는 봄기운이 완연합니다.
이맘때의 산은 한 폭의 점묘화와 같습니다. 채 형체를 갖추지 못한 어린 새순이 마치 가는 붓으로 찍은 연녹색 점처럼 보이기 때문입니다. 형태가 선명한 가지 주위로 어른어른 녹색의 점들이 모여 묘한 풍경을 자아냅니다. 무수히 흩뿌려진 연녹색의 점들 사이로 청설모의 분주한 몸놀림이 새벽을 열고, 음색이 고운 새들의 노랫소리가 흥을 돋웁니다. 등산로 입구에 만개한 개나리에 이어 계곡의 진달래도 새초롬히 피어나고 있습니다. 계절은 그렇게 조금씩 제 모습을 찾아가는 듯합니다.
2025년 4월 4일 11시. 내란수괴 윤석열에 대한 헌법재판소의 탄핵 선고 기일이 잡혔습니다. 지난한 날들이었습니다. 이 험난한 과정에서 우리가 배운 것은 우리의 일상 저변에는 민주주의 제도가 단단하게 뿌리내리고 있다는 사실이었습니다. 우리 스스로도 미처 알아채지 못하는 사이에 말입니다. 1987년 이전의 권위적인 군부독재 체제로 회귀한다는 건, 그와 같은 체제하에서 살아간다는 건 상상도 할 수 없는 일이었습니다. 시나브로 우리는 그동안 우리가 꿈꾸고 그려왔던 이상적인 제도를 향해 나아갈 뿐 오던 길을 되돌려 전체주의 망령이 우글대는 그 시절로 되돌아갈 생각은 꿈에도 없었던 것입니다. 우리는 그 사실을 12.3 내란을 통해 명징하게 깨달았던 것입니다.
갑작스러운 눈 소식에도 봄은 오듯이 민주주의에 익숙한 우리의 일상은 어느 미친 자의 계엄령에도 결코 파괴되지 않을 것입니다. 서로의 생각이 달라도 일상에 깃든 민주주의는 다르지 않기 때문입니다. 우리는 그렇게 자신이 지켜왔던 일상을 소중히 유지하고자 할 뿐입니다. 새봄에 점점이 찍힌 연녹색 물결처럼 우리의 작은 소망들이 대한민국의 산하를 빼곡히 채우고 있습니다. 어제와 크게 달라지지 않은 오늘을 맞고 싶을 뿐이고, 오늘과 크게 다르지 않은 내일을 살아가고자 할 뿐입니다. 그 작은 소망을 파괴할 권리는 그 누구에게도 없는 것입니다. 끊이지 않는 시간의 연속선상에 나의 일상을 가벼이 얹고 싶을 뿐입니다. 우리의 삶은 그런 것일지도 모릅니다. 그저 가벼이 흐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