붕대 감기 소설, 향
윤이형 지음 / 작가정신 / 2020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비가 그친 직후에 숲길을 걸어본 사람이라면 잘 알지도 모르겠다. 숲 밖에는 비가 그쳤지만 숲에는 여전히 비가 내리고 있다는 사실을. 키가 큰 나무의 잎사귀에 고여 있던 빗물이 그보다 작은 나무의 잎사귀로, 그리고 마침내 길 옆의 작은 풀잎으로 떨어져 내리는 소리가 마치 빗소리처럼 선명하게 들리는 것이다. 우리가 흔히 말하는 낙수효과(落水效果)를 현실에서 체험하는 셈인데 공동의 번영을 위한 상부상조의 미덕은 자연계에서는 너무나 흔하고 자연스러운 일이지만 유독 인간의 세계에서 만큼은 쉽게 접할 수 없는 진귀한 일이고 보니 이따금 듣게 되는 낙숫물 소리에 씁쓸한 느낌이 절로 들곤 한다. 인간에게 있어 권력과 부는 나보다 못한 사람에게 베풀어야 하는 빗물과 같은 게 아니라 움켜쥐고 놓지 않아야 할 그 무엇이 되고 말았다는 사실로 인하여 비가 그친 오후의 어느 숲길을 걸을 때마다 나는 크게 다르지 않은 한 인간으로서 부끄러움과 죄책감을 동시에 느끼곤 한다.

 

윤이형의 소설 <붕대 감기>는 페미니즘 이슈를 다룬 소설인 동시에 다름이 곧 분열이라는 이분법적 사고에서 벗어나 다름을 통하여 공존과 화합의 길로 나아가 종국에는 모두가 꿈꾸는 다양하고 다채로운 세상을 만들 수는 없을까를 생각하게 하는 다양한 인간 군상의 이야기이기도 하다. 예컨대 우리 모두는 서로에게 상처를 주는 가해자인 동시에 다른 누군가로부터 상처를 받은 피해자인 까닭에 중첩되는 마음을 자신의 내부에서 낮과 밤의 경계처럼 확연히 선을 긋고 어느 한쪽을 걷어낼 수 없는, 말하자면 우리는 똥 묻은 개인 동시에 겨 묻은 개와 같은 존재인 까닭에 서로에게 우리는 위로와 용서를 구할 수밖에 없다.

 

"아무것도 하지 않는다고 화를 내다가, 무언가를 하니까 또다시 당신은 자격이 없다고 비난하는 건 연대가 아니야. 그건 그냥 미움이야. 가진 것이 다르고 서 있는 위치가 다르다고 해서 계속 밀어내고 비난하기만 하면 어떻게 다른 사람과 이어질 수 있어? 그리고, 사람은 신이 아니야. 누구도 일주일에 7일, 24시간 내내 타인의 고통만 생각할 수 없어. 너는 그렇게 할 수 있니? 너도 그럴 수 없는 걸 왜 남한테 요구해?" (p.108~p.109)

 

소설의 큰 얼개는 고등학교 동창인 진경과 세연의 우정과 그들을 둘러싼 인물들의 이야기라고 할 수 있다. 예쁜 외모와 따뜻한 마음씨로 어려서부터 인기가 많았던 진경과 커다란 모공과 여드름 자국을 가리기 위해 친구들의 비난을 감수하면서까지 화장을 고집했던 세연. 교련 시간에 우연히 짝이 되었던 두 사람은 서로의 머리에 붕대를 감는 실습을 하게 되었고 타인의 시선에 익숙하지 않았던 세연은 붕대를 한 바퀴 더 감는 바람에 짧아진 붕대의 뒷마무리를 하지 못한 채 바짝 잡아당기는 바람에 진경은 비명을 지르고 만다. 그 일을 계기로 가까워진 두 사람은 대학을 졸업하고 사회인이 되어 다시 만나게 되는데...

 

"우정이라는 적립금을 필요할 때 찾아 쓰려면 평소에 조금씩이라도 적립을 해뒀어야 했다. 은정은 그런 적립을 해둬야 한다는 생각도, 자신에게 도움이 필요할 거라는 예측도 하지 못했다. 그런 식의 적립과 인출이 너무도 부자연스럽다고, 노골적인 이해관계나 다를 것 없다고 생각했고, 그렇게 친분을 쌓는 사람들을 남몰래 폄하했다." (p.23)

 

소설에서는 계층, 학력, 나이, 직업 등이 모두 다른 다양한 여성들의 개별적인 서사가 연쇄적으로 이어진다. 불법 촬영 동영상 피해자였던 친구를 보고도 도움을 주지 못했다는 죄책감으로 시위 현장에 나가게 되는 미용사 지현, 영화 홍보기획사에 다니는 워킹맘이자 의식불명에 빠진 아들 서균을 둔 은정, 그런 서균과 간은 어린이집에 다니는 딸 율아의 엄마 진경, 진경의 절친한 친구이자 출판기획자인 세연 등 자라나 온 환경도, 지금 처한 입장이나 처지도 각자 다른 우리 시대의 여성들이 고해성사를 하듯 자신의 이야기를 털어놓는다. 그러나 '다름'은 때로 비난이나 경멸의 빌미가 되고, 다르다는 이유로 미움을 키워가게 마련. 여고 동창생인 진경과 세연도 다르지 않았다.

 

"진경은 여전히 세연을 좋아했고 존경할 만한 친구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하지만 세연아, 너의 물기들은 어디로 갔어? 바람이 조금 빠진 자전거 타이어처럼 눌러보는 사람이면 누구나 피식피식 웃을 수밖에 없던 너의 여유는, 농담들은, 꿈꾸는 듯한 문장들은 어디로 간 거야? 그건 너와 내가 공유하던 빛나던 보물이었는데. 왜 이렇게 지상의 삶에 밀착되어 자갈과 흙과 모래들만 바라보는 사람이 된 거야? 그 돌들끼리 부딪칠 때면 이를 가는 것처럼 진절머리가 나는 소리가 나던데, 어떻게 그것들을 쉬지도 않고 다 듣고 있는 거야? 진경은 그렇게 묻고 싶었다. 세연은 결코 들을 일도 대답할 일도 없겠지만." (p.62)

 

결혼하여 딸을 두고 있는 진경과 독신으로 오직 성공을 위해 달려왔던 세연이 각자의 입장을 도외시한 채 전적으로 상대방의 입장에서 생각한다는 건 있을 수 없는 일, 더구나 성장기에 겪었던 각자의 가정환경이나 자신에게 주어진 신체적 특징으로 인해 형성된 가치관이나 세계관도 무시할 수는 없는 일. 이처럼 우리는 동시대를 살아가는 다양한 인간의 숲에서 제 삶의 영역을 확보하고 나를 이해하는 누군가와 연대하며 또 누군가를 향해 애정의 손길을 뻗어보지만 그 모든 게 키 큰 나무가 자신의 잎사귀에 고인 빗물을 흘려주는 것처럼 자연스러울 리는 없다. 고등학교 시절 자신의 얼굴에 난 결점을 가리기 위해 기를 쓰고 화장을 하던 세연이 화장을 적극적으로 권하는 대학에서의 달라진 풍경을 보며 환멸을 느끼고 화장을 그만두는 장면은 매우 인상적이었다. 자연에서의 '다름'이 '조화'와 '상생'을 통해 멋진 풍경을 연출하는 것처럼 우리 사회에서의 '다름'이 공격의 빌미가 되지는 않았으면 좋겠다. 멋진 '조화'까지는 바라지 않더라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