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격이 대쪽 같았던 나의 할머니는 철없는 손자들의 실없는 소리도 너그럽게 봐주는 법이 없었다. 할머니가 있는 자리에서 형제들 간에 어쩌다 농담이라도 오갈라치면 "입이 하자는 대로 씨불이냐?' 하면서 호통을 치셨다. 그렇게 엄하기만 했던 할머니의 태도가 어린 손자들은 늘 불만이었다. 그와 같은 불만은 쌓이고 쌓여 급기야는 어머니에게 전달되는 경우도 더러 있었는데 그럴 때마다 어머니는 "그러게 누가 그런 실없는 소리를 하라던? 좀 조심하지 않고." 하는 식으로 우리의 잘못을 지적하곤 했다. 어머니로서 자식의 입장에서 편들어 감싸주거나 역성을 들어주는 일이 전혀 없었던 것이다.


청소년기를 거치는 동안에도 할머니에 대한 불만은 여전히 사라지지 않았다. 내가 할머니를 처음으로 이해하게 된 사건은 우연히 찾아왔다. 한글도 깨치지 못하셨던 할머니는 매년 연중행사처럼 빼놓지 않고 방문하던 사찰이 있었는데 어찌나 지극정성이셨던지 법문을 적은 종이를 손자들에게 읽어달라고 하는 것만으로도 꽤나 긴 법문을 통째로 외우실 정도였다. 나는 어쩌다 궁금해서 지나가는 말로 여쭈었던 적이 있다. "할머니, 절에 가면 뭘 비세요?" 했더니 즉시 답이 돌아왔다. "다른 건 없고 3일만 앓고 죽게 해 달라는 것과 손자들 잘 되게 해 달라는 게 다야." 하셨다. 나는 마치 망치로 뒤통수를 얻어맞은 듯한 충격을 받았다. 살가운 말이라고는 일체 꺼내는 법이 없으셨던 할머니. 손주들을 마냥 미워하시는 줄만 알았던 나의 할머니에게 있어 제1순위의 소원이 손자들 잘 되는 것이었다니... 할머니는 당신의 소원처럼 단 하루도 앓지 않고 심장마비로 돌아가셨다. 그 후로 나는 어떤 말이든 입 밖으로 내뱉을 때는 할머니를 생각하곤 한다. 입이 하자는 대로 씨불이지 않기 위해서.


입에서 나오는 대로 함부로 말한다는 의미의 사자성어는 흔히 '신구개하(信口開河) 또는 ‘신구자황(信口雌黃)’이라는 말을 쓴다. 주로 정치인에게 쓰이는 말이다. 최근에도 "식용 개는 따로 키우지 않느냐?"고 반문하던 어느 정치인이나 로봇의 복원력 실험을 하는 어느 정치인에 대해 감정이입 능력이 없다며 로봇 학대를 주장했던 어느 석사, 또는 '윤석열을 위해 '홍어준표' 씹다'는 등의 막말을 한 어느 교수 모두 그놈이 그놈이긴 하지만 그들의 공통점은 입이 하자는 대로 씨불인 '신구개하'의 인물들이란 점이다. 어쩌면 그들은 어려서부터 밥상머리 교육을 제대로 받지 못한 까닭에 나이가 들어서도 그 버릇이 부지불식간에 나오는지도 모른다. 자식 교육을 제대로 하지 못한 부모의 책임이라면 책임일 것이다. 그들의 인성이 나쁜 게 아니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