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통에 관하여
정보라 지음 / 다산책방 / 2023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소설가 정보라는 무척이나 학구적인 사람이구나, 하는 생각이 절로 들곤 한다. 그를 직접적으로 대면한 적은 단 한 차례도 없지만 말이다. 그럼에도 이렇게 말할 수 있는 것은 그가 쓴 소설의 일부 장면에서 일반 독자가 이해할 수 없는 전문적인 지식과 생경한 단어들의 조합이 맥락도 없이 길게 이어지곤 하기 때문이다. 그 분야의 전문가라면 오히려 아주 쉬운 단어를 동원하여 가장 쉬운 방식으로 설명할 수 있을 테지만, 다양한 분야에 관심을 둘 수밖에 없는 소설가가 특정 분야의 전문가가 될 수는 없는 노릇이니 지적 욕구가 왕성한 정보라 작가는 칭찬을 받으면 받았어야지 비판의 대상이 되어서는 안 된다고 주장할지도 모르겠다. 그러나 작가를 사랑하는 애독자의 한 사람으로서 소설의 흥미를 끊는 전문적인 서술 부분은 못내 아쉬운, 말하자면 정보라 소설의 '옥에 티'로 여겨졌기 때문이다. 물론 소설에서 언뜻언뜻 비치는 생경한 단어를 통해 작가의 높은 학구열은 십분 파악할 수는 있었지만 말이다.


소설의 시작은 상당히 도발적이다. 테러 사건의 범인 '태'와 유명 제약회사 사장의 딸인 '경'이 관계를 하는 장면이다. 그들에게는 '어린 시절에 겪었던 끔찍한 고통의 경험'이라는 공통점이 있었다. 그러나 제약회사 사장의 딸로 태어난 '경'과 달리 아버지에 대한 기억도 없는 '태'는 엄마의 손에 이끌려 형과 함께 사이비 종교 교단에서 성장했다. '태'가 속한 교단에서는 고통을 느끼는 것이 인간을 인간답게 만들어 준다고 믿었고, '태'는 특별한 부작용 없이 강력한 진통 효과를 보이는 'NSTRA-14'를 개발하는 제약사에 폭탄을 던져 사상자를 발생시킨 혐의로 무기징역형을 받고 수감 중이다. 한동안 잠잠하던 교단은 연이어 벌어진 살인 사건에 엮이고, 수사팀은 교단의 내부 사정을 잘 아는 '태'를 동행한다. 그렇게 수사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경찰은 '태'의 형 '한'을 만난다. 폭력을 동원하여 일부러 통증을 유발하고, 그것을 참고 견디는 게 일종의 수련 과정이며 구원의 길이라고 믿는 '한'은 수사가 진행될수록 살인범으로 의심받는다.


"인간은 고통에 의미를 부여하여 삶을 견딥니다. 고통에 초월적인 의미는 없으며 고통은 구원이 될 수 없습니다. 그러나 인간은 무의미한 고통을 견디지 못합니다. 그러므로 생존의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 삶을 이어나가기 위해서 인간은 의미와 구원을 만들어 낸 것입니다."  (p.284~p.285)


제약회사 대표의 딸로 태어나 부유한 가정환경에서 성장한 '경'은 신약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생체실험의 도구로 쓰였으며, 친족 성폭력을 경험하였고, '태'의 폭탄테러로 부모님을 잃고 토네이도에 의해 어린 오빠마저 잃었다. '경에게는 이렇다 할 삶의  목적이란 게 없었다. 그녀를 살아가게 하는 건 동성 배우자인 '현'의 존재였다.


"죽고 싶었는데, 죽고 싶은데도 죽을 수 없었는데, 그래서 살아남았는데, 죽지 않고 살아서 앞으로 찾아올 고통을 또 견뎌낼 수밖에 없다는 사실을 저주했는데, 존재를 태워버릴 듯한 공포와 분노와 절망 또한 몸 안의 고통과 마찬가지로 흔적도 증거도 남기지 않았다. 그래서 경은 칼날로 살을 가르고 불로 몸을 태웠으나 그 역시 새로운 절망과 분노만을 남길 뿐 그 순간이 지나면 고통은 사라졌다. 흉터는 고통의 기억을 되살리지 못했다. 그것은 그저 시간과 함께 바래고 쪼그라드는, 오래된 절망의 초라한 흔적일 뿐이었다. 자신의 몸 전체가 - 존재 전체가 아마 그러할 것이라고 경은 흉터를 보며 가끔 생각했다."  (p.44~p.45)


작가는 '고통'을 바라보는 다양한 관점의 사람들을 통해 우리 사회 곳곳에 산재한 여러 부조리를 파헤치려 한다. 가정 폭력, 아동 학대, 성폭력 등 우리 사회에서 근절되지 않는 폭력과 고통의 악순환은 어쩌면 그 밑바닥에 고통을 이용하여 돈을 벌고자 하는 악의 무리가 존재하기 때문일지도 모른다. 예컨대 고통을 견디는 게 구원의 길임을 설파하는 종교 집단은 우리 삶에서 상존하는 고통을 통해 그들의 권위와 부를 축적하는가 하면 제약회사는 고통을 완화하고 조절하는 약을 판매함으로써 부를 취한다. 인간에게 고통이 없었더라면 그들에게 축재의 수단은 사라지는 셈이다. 어쩌면 우리 사회는 없던 고통도 만들어 냄으로써 고통이 만연한 사회, 고통에 중독된 사회로 나아가고 있는지도 모른다. 자유 시장 경제를 추종하는 한국 사회에서 고통을 감내하는 무한 경쟁의 출혈은 전 생애 동안 계속된다.


"탐색은 실패했다. 이제 경은 그 사실을 이해했다. 사람의 삶은 모두 다르고 고통의 경험도, 고통에 대한 대응도 각각 달랐다. 자신의 고통은 자신만의 것이었다."  (p.301)


로고테라피를 창시한 빅터 프랭클은 말했다. '인간에게 모든 것을 빼앗아갈 수 있어도 단 한 가지, 마지막 남은 인간의 자유, 주어진 환경에서 자신의 태도를 결정하고 자신의 길을 선택할 수 있는 자유만은 빼앗아 갈 수 없다는 것이다.'라고. 정보라 작가는 자신의 소설에서 '경'이라는 인물을 통해 이와 같은 삶의 의미를 발견해가고 있다. 혹자는 우리에게 피할 수 없으면 즐기라고 말한다. 그러나 마냥 즐길 수만도 없는 게 인생 아닌가. 고통을 수용하는 방식 또한 획일적으로 교육되고 그 결과를 요구한다면 그 또한 폭력이 아닐 수 없다. 그것이 종교라고 할지라도 말이다. 우리네 삶에서 고통을 완전히 제거할 수 있는 신약을 발명한다는 것도 있을 수 없는 일이지만 고통을 통해 구원을 받는다는 것도 일종의 세뇌가 아닐까. 세상은 그렇게 단순하지 않고 깨달음의 과정 역시 다양하다는 것을 작가는 자신의 소설을 통해 말하고 싶었는지도 모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