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시지 않을 수 없는 밤이니까요
정지아 지음 / 마이디어북스 / 2023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솔직히 말하자면 나는 술을 못 마신다. 불행하게도 내 몸에는 알코올을 분해할  때 생성되는 아세트 알데하이드를 제거하는 효소가 전혀 없거나 있더라도 타인에 비해 대단히 적다는 것이다. 내가 술을 해독하는 능력이 없다는 사실을 인지했던 건 대학에 입학한 후였다. 술을 조금만 마셔도 온몸이 벌겋게 달아오르고 속이 거북해서 토하기 일쑤였다. 그런 나를 보고 선배들은 자꾸 마시다 보면 술도 늘고 그런 증상도 사라질 거라며 위로와 함께 용기(?)를 북돋워 주었다. 그러나 선배들의 진심 어린 조언에도 불구하고 나의 체질은 변하지 않았다. 나는 지금도 여전히 술은 입에도 대지 못하면서 어쩌다 참석한 술자리에선 언제나 술에 취한 이들의 뒤치다꺼리를 하느라 고단한 일과를 보내곤 한다. 대학시절부터 지금까지 '차라리 내가 마시고 취하는 게 낫겠다.'는 푸념을 넋두리처럼 내뱉으면서 말이다.


<아버지의 해방일지>로 일약 스타 작가가 된 정지아의 에세이집 <마시지 않을 수 없는 밤이니까요>는 나와 같은 특이 체질의 사람들에겐 그저 대리만족의 경험일 수밖에 없다. 그럼에도 술에 얽힌 작가의 잡다한 경험을 풀어놓은 이 책이 그닥 부담스럽지 않았던 건 왜일까. 그것은 아마도 작가의 너스레와 솔직함에 있지 않을까 싶다. 틀에 박힌 유교적 사고방식의 굴레에서 성장했을 성싶은 그녀가 '여자'라는 불리한 조건하에서도 그처럼 다양한 사람들과의 음주 문화를 즐길 수 있었다는 사실이 잘 믿기지 않지만 그럴 수 있었던 건 아마도 남녀평등을 신념으로 삼았던 빨치산 아버지를 둔 덕분이 아니었을까.


"내가 이런 이야기를 엄마가 아니라 아빠에게 한 이유는 분명하다. 우리 엄마는 남녀평등을 원해서 사회주의자가 되었지만, 당신 딸을 대하는 마음은 여느 엄마와 조금도 다르지 않았다. 남자애들과 밤을 새워 논다는 걸 받아들일 리 만무했다. 반면 아빠는 진정한 평등주의자였다!"  (p.22)


소문난 애주가이자 자칭 시티걸이었음을 강조하는 작가는 해가 짧은 구례의 산간 마을에서 고양이 네 마리와 두 마리의 개, 그리고 100세에 가까운 어머니와 함께 산다고 했다. 한적하고 유유자적한 생활을 즐기고 있을 듯한 풍경이지만 그녀의 집에는 많은 사람들로 북적인다. 지리산의 눈에 담을 수 없는 아름다운 풍경이 술을 부르고, 혼자 취할 수 없는 기나긴 밤이 사람들을 불러들이는 것이다. 그리고 술 한 잔에 녹아든 옛 시절의 추억과 사람들. 고향에서, 수배길에서, 강단에서, 먼 이국에서...


"부들부들 떨리는 손으로 소주를 숟가락으로 떠 계란에 붇던, 큰아버지의 그 조심스런 손길이 그립다. 어쩌면 인생이란 그렇게 속절없는 게 아닐까. 무슨 일로 심사 복잡한 날이면 고립된 우주 같던 큰아버지의 방이 떠오르고, 큰아버지에게 술 한잔 대접하지 못한 게 마음에 얹히고, 위스키가 아닌 소주가 그리워진다. 위스키로는 달래지지 않는, 소주로밖에는 달랠 수 없는 어떤 슬픔이, 우리 민족에게는 있는 모양이다."  (p.106)


별것도 아닌 이야기들을 읽으면서도 책에서 손을 떼지 못했던 것은 아마도 술보다는 그녀의 인생 이야기에 끌렸기 때문인지도 모른다. 사람과 사람 사이의 깨트릴 수 없는 벽에 잔금을 내고 종국에는 이성으로 통제할 수 없는 인간 본연의 모습을 서로가 확인할 수 있는, 마법과 같은 음료가 술 아니겠는가.


"나에게도 찬란한 젊음의 시절이 있기야 했겠지. 그때의 나는 몸 따위 돌아보지 않았다. 몸 따위, 하찮았다. 정신은 고결한 것, 육체는 하찮은 것. 그래서 육체의 욕망에 굴복하는 모든 행위를 혐오했다. 혐오라니. 몸이 있어 존재하는 것인데. 젊은 나는 참으로 하찮았구나. 그런 생각을 하며 나는, 하찮게 천대해왔던 불쌍한 나의 몸에게 블루를, 귀하디귀한 블루를 아낌없이 제공했다. 아름다운 육체가, 찬란한 젊음이 펼쳐보이는 어느 여름날의 천국에서."  (p.262~p.263)


누군가에게 술은 고단한 삶을 견디게 하는 위로와 희망의 손길이 되기도 하고, 또 누군가에게는 자신의 한계를 뛰어넘도록 하는 마법의 양탄자가 되기도 한다. 녹록지 않은 현실, 앞이 보이지 않는 미래, 견딜 수 없는 삶의 고통으로부터 잠시나마 벗어나 다리를 뻗고 편안히 쉴 수 있도록 하는 것은 술이 우리에게 주는 크나큰 혜택일지도 모른다. 사회주의자 아버지와 어머니 사이에서 늦둥이 딸로 태어나 독재정권으로부터 늘 감시의 대상이 되었던 작가가 술을 매개로 좋은 사람들과의 연대를 꿈꿀 수밖에 없었던 건 어쩌면 자연스러운 귀결이었을 터, 그에 얽힌 질펀한 이야기들이 이보다 훨씬 더 많지 않았을까 싶다.


갑진년 새해 첫 주가 포근한 날씨 속에서의 진득한 미세먼지처럼 몽롱하게 흩어지고 있다. 술도 마시지 못하는 내게 한잔 하라고 권하는 듯 말이다. 나를 위로하는 누군가에게 건배를 청하고 싶은 밤. 그렇게 2024년의 첫 주가 미끄러지듯 흘러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