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매로 보이는 꼬마 둘이 손을 꼭 잡은 채 걷고 있다. 그들 앞에는 엄마인 듯한 여인이 한발 앞서 느린 발걸음을 옮기고 있다. 여름 햇살이 무섭게 쏟아지는 거리. 까무잡잡 살이 탄 두 명의 꼬마는 무표정했다. 겉으로 드러내지는 못하지만 온몸으로 불만을 말하고 있는 것 같기도 했다. 잰걸음으로 뒤를 쫓는 아이들을 앞서 걷는 한 여인이 무심한 듯 이따금 뒤를 쳐다본다. 그들이 향하고 있는 곳은 주택가 근처의 도서관. 황금 같은 휴일 오전에 엄마의 설득이나 강요가 없었더라면 초등학생도 되지 않은 아이들이 도서관에 간다는 엄마와 결코 동행하지는 않았을 터였다. 집에서 느긋하게 텔레비전을 보거나, 컴퓨터 게임을 하거나, 여동생을 실컷 놀려먹으면서 휴일 오전의 여유를 만끽했을지도 모른다. 그러나 이른 아침부터 시작된 더위는 엄마로 하여금 가장 경제적인 피서 장소를 물색하게 했을 테고, 도서관이야말로 교육적으로나 경제적으로 최적의 장소라는 결론에 이르는 데는 많은 시간이 걸리지 않았을 것이다.


현실에서 발생하는 대부분의 갈등은 지극히 사소한 일에서 비롯된다는 걸 잘 알면서도 우리는 도처에 널린 지뢰를 아무런 두려움도 없이 밟아대곤 한다. 사소하다는 것은 언제나 무해하거나 큰 위험이 없는 것으로 인식되기 때문이다. 말하자면 사소함이 보내는 옅은 미소에 우리는 너무도 쉽게 현혹되거나 그 위험성이나 독성을 너무나 쉽게 잊는다는 것이다. 그러나 사소하다는 것은 단 한 번의 실수로 치명적인 위험에 도달하지 않는다는 것일 뿐 시나브로 누적되는 위험으로 인해 더욱 치명적일 수 있다는 사실에서 벗어나지는 않는다. <비폭력 대화>를 쓴 마셜 로젠버그 박사의 다른 책 <상처 주지 않는 대화>에는 다음과 같은 글이 나온다.


"모든 사람은 태어날 때부터 지적 호기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사람들은 배움을 위해 학교를 찾고, 학교는 규칙과 합의를 통해 배움의 범위에서 전할 수 있는 일정한 틀을 만들어야 합니다. 규칙과 합의 사항을 정할 때는 벌을 주기 위한 권력이 아니라 보호하기 위한 권력을 사용한다는 사상이 바탕이 되어야 합니다. 규칙은 모든 당사자들의 이해관계와 욕구 충족을 지원하기 위해 존재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누군가 다른 사람의 욕구와 조화를 이루지 못하는 행동을 할 때가 있기 마련인데, 이럴 때 우리는 어떻게 하면 다른 사람의 욕구를 반영할 수 있을지 함께 논의하고 결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상처 주지 않는 대화' 중에서)


펄펄 끓는 가마솥더위가 연일 계속되고 있다. 그러나 대한민국 국민을 더욱 짜증 나게 하는 것은 오늘과 같은 더위가 아니다. 여당과 야당, 현 정부와 대한민국 국민 간의 극한 대치야말로 작금의 불볕더위에 참을 수 없는 열기를 더하고 있다. '규칙은 모든 당사자들의 이해관계와 욕구 충족을 지원하기 위해 존재하는 것'이라는데 현 정부와 여당은 자신들을 지지하는 일부 국민의 욕구 충족을 지원하기 위한 규칙만 내세울 뿐 다수 국민의 욕구는 안중에도 없는 듯하다. '역대 최장 열대야'를 겪고 있는 우리는 '역대 최장 정부 혐오증'을 함께 앓고 있는지도 모른다. 그 모든 더위는 후자에서 비롯되는지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