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망이 없어져 포기하고 체념한 상태를 우리는 '절망'이라고 말합니다. 그러나 '절망'은 그와 같은 상태에 처하게 된 주요 원인, 말하자면 원인 제공자가 누구냐에 따라 다음 상황이 달라지게 됩니다. 본인의 잘못된 판단과 처신으로 희망이 없는 암울한 상태에 빠졌을 때 개인이 취할 수 있는 행동은 단 두 가지뿐입니다. 좌절하거나 절망을 딛고 새로운 희망을 품거나. 물론 좌절을 선택한 개인 역시 자신의 목숨이 붙어 있는 한 생존을 위해 무엇인가 버들쩍거릴 수밖에 없는 게 현실이지만 말입니다. 그러나 절망감의 원인 제공자가 타인이라면 얘기는 달라집니다. 예컨대 미성년자인 자신을 돌보는 보호자(부모가 대부분이겠지만)의 무능과 방치가 계속하여 이어진다거나 자신이 속한 국가 또는 기업의 대표가 무능하여 도무지 회생의 가능성이 엿보이지 않을 때, 타인의 부작위로 인한 개인은 절망은 단지 수용하는 입장에 처하게 됩니다. 여기에서 개인은 어떤 희망도 품을 수가 없습니다. 이와 같은 절망의 결과는 원망과 분노로 귀결됩니다.


며칠 전 UPI뉴스와 KBC광주방송이 넥스트위크리서치에 의뢰하여 실시한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윤석열 대통령을 생각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단어가 '절망'인 것으로 나타났다고 합니다. 사실 '절망'은 상태를 지칭하는 단어일 뿐이고, 그에 대한 감정은 분노나 원망 혹은 암울한 미래에 대한 공포와 불안이라고 말할 수 있을 듯합니다. 대통령이 무능하여 국가의 미래가 암흑으로 변한다고 할지라도 개인이 할 수 있는 일은 거의 없거나 있다고 하더라도 국가의 운명을 바꿀 만큼 큰 힘을 발휘하지는 못하기 때문입니다. 물론 박근혜 전 대통령처럼 명백한 불법행위가 드러나 대다수 국민들의 요구에 의해 탄핵에 이르는 경우가 있기는 합니다만 취임 후 겨우 100일이 지난 대통령이 이렇다 하게 한 일도 없을 뿐만 아니라 설사 있다 하더라도 탄핵을 주장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많은 어려움이 있을 듯합니다.


그렇다면 대한민국의 국민 대다수가 어찌할 수 없는 '절망'을 가슴에 품은 채 앞으로의 5년을 견뎌야 하는가? 하는 문제만 남습니다. 정말 그렇게 된다면 국민 대다수가 '화병'에 걸리고 말 텐데 말입니다. 덴마크 출신의 철학자 키에르케고르에 따르면 '절망은 죽음에 이르는 병'이라고 했습니다. 인간은 희망을 먹고사는 존재라지만 대한민국 국민 대다수가 오늘날 '절망'이라는 죽음의 늪에 빠지고 보니 배에 구멍이 뚫린 '대한민국호'의 미래가 자못 궁금해집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