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을 살아가다 보면 우리는 참으로 다양한 사람들을 만나고, 그 많은 사람들 중에서 자신의 성향과 일치하는 사람들을 가려 교류를 이어가기도 하고 때로는 특별한 이유도 없이 헤어지곤 합니다. 회자정리 거자필반(會者定離 去者必返)이라고 하던가요. 사람들의 만남에는 헤어짐이 있기 마련이고, 돌아간 사람은 언젠가 다시 만나게 되는 법이라는 의미의 불교 용어이지요. 그러나 그 많은 사람들과의 만남을 전부 기억할 수는 없을 테고 그럴 필요도 딱히 없을 듯합니다. 우리의 삶이 한아름의 기억할 수 없는 기억과 기억하는 한 줌의 기억으로 이루어지는 까닭입니다. 그러나 오랜 시간이 흘러도 잊히지 않는 사람이 더러 있게 마련이지요. 어떤 필요에 의한 것은 아니라 할지라도 말입니다.


저 역시 다양한 유형의 사람들을 만나왔습니다. 개중에는 남들에게 요만큼의 손해도 입히지 않으려 하고 반대로 자신도 남들로부터 눈곱만큼의 손해도 보기 싫어하는 사람들을 만나게 됩니다. 그들의 특징은 다른 사람들에 비해 고집이 세고 내면화된 자신들의 신념을 불변의 진리인 양 믿고 있다는 점입니다. 이 글을 읽는 분들 중에서도 혹 고개를 갸우뚱하는 분이 있을지도 모르겠습니다. 그게 뭐 나쁜가? 하고 말입니다. 얼핏 생각하면 개인의 행동지침으로 이것보다 더 쿨하고 쌈박한 것들을 달리 찾아보기 어려운 듯 여겨지기 때문입니다. 남에게 피해도 주지 않고 자신도 피해 입기 싫다는 데 그게 뭐 어떻다고? 하는 생각이 들지도 모르겠습니다. 그러나 그들은 자신들의 신념을 자신 한 사람에게만 국한하지 않고 주변의 다른 사람들에게도 강요한다는 점입니다. 다른 사람들로부터 눈곱만큼이라도 손해를 보지 않으려면 아주 작은 일까지 세세하게 따져야 하기 때문입니다. 예컨대 지난번에 내가 저녁을 샀으니까 오늘은 네가 저녁을 사라는 식이지요. 본인에게도, 다른 사람들에게도 여간 피곤한 일이 아닐 수 없습니다.


2021년의 마지막 날, 그것도 아침부터 별 이상한 말을 다 꺼낸다 싶겠지만 그러한 행동지침을 내면화한 사람이 있다면 올해가 가기 전에 한 번쯤 생각해볼 문제가 아닌가 싶어서 하는 이야기입니다. 왜냐하면 그들이 모르는 게 있기 때문입니다. 우리는 알게 모르게 주변의 많은 사람들로부터 보이지 않는 도움을 받고 있으며 그와 같은 도움이 없다면 생존이 불가능하다는 사실입니다. 저 또한 그 사실을 가끔씩 까먹곤 하지만 말입니다. 당연한 말이지만 우리는 늘 음으로 양으로 타인의 도움을 받으며 자신의 삶을 유지하게 됩니다. 그것을 생각하면 그냥 웃고 넘어갈 일을 한나절 피곤하게 따지는, 그런 짓은 하지 않을지도 모릅니다. 오히려 이름도 알 수 없는 누군가에 대한 고마움을 생각하고 또 생각하겠지요.


야당의 어느 대선 후보는 말하더군요. 현 정부가 무식한 삼류 바보들을 데려다가 정치해서 경제, 외교, 안보 전부 망쳐놨다고. 그도 현 정권의 고위직 인사 중 한 명이었으니 자신도 무식한 삼류 바보라는 절절한 고백이었겠지요. 오늘은 단 하루 남은 2021년의 마지막 날입니다. 마무리 잘하시고 타인에 대한 고마움을 잊지 마시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