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순하게 소박하게 - 문명을 거부한 어느 수행자의 일상
전충진 지음 / 나남출판 / 2021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가까이 있던 시간도 지나고 나면 금세 아득해지곤 한다. 내가 직접 겪고 지나온 길이 아닌, 누군가로부터 그저 한 사람의 삶을 귀동냥으로 들었던 것처럼 허허롭고 마냥 멀게만 느껴지는 것이다. 삶을 치열하게 살아오지 못한 것도 원인이라면 원인이었을 터, 내 삶에 좀 더 애착을 가져야 하는 게 아닌가 하는 반성을 하기도 한다. 이따금 시간이 날 때는 말이다. 그렇다고 무릎을 꿇고 앉아 긴 반성문을 쓰거나, 온종일 손을 들고 서 있거나, 벽을 보며 반성의 시간을 갖는 것은 물론 아니다. 전충진 작가의 에세이 <단순하게 소박하게>와 같은 부류의 책을 읽으며 한동안 멍 때리기를 하는 게 내 반성의 전부일뿐이다. 이 책 <단순하게 소박하게>는 기자 출신의 저자가 산중의 스님과 10년 넘게 교류하면서 보고 듣고 느낀 일상을 기록한 책이다.


"스님이 조그만 절이나마 주지 자리를 벗어버리고 일찌감치 농사를 짓고자 나선 것은 이처럼 <지게 철학>에 뜻을 두었기 때문이다. 바로 스스로 먹거리를 해결하며, 그 어디에도 얽매이지 않으면서 자연에 순응하는 삶을 살고자 한 것이다. 내가 소용하는 만큼의 농사를 짓고, 내가 수확한 만큼 그 안에서 만족하는 삶. 그로 인하여 마음은 번거롭지 않고 일상은 소박하게 꾸리는 것. 그 속에서 대大자유인의 모습을 찾는 것이다."  (p.64)


지게도인 육잠 스님이 터를 잡은 곳은 거창군 가북면 내촌리 덕동마을이다. 1317m 수도산 봉우리가 내리뻗은 능 선 한 자락을 뼈대 삼은 첩첩산중으로 전기는 당연히 없고, 이동전화도 잘 터지지 않는 오지 중의 오지이다. 스님은 그곳에 '두곡산방'이라는 삼간 집을 지은 후 낮에는 자급용 농사를 짓고, 밤에는 먹을 갈고 글씨를 쓴다. 산방과 해우소, 토굴까지 스님이 사는 마을 곳곳에는 절도, 절제, 운치, 여유가 스님을 따라 흐른다.


"붓에 의지하여 정진하는 스님에게 붓글씨 공부는 실존이자 실재이다. 살아 있음의 확인이자 구도인 것이기도 하다. '한나절 호미를 잡고 선정에 들고, 한나절 붓대에 의지해 삼매에 빠지는' 일상의 의미가 그렇다."  (p.200)


내가 육잠 스님을 처음 접한 것은 2020년 설 특집으로 방영된 EBS 〈한국기행〉 ‘그 겨울의 산사’ 편을 통해서였다. 사실 그곳은 스님이 처음 거처로 삼고 이 책의 무대가 된 경남 거창의 덕동마을이 아니었다. 몇 차례 집주인들이 손바꿈 하면서 덕동마을이 황폐화되고 숲과 사람이 공존하지 않는 곳으로 변해버리자 스님은 2012년 덕동마을을 떠나 경북 영양으로 옮겼던 것이다. 그곳에서도 스님은 벼루에 먹을 갈아 글을 쓰고, 스스로 길을 만들어 1km 남짓의 오체투지를 일상화하고, 자신이 세상을 떠났을 때를 대비하여 다비목을 준비하는 등 수행자로서, 그리고 세상에 빚을 지고 떠나고 싶지 않은 개인으로서 최선을 다하고 있는 모습이 무척이나 인상 깊었다.


"고독 속에 처해 보지 않은 사람이 어찌 인생을 말하며, 하물며 예술을 운운하겠는가. 스님은 깊은 산중에서 존재를 확인할 수 있는 유일한 수단으로 붓을 택했다. 이제는 그 붓을 고독의 친구로 유희하면서 산중 삶을 즐기고 있는 것이다."  (p.334)


영화배우이자 감독인 찰리 채플린은 "삶은 멀리서 보면 희극이지만 가까이서 보면 비극이다."라고 했다. 말이나 글보다는 영상이 넘쳐나는 시대에 우리는 나의 삶을 부여잡고 살기보다 타인의 삶만 부러워하다 평생을 보내게 생겼다. 스님이 붓을 놓지 않는 이유도 자신의 삶을 다잡기 위함은 아니었을까. 그렇다면 우리는 자신의 삶을 놓지 않고, 순간순간 자신의 삶을 살기 위해 어떤 노력을 하며 살아가고 있을까. 부쩍 추워진 날씨. 나를 벗어난 마음이 어느 거리, 어느 마을, 어느 지붕 밑에 깃들고 있는가. 나는 언제나 내 마음을 품은 온전한 내가 될 수 있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