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무튼, 하루키 - 그만큼 네가 좋아 아무튼 시리즈 26
이지수 지음 / 제철소 / 2020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떤 분야에서 커다란 업적이나 성과를 보인 한 사람으로 인해 수많은 사람들의 인생이 바뀌는 건 어쩌면 흔한 일일지도 모른다. 인생이란 적어도 자신이 추종하고픈 누군가의 삶을 알게 모르게 선망하면서 자신의 삶을 천천히 꾸려나갈 테니까. 인생의 롤모델까지는 아니어도 세상을 살다 보면 어느 순간 자신이 유지해오던 관심의 물꼬를 순식간에 돌려놓을 만한 사람은 언제든 나타날 수 있고, 그렇게 바뀐 관심으로 인해 삶은 조금씩 변화하는 게 아닐까. 그게 좋은 방향이든 아니든 그 당시로서의 나는 내가 선택할 수 있는 최선이라고 믿을 테니까 말이다.

 

나만 하더라도 그렇다. 그림에는 문외한일 뿐만 아니라 관심조차 없던 내가 후기 인상파 화가인 빈센트 반 고흐의 서간문을 엮은 책 <반 고흐, 영혼의 편지>를 읽은 후 반 고흐의 그림과 미술사에 대해 조금이나마 관심을 갖게 된 걸 보면 나의 인생 역시 빈센트 반 고흐로 인해 조금 달라졌던 게 아닐까. 나와 같은 경우는 어쩌면 우리 주변에서 흔하디 흔한 사례일지도 모른다. 누군가의 삶을 변화시키는 분야는 비단 미술 분야에서 그치는 게 아니고, 음악이나 문학, 정치, 경제, 역사 등 우리의 삶을 구성하는 전 분야를 관통한다.

 

<아무튼, 하루키>를 쓴 이지수 번역가 역시 그러한 케이스인 듯싶다. 열다섯 살 중학생 시절부터 하루키 소설에 빠져들었고, 하루키를 누구의 중개도 없이 읽고 싶어서 '히라가나'도 모르면서 일문과에 진학하였고, 대학 2학년을 마치고 휴학을 한 후 돈을 모아 교환학생으로 일본 유학길에 올랐다고 하니 용기도 가상하고, 이만하면 하루키 덕후로서의 자격은 충분하지 않을까. 물론 하루키스트를 자처하는 편혜영 작가, 김연수 작가, 임경선 작가 등 하루키 문학의 덕후를 자처하는 작가들 역시 정도의 차이는 있을지언정 이지수 작가에 못지않은 것으로 알고 있다. 특히 임경선 작가는 하루키의 흔적을 따라 일본 여행을 했을 정도로 하루키에 대한 각별한 팬심을 드러낸 것으로 알고 있다.

 

"하루키는 나에게 작가가 독자에게 줄 수 있는 가장 근사한 경험을 안겨줬다. 인생의 절반 이상을 그 작가의 저작과 함께 보내게 해준 것. 그리하여 나의 내면과 삶이 실제로 어떤 변화를 일으킨 것. 그것만으로도 노벨문학상을 받든 말든 하루키는 나에게 언제까지나 가장 특별한 작가일 터다." (p.166 '에필로그' 중에서)

 

이 책의 구성은 하루키의 초기작인 <바람의 노래를 들어라>를 비롯하여 <노르웨이의 숲>, <양을 쫓는 모험>, <스푸트니크의 연인>, <국경의 남쪽, 태양의 서쪽>, <기사단장 죽이기> 등 하루키가 쓴 장편소설을 위주로 다루고는 있지만 <이윽고 슬픈 외국어>, <무라카미 라디오>, <직업으로서의 소설가> 등의 에세이와 <1973년의 핀볼>과 같은 단편소설도 등장한다. 지면만 허락되었더라면 작가는 어쩌면 무라카미 하루키에 대한 벽돌책 한 권도 뚝딱 써내려갈 수 있지 않았을까 싶다.

 

"여담이지만 하루키와 미즈마루의 일화 중 내가 가장 좋아하는 것은 '기차 식당 칸에서 비프커틀릿을 먹는 로멜 장군'의 삽화에 관한 이야기다. 하루키는 어떤 삽화든 척척 그려내는 미즈마루가 한 번이라도 고심하는 모습을 보고 싶어서 '기차 식당 칸에서 비프커틀릿을 먹는 로멜 장군'이라는 주제로 글을 썼으나 미즈마루는 손쉽게 그려버렸다. 이에 하루키는 설령 '수염을 깎는 카를 마르크스를 따스한 눈길로 지켜보는 엥겔스' 같은 난도 높은 주제를 던져도 미즈마루에게는 누워서 떡 먹기일 거라며, 그렇다면 아예 단순한 주제로 골탕을 먹여보자 하고 두부에 관한 글을 세 편 연속 썼지만 미즈마루는 이 역시 아무렇지 않게 쓱쓱 그려버렸다." (p.128~p129)

 

사실 이 책을 접하는 많은 사람들은 작가가 하루키 문학에 대한 한 사람의 팬으로서 사심 가득한 편파적 평가의 글로 지면을 가득 채우지 않았을까 하고 지레 의심할 수도 있다. 책을 펼치기도 전에 '아마 그럴 거야.' 하고 색안경을 낀 의심의 눈으로 바라볼 수도 있고 말이다. 그러나 이 책은 무라카미 하루키의 작품을 지극히 사랑하는 한 명의 애독자가 자신의 삶을 되돌아보면서 쓴 성장담이자 지금까지의 인생 후기쯤으로 읽힌다. 작가의 성장과 더불어 하루키의 작품이 늘 곁에 있었을 뿐이다. 나 역시 하루키 문학의 애독자로서 작가의 이야기가 낯설지 않았던 것도 그런 까닭이다. 자신의 인생에서 한 사람의 롤모델을 발견한다는 건 자신의 삶을 긍정적인 쪽으로 변화시키고 인생을 풍요롭게 하는 더없이 좋은 기회이자 행운의 선물인지도 모른다. 그런 기회는 쉽게 오지 않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