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인의 숙명은 순간순간 어떤 선택을 강요받는다는 점이다. 그리고 그 선택에 대한 즉각적인 반응을 마주해야 하며 좋든 싫든 자신의 선택에 대한 피드백의 무게를 감당해야만 한다. 그러므로 대부분의 정치인에게 있어 자신을 향한 숱한 욕설과 비난은 일상의 풍경처럼 익숙할지도 모른다. 그래서일까 정치인의 평균수명은 종교인 다음으로 높다. MB나 전광훈 목사를 보더라도 '욕먹으면 오래 산다.'는 속설이 틀린 말은 아닌 듯하다.


정치인들의 선택 중 본인이 의도한 것은 아니지만 일정 기간 정치활동을 하면 자의 반 타의 반으로 얻게 되는 것이 있다. '권위'와 '존경'이 그것이다. 둘 다 비슷해 보이지만 전혀 다른 성격의 결과물이다. 이를테면 '권위'는 일정한 직책(고위직이겠지만)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물리적인 힘(권력)을 행사함으로써 타인을 공포와 불안에 몰아넣거나 강력한 반감을 불러일으키게 하는 반면 '존경'은 직책에 부여된 권한이나 권력과는 무관하게 인간 대 인간으로서 가까워지고 본받고 싶은 감정을 불러일으킨다. 박정희나 아베의 사례에서 보더라도 정치인은 권위로 인한 반감의 축적이 결정적인 사인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정치인 스스로가 '권위'를 선택할 수는 있지만 '존경'은 선택할 수 없다는 게 문제라면 문제다. 권력에 집착하면 할수록 '권위'는 자연스레 획득되지만 '존경'은 직책에서 주어지는 합법적인 권력으로부터 무한히 멀어지거나 그 힘에 대한 유혹을 과감히 떨쳐낼 때 획득되기 때문이다.


최근 자신의 권력을 무기로 정적을 제거하고 정신이상자에 가까운 자들을 특별한 직책에 앉힘으로써 국민들로 하여금 반감과 불안을 동시에 느끼도록 하는 굥의 행태는 '권위'에 탐닉하는 정치인의 전형이라고 하겠다. 문 전 대통령이 총살감이라는 막말을 서슴없이 내뱉는 자가 경사노위 위원장에 임명되지 않나 자위대 창립 기념일 행사에 참여한 정치인을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부위원장에 임명함으로써 일본을 본받으라는 메시지를 공공연하게 표방하는 것 등은 많은 사람들의 가슴속에 그에 대한 반감을 차곡차곡 쌓는 일이 될 것이다. 위대한 정치인은 그가 속한 조직의 구성원으로부터 무한한 신뢰와 존경을 받는 인물이지 지속적인 권위를 누리는 자가 아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