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예술이 그러하듯 문학 역시 개개인의 삶을 관통하여 세상에 출현한다. 그러나 글을 쓰는 이의 성향에 따라 삶을 통과하는 방식은 제각각 다른 절차를 밟게 된다. 어떤 이는 자신의 삶이 경제적 정신적으로 너무나 풍요로운 나머지 소일의 목적으로 글을 생산하게 되고, 어떤 이는 시대의 흐름에 맞춰 인기에 영합하는 방식으로 단지 머릿속에서의 취사선택 과정만 거친 후 글을 생산하기도 하고, 어떤 이는 자신의 삶에 깊이 드러난 상처의 틈새로 폭발 직전의 슬픔을 꾸역꾸역 밀어내기도 한다. 글을 쓰는 과정이 이러하기에 어떤 글은 감정을 공유할 수 없는, 시간의 잉여에 의해 탄생한 푸석푸석한 글이 되고, 어떤 글은 비린내 나는 인간의 욕구가 매 문장마다 점철된, 부패한 글이 되기도 하고, 어떤 글은 상처를 통해 뿜어져 나오는 소나무 송진처럼, 끈적끈적한 슬픔의 잡아당김으로 인해 한 자 한 자 느리게 읽을 수밖에 없는 속독 불가의 글이 되기도 한다.


개인의 재주만으로 매끄럽고 나무랄 데 없는 글이 탄생했다고 할지라도 글쓴이의 삶에 상처가 없다면 그 글은 건조하고 푸석푸석한 글이 되기 십상이다. 그러므로 많은 사람들에게 널리 읽히는 좋은 글이란 어쩌면 글쓴이의 삶에 상처가 많다는 뜻일지도 모른다. 삶의 상처는 개인간의 관계를 다지는 접착제이자 인간과 자연에 대한 애정의 윤활유인 동시에 시간의 깊이를 더하는 우리 뇌의 각성제인 까닭이다. 먼 나라의 화가 빈센트 반 고흐의 글이 그것을 증명하며 가깝게는 한강의 소설이 그것을  입증한다. 정신분석에 문외한인 내가 빅터 프랭클의 저서를 음미하며 읽을 수 있는 까닭도 그런 이유일 게다. 


그러므로 자신의 삶에서 상처가 많았던 이의 글은 인류를 위한 대속이자 희생의 역할을 하는 셈이다. 윤동주의 시를 읽을 때마다 눈물을 흘리게 되는 것도 보편적 인류애에 기인하는 까닭이다. 하여, 자신의 삶에 일부러 상처를 낼 필요는 없지만 상처가 많은 이의 삶을 우리가 보듬어야 하는 이유는 명확한 듯 보인다.


"오늘날 살아 있음, 혹은 무언가 되어 가고 있음을 산문으로 표현하거나 정리하는 일은 어렵다. 담론의 형식으로서 산문은 최소한, 확립된 의미의 연속성이 있을 때 가능하다. 산문은 주변의 서로 다른 관점이나 의견들 사이의 교환이며, 공통의, 설명적인 언어를 통해 표현된다. 그리고 그런 공통의 언어는 대부분의 공적 담론에서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다. 그건 일시적이지만, 역사적이기도 한 상실이다."  ('존 버거 우리가 아는 모든 언어' 중에서)


문학을 전공하지도, 전문가로부터 문학에 대한 가르침을 받지도 않은 내가 십수 년째 블로그에 글을 쓰고, 때로는 잘 알지도 못하는 문학을 어쭙잖게 논한다는 건 꽤나 조심스러운 일이지만 이렇게 비전문가의 생각들이 모여 문학을 더욱 풍요롭게 할 수만 있다면 그 또한 보람이 아니겠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