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생각하는 '겸손'이 과연 미덕이기만 할까? 하는 생각을 할 때가 더러 있습니다. 그렇다고 겸손하지 말라고 말한다거나 겸손의 미덕을 마구 흠집 내려는 건 아닙니다. 오히려 나는 요즘 젊은이들이 좀 더 겸손해졌으면 하고 바라기도 하고 자신을 표현함에 있어 과장된 몸짓이나 부풀려진 말로 떠벌리는 걸 몹시도 싫어하는, 이른바 '꼰대' 기질이 다분한 그런 사람이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작금의 '겸손'은 과거 우리의 선조들이 귀히 여기던 그런 느낌의 '겸손'과는 상당히 다르다고 생각합니다. 그럴 만도 하겠지요. 많은 세월이 흘렀으니까요. 우리가 생각하는 겸손의 개념도 달라져 있고 그 방법이나 뜻조차 많이 왜곡되고 변질되었다는 것을 현실에서 번번이 느끼곤 합니다.

 

그러나 여전히 우리 민족과 서구 사회 구성원을 가름하는 가장 큰 차이점은 지나친 '겸손'에서 비롯된다는 생각에는 변함이 없습니다. 물론 육체적, 정신문화적 차이 등 다양한 구분이 가능하겠습니다만 오늘 말하려고 한 주제는 '겸손'에 국한된 까닭에 다른 것들은 가급적 들먹이지 않을 생각입니다. 그리고 우리 사회의 공동체적 단합은 겸손을 바탕으로 한 타인에 대한 배려에서 비롯되었다는 걸 잘 알고 있는 까닭에 겸손의 미덕을 깎아내릴 의도 또한 전혀 없다는 걸 말하고 싶습니다.

 

그럼에도 겸손의 문제점을 한 번쯤 짚고 넘어가야겠다고 생각했던 건 어느 날 갑자기 들었던 생각은 아닙니다. 말하자면 나는 오래전부터 이것에 대해 생각해 왔고, 우리 사회의 몇몇 구성원들이 겸손이라는 명목으로 자신을 숨기고, 자신에게 가장 유리한 방면으로 여론을 형성해 왔다는 사실에 분개했던 것입니다. 말하자면 공동체를 생각하고 타인에 대한 배려 차원에서 존재하던 '겸손'이 작금에 이르러서는 자신의 이익을 지키기 위한 숨겨진 무기로 사용된다는 점입니다. '겸손'을 가장한 사기인 셈이지요.

 

그 대표적인 사례가 종부세의 문제입니다. 종부세는 주택 및 토지의 공시 가격을 인별로 합산한 결과, 합계액이 과세기준금액을 초과하는 경우 그 초과분에 대하여 과세되는 세금인 까닭에 토지 및 주택의 공시 가격이 크게 오를 경우 납세 대상과 금액이 상승하는 게 사실입니다. 그러나 각자가 납부해야 할 세액은 상황에 따라 다르고 납부자에게 실제로 고지되는 납부 세액은 그렇게 높지 않은 게 사실입니다. 그럼에도 언론에서는 '세금 폭탄'이라는 둥 강남에서 1주택을 소유한 은퇴자는 집을 팔아 세금을 내야 하느냐는 둥 엄살을 떨곤 합니다. 이건 숫제 '겸손'이나 엄살이 아니라 세금을 내지 않겠다는 엄포 또는 사기에 가까운 행태인 것입니다. 9억을 초과하는 1가구 1주택을 소유자들의 평균 자산 총액이 3억 5천만 원정도에 이르니 말입니다.

 

우리 사회에서는 언제부턴가 자신의 재산을 혹은 부의 정도를 최대한 낮추어 말하는 경향이 있어 왔습니다. 예컨대 '친구 00에게 비하면 나는 거지나 다름없다'는 둥 '나는 겨우 입에 풀칠할 정도'라는 둥 모르는 사람이 들으면 우리 주변에는 '생활보호대상자'만 득실거리는 듯합니다. 그러나 그들의 실상은 상상 이상의 재산을 소유하고 있고, 그들의 자산은 대대로 대물림되는 실정입니다. 국민들 전체가 그들의 죽는소리를 액면 그대로 믿게 된 데는 그들의 홍보 수단으로 전락한 언론의 역할이 한몫한 까닭입니다. 언론 종사자 역시 그들과 같은 자산가의 후손이거나 억대 자산가 중 한 사람이기 때문입니다. 얼마나 많은 사기를 쳐 왔는지 우리나라의 최고 자산가 중 1인인 이재용 부회장이 그에게 부과된 상속세를 납부하지 못할까 봐 걱정하는 지경에 이르렀을까요. 1년 연봉 7천만 원도 못 받는 사람들이 배당금만 7천억 원 이상을 받는 이재용 부회장을 걱정한다는 게 말이나 되는지요.

 

서구 사회는 개인주의 사회로 대표되는 사회입니다. 말하자면 약육강식의 동물 세계나 다름없지요. 그러므로 자신의 부나 권력을 최대한 부풀려 내보여야 하고 자신의 약점은 드러내지 않는 게 관습처럼 이어져 왔습니다. 그러나 우리 사회는 타인의 입장을 고려해서 자신의 부나 권력을 가급적 낮춰왔던 게 사실입니다. 벼는 익을수록 고개를 숙인다는 겸손의 미덕이 공동체의 결속을 다지는 데 큰 역할을 해 왔던 셈입니다. 그러나 이러한 미덕이 변질되어 자신의 이익을 지키는 데 이용된다면 사회 구성원들 간의 단합은 기대하기 힘듭니다. 언론에서도 이제 '당신은 얼마나 가난하냐?'고 물을 게 아니라 '당신은 대한민국의 몇 번째 부자냐?'고 물어야 할 듯합니다. 그리고 그 물음에 당당하게 답할 때가 되었습니다. 자본주의 국가에서 공정과 정의는 과세의 형평에서 비롯되는 것이지 법과 도덕의 준수와 같은 절차적 정의에 기대는 것은 아닙니다. 그것은 민주주의가 발달할수록, 기술이 발달할수록 투명해지고 자연스레 지켜지는 것입니다. 누군가 데모를 한다고, 검찰이 대대적으로 조사를 한다고 나아지는 게 아니라는 말입니다. 그보다는 오히려 과세의 형평이 이루어지지 않을 때 앞장서서 나아가 문제를 지적하고 끝까지 싸워야 한다는 게 내 생각입니다. 그러나 대부분의 사람들이 숫자에 약하고 세법 또한 복잡하기에 깊게 들여다보지 않으려 합니다. 그런 약점을 이용하여 언론을 이용한 우민 정치가 쉬워지는 것이겠지요. 쓰다 보니 두서없이 말만 길어졌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