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옷의 세계 - 조금 다른 시선, 조금 다른 생활
김소연 지음 / 마음산책 / 201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람들은 모두 저마다의 세계에서 저마다의 방식으로 자신의 짧은 생을 구축하고 마감한다. 생명이 있는 대개의 것들이 그런 것처럼. 그런데 시인의 눈에 비친 어떤 것들은 우리의 시선이 닿지 않던 새로운 세상으로 안내하기도 한다. 우리가 알던 세상, 너무도 익숙하여 거부감이나 툭툭 걸리는 느낌이 전혀 없는 세상, 눈을 감고도 그 세세한 부분까지 오차 없이 모두 그려낼 수 있는 세상, 마구 흐트러진 상태에서도 불편함을 느끼지 않는 세상, 격식을 갖추지 않은 부스스한 차림으로도 편하게 만날 수 있는 사람들이 오가는 세상, 우리는 대개 좁디좁은 그런 세계가 자신이 알고 있는 전 우주인 양 생각하며 살아가고 있는 것은 아닐까. 네가 알던 세상이 전부가 아니라는 걸 말해주는 어느 시인의 손길이 없었더라면.


"이번 선물은 시옷의 낱말들이다. 사람이, 무엇보다 사람의 사랑이, 사랑의 상처가, 실은 그 선물이, 그리하여 사람의 삶이, 삶의 서글픔이, 그 서글픔이 종내는 한 줄 시가 된다. 세상을 바꾸려는 손길이 아니라 세상을 다르게 바라보려는 시선이 되는. 그런 시에다 옷을 입히듯 나의 이야기를 입혀보았다. 나의 이야기가 내가 좋아하는 시 구절과 사이좋게 사귀는 모습을 보고 싶어서였다."  (P.8 '사귐 이 책을 건네며' 중에서)


김소연 시인의 에세이 <시옷의 세계>는 다가가는 것에 서툰 시인의 성품을 반영하듯 그렇게 조용한 설명으로 시작된다. 머리말 「사귐」을 필두로 「사라짐」「사소한 신비」「산책」 등을 거쳐 「씩씩하게」까지, 35개의 낱말을 국어사전에 실린 순서대로 다루고 있는 이 책은 각각의 낱말에 대한 사전적 정의라기보다 해당 낱말을 화두로 저자가 자라온 이야기에서부터 아끼는 사람과 사물에 관한, 글귀에 관한, 그리고 시인에 관한 이야기들을 조곤조곤 들려주는 시인 자신의 세계에 대한 안내서인 셈이다. 대부분의 독자가 그렇겠지만 나 역시 『마음사전』을 통하여 시인에 대한 궁금증을 쌓아왔던 터라 이 책 <시옷의 세계>는 여간 반가운 게 아니었다.


"내가 만약, 시에 아프다는 말을 썼거나 불편하다는 말을 썼다면,  그건 아픔을 흔쾌히 허락한다는 뜻이고, 괴로움을 흔쾌히 수용한다는 뜻이고, 불편함을 흔쾌히 수락한다는 의지다. 그걸 즐기겠다는 것도 아니고, 넘어서겠다는 것도 아니고, 견뎌내겠다는 것도 아니다. 그리하여 그걸 시인하겠다는 태도다. 불가능성에서 불구인 채로 시를 얻겠다는 것이다."  (P.128 '손짓들' 중에서)


시인의 이런저런 이야기들 속에는 다른 시인에 대한 이야기도 섞여 있다. 송경동, 쉼보르스카, 신해욱, 심보선 등 여전히 시옷으로 시작하는 시인의 세계. 그곳에서 김소연 시인은 자신이 거닐었던 그들 세상에 대한 추억을 이야기한다. 시인의 일상이라는 게 어디 뭇사람의 일상과 크게 다를까마는 시인이 들려주는 또 다른 시인의 세계는 사뭇 새롭다. 곱게 빗질을 한 언어는 그렇게 한 폭 그림으로, 더없이 나긋한 한 장의 엽서처럼 다가온다.


"비밀 수집가 심보선은 그 비밀들을 시에 담는다. 비밀을 사랑하는 만큼 심보선은 비밀을 고백하는 걸 사랑하는 사람이라서, 그의 시에는 비밀이 없다. 그에게 시는 비밀을 나누는 통로이기 때문이다. 그가 나누고자 하는 비밀이 깊고 큰 것일수록 그의 시는 친절해진다. 평이한 나탈 하나하나가 모여서 비밀을 관통해간다. 능청스러운 말투 하나하나가 모여서 고백을 점묘해간다. 그의 시는 그래서 난해하지 않은 채로 깊다. 우리는 그의 시를 읽으면서 언어의 무늬에 매혹당하기보다는, 비밀을 고백한 시인에 매혹당한다."  (P.240~P.241 '심보선 감염의 가능성을 생각함' 중에서)


언젠가 교과서에서 배웠던 로버트 프로스트의 시 <가지 않은 길>에서 고개를 끄덕이며 공감하게 되는 구절은 "오랜 세월이 지난 뒤 어디에선가/나는 한숨지으며 이야길 하겠지요./숲 속에 두 갈래 길이 있었고, 나는-/사람들이 적게 간 길을 선택했다고/그리고 그것이 내 모든 것을 바꾸어 놓았다고"로 끝나는 마지막 연이 아닐까. 김소연 시인은 이 책의 '상상력'에서 "보이는 세계와 보이지 않는 세계 사이에 숨겨진 공간들, 그 경계의 영역들, 그 이상한 미지의 세계에 대해 느끼는 우리의 모호함을 시인은 상상력의 힘으로 정확하게 호명해낸다."고 썼다. 어쩌면 시인은 '시옷'이라는 다채로운 세상을, 뭇사람들이 느껴보지 못했던 생경한 세상을 애정을 담아 소개하고 싶었는지도 모른다. 그렇게 우리가 사는 세상은 한 뼘 넓어졌는지도 모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