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우리가 아는 모든 언어
존 버거 지음, 김현우 옮김 / 열화당 / 2017년 3월
평점 :
'있어야 할 실체'는 우리의 인식 저변에 당위와 의무를 제공한다. 그러한 당위와 의무는 사실 시간의 연속성상에서 익숙함과 무관심을 낳기도 하고, 본능에 가까운 인간의 호기심으로부터 한 발 멀어지도록 우리를 부추기기도 한다. 그러나 자신의 삶에 충실하다는 것은 한 번뿐인 이 삶에서 더 많은 도전과 경험을 통해 더욱더 많은 깨달음을 얻고, 이를 통해 우리에게 주어진 시간을 어떠한 변화와 흔들림에도 현혹되지 않는 간헐적인 충만함으로 채워가는 것이리라.
"아인슈타인을 비롯한 여러 물리학자들이 설명했듯이 시간은 선적인 것이 아니라 순환적인 것임을 기억하자. 우리의 삶은 하나의 선 위에 찍힌 점이 아니다. 이 선은 전례가 없는 전 지구적 자본주의 질서의 일시적 탐욕에 의해 전달되고 있다. 우리는 선 위의 점이 아니라, 원의 중심이라고 해야 할 것이다." (p.109)
우리나라의 최대 명절이라는 추석. 평소에 자주 못 보던 가족들을 만나 지난 추억을 회상하며 맛있는 음식도 나눠 먹을 수 있는 귀한 시간이지만 명절은 오히려 그들과의 단절을 확인하는 씁쓸한 순간일지도 모른다. 오랜만이라는 시간적 제약으로 인해 누군가의 산적한 이야기를 듣기보다는 나의 이야기를 들려주는 게 우선이라는 생각을 다들 하고 있기 때문이다. 내가 처한 저간의 사정을 들려주기에도 시간은 턱없이 부족한 까닭에 우리들 각자는 듣는 이도 없는 각자의 지난 일들을 허공에 쏟아내고는 서둘러 돌아서는 게 명절의 또 다른 풍경이리라.
"역사에 대한 어떤 감각, 과거와 미래를 잇는 그 감각은 완전히 말살되었거나 있더라도 주변화되었다. 그 결과 사람들은 일종의 역사적 외로움으로 고통스러워하고 있다. 프랑스어에는 길거리에서 사는 사람들을 일컫는 S.D.F Sans Domicile Fixe('일정한 주거지가 없는'이라는 뜻--옮긴이)라는 단어가 있다. 우리는 역사적 S.D.F가 될지도 모른다는 끊임없는 압박 아래 살고 잇다. 죽은 자나 아직 태어나지 않은 자를 받아들이는 인정된 의식이 이제 더 이상 없다. 매일매일의 삶은 있지만 그걸 둘러싸고 있는 건 공백이고, 그 공백 안에서 수백만 명의 우리는 오늘 홀로 있다. 그리고 그런 고독은 죽음을 벗 삼을 수도 있다." (p.61)
미술비평가이자 소설가로서, 사진이론가이자 다큐멘터리 작가로서, 사회비평가이자 인문학자로서 경계를 넘나들며 우리에게 일상의 단면을 다양한 각도에서 보여 줬던 존 버거. 만년에 이른 그가 11편의 짧고 긴 이야기를 통해 우리에게 들려주고자 했던 바는 과연 무엇이었을까. 나는 책의 모든 문장에 밑줄을 긋고 그의 깊은 사색으로부터 하나하나의 문장에 이른 지난한 과정들을 되짚어보았다. 그러나 그가 기록한 모든 문장에는 내가 풀 수 없는 함의가 마치 암호처럼 감추어져 있고, 안타깝게도 나는 그의 암호를 해독할 수 있는 코드북을 갖고 있지 않았다.
"우리의 삶이 이야기대로 펼쳐진다는 것을 알고 나면, 우리는 다른 이야기를 쓰게 될까. 내 생각엔 아니다. 하지만 당시 배 위에서 나는 이야기꾼으로서 운명을 결정하는 자리에 있었다. 내가 정하는 대로 가는 거였다." (p.50)
"우리를 둘러싼 원에는 석기시대 이후로 선조들이 우리들을 위해 남겨 둔 증언들이 있고, 꼭 우리를 향한 것은 아니지만 우리가 목격할 수 있는 텍스트들이 있다. 자연과 우주의 텍스트. 그 텍스트들이 대칭적인 것과 혼란스러운 것이 공존할 수 있음을, 가혹한 운명을 극복하는 기발한 방법들이 있음을, 욕망의 대상이 언제나 약속의 대상보다 더 큰 확신을 주는 것임을 확인시켜 준다." (p.110)
긴 연휴라지만 하루로 가늠할 수 있는 시간들은 어느 때보다 빠르게 흘러간다. 시간 개념이 없기 때문에 시간의 속도를 더 빠르게 인지한다는 건 하나의 모순이다. 어쩌다 보니 또 하루가 흘렀다. '매일매일의 삶은 있지만 그걸 둘러싸고 있는 건 공백이고, 그 공백 안에서 수백만 명의 우리는 오늘 홀로 있다.'는 존 버거의 말이 암호처럼 내 머릿속을 떠돌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