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현실에서 누리고 체감할 수 있는 배타적 권리는 바로 이런 것이로구나, 생각하게 했던 하루였다. 오후에 약속이 있었던 나는 차를 운전하여 약속 장소로 향하고 있었는데, 아랫배가 살살 아프고 뭔가 신호가 오는 느낌이 들어 가까운 관공서(그게 하필 도서관이었다)로 방향을 틀었다. 어렵지 않게 화장실을 찾아 들어간 것까지는 좋았는데 아뿔싸! 이게 웬일? 한 칸짜리 화장실 앞엔 이미 줄을 서서 대기하는 사람이 있는 게 아닌가. 지하 1층 지상 3층의 건물이었기에 나는 서둘러 다른 층으로 가 보았지만 모든 게 허사였다. 다른 층도 사정은 다르지 않았다. 괜히 계단만 오르락내리락하는 바람에 대기 순번만 밀렸고 나의 인내력은 바닥을 향하고 있었다. 생각 같아서는 바닥에 신문지를 펴고서라도 볼 일을 보고 싶은 심정이었다. 화장실 안에 있는 사람은 그것이 누구에게도 침해받지 않는 자신의 배타적 권리라는 걸 기다리는 사람에게 공표라도 하려는 듯 몇 차례 노크를 해도 나올 기미가 보이지 않았다. 인내력의 한계를 느낀 나는 결국 비어 있는 장애인 화장실로 뛰어 들어갈 수밖에 없었다. 나는 그렇게 밝아진 표정으로 도서관을 벗어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배타적 권리는 과거 휴대폰이 없던 시절에 공중전화 부스에서도 심심치 않게 목격되곤 했었다. 뒤에서 애타게 자기 순번을 기다리는 많은 사람들의 시선에도 불구하고 공중전화박스를 선점한 사람이 한 손에는 동전을 잔뜩 거머쥔 채 느긋하게 통화를 할라치면 저것이 바로 배타적 권리구나, 하고 인정할 수밖에 없었다. 물론 그 모습을 보고 화를 참지 못하는 사람도 더러 있어서, "아, 통화 좀 짧게 합시다." 하면서 전화를 빨리 끊을 것을 종용하거나 험악한 분위기를 풍겨 빨리 나오라고 은근히 협박하는 경우도 드물게 있었지만 말이다.


이런 것과는 다르게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의 화장실이나 베란다에서 공공연히 담배를 피우는 것이 마치 자신의 배타적 권리인 양 생각하는 사람이 더러 있다. 밖에 나가려면 외투를 걸쳐야 하는 겨울철이나 너무 더워서 잠시도 밖에 나가 있을 수 없는 여름철에 그런 현상은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담배를 끊은 지 만 11년이 되는 나로서도 아래층에서 올라오는 담배연기는 참기 어려운 게 사실이다. 그런 까닭에 나도 몇 번이나 관리사무실에 민원을 넣었었다. 생각해 보면 그것은 배타적 권리가 아니라 타인에 대한 예의나 배려의 문제이다.


자유나 평등과 같은 추상적인 개념의 권리가 아닌 현실에서 체감하고 누릴 수 있는 배타적 권리는 사실 많지 않다. 그것마저도 완전한 배타적 권리가 아닌 타인에 대한 배려가 동반되어야 하는 소극적 권리인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말이다. 공동체의 구성원이 반드시 지켜야 할 법적 테두리를 벗어나 '국민 저항권'이라는 해괴한 주장을 들고 나와 제 멋대로 행동하고 난동을 피우는 사람이 늘어나는 바람에 '자유'라는 말의 가치는 이제 그 어디에서도 찾기 어렵게 되었다. 난동이나 부리고 깽판을 치는 이들이 함부로 입에 올릴 수 있는 단어가 결코 아닌데 말이다. 언제부턴가 우리 사회는 제 할 일은 뒷전이고 밤낮 술이나 처먹는 이가 시도 때도 없이 '자유'를 외치는 바람에 21세기 대한민국에서 '자유'의 가치는 멧돼지의 똥보다 못한 것으로 인식하게 되었다. 비극의 시작은 거기서부터 시작되지 않았나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