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위가 높아질수록 운신의 폭이 넓어지고 개인의 자유 또한 비례하여 증가한다는 건 누구도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조직의 구성원을 제재하는 룰은 변하지 않았다고 할지라도 지위가 올라갈수록 개인의 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상사 혹은 감독관의 수가 현저히 줄어들기 때문이다. 당연하게도 권력의 최정점에 오르면 시스템이나 규칙에 의한 제재만 가능할 뿐 다른 어느 누구의 간섭이나 영향력도 미치지 않음은 물론이다. '법보다 주먹이 가깝다'는 말에서 지적되는 것처럼 사실 유명무실한 룰이나 규칙보다는 한 사람의 상사가 더 두려운 법이다. 그러므로 조직의 최정점에 올라 자신에게 이래라저래라 할 상사를 더 이상 만나지 않아도 된다는 건 회사와 같은 조직의 구성원들에게는 꿈과 같은 일일지도 모른다. 그런 까닭에 많은 사람들이 권력의 최정점을 향해 기를 쓰는 것이다. 언덕 정상에 이르면 바로 굴러 떨어지는 걸 알면서도 무거운 바위를 굴리고 또 굴리는 시시포스처럼...

 

자유의 측면에서 보면 권력의 최정점에 이른 자는 아무도 없는 빈 방에 홀로 있는 것과 같다. 그러므로 지위가 오를수록 스스로를 다스리는 신독(愼獨)에 힘써야 함은 권력에 오르는 자의 의무이자 자유가 방종으로 변질되지 않게 하는 방부제를 지니게 된다는 점이다. 대개의 권력자는 자신에게 무한대로 주어진 주체할 수 없는 자유로 인해 스스로를 망가뜨리고 종국에는 파멸의 불구덩이 속으로 빠져들기 때문이다. 말하자면 신독(愼獨)에 힘쓰지 않는 권력자는 결국 파멸의 길을 걷게 된다는 뜻이다. 예컨대 대중이 이용하는 열차의 의자에 구두를 신은 발을 버젓이 올려놓거나 하는 행위는 권력자의 입장에서 그게 무슨 큰 죄인가 싶겠지만 스스로를 엄격히 제어하거나 삼가지 않는 권력자의 태도에서 우리는 그의 말로를 예측할 수 있다는 것이다. 말하자면 신독(愼獨)에 힘쓰지 않는 권력자의 자유는 일종의 폭력으로 인식하게 된다는 점이다. 여성가족부를 없애는 자유, 대통령 집무실을 용산으로 옮길 자유, 허위 경력과 주가 조작의 범죄 혐의를 받는 아내를 처벌하지 않을 자유, 멤버yuji와 같은 허접한 박사 논문을 그대로 yuji할 자유 등은 최고 권력자에게는 자유일지 몰라도 사회 구성원에게는 일종의 폭력인 셈이다.

 

사회적 지위가 오를수록 자신의 행동을 엄격히 통제하고 스스로를 살피고 삼간다는 건 다른 누군가를 위한 자선행위가 아니다. 그것은 곧 자신의 삶을 지키기 위한 최소한의 방어 수단인 것이다. 그러므로 자신의 지위가 오를수록 신독(愼獨)에 힘써야 한다. 권력자가 약자를 다룸에 있어 손쉽다고 생각하는 건 실질적인 행위가 뒤따르지 않는다 할지라도 그 생각만으로도 커다란 위협이자 폭력이다. 구조적으로 기울어진 운동장에서는 더더욱 그러하다. 여성이나 장애인을 다루기 쉬운 약자로 인식하고 아무렇게나 대접해도 된다고 믿는 사고방식 역시 우리 사회를 위협하는 커다란 폭력이라는 것은 두말할 나위가 없다. 21세기 대한민국은 실체가 없는 폭력에 의해 마구 흔들리고 있다.

 

리베카 솔닛은 말한다.  “어떻게 되든지 간에 괜찮거나 나쁘다는 게 아니라 미래가 불확실하고 결정된 바가 없기 때문에 변화가 가능하며 최상의 변화를 위해 노력할 도덕적 책임이 우리에게 있다는 의미다. 희망은 훈련하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