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권리는 희생하고 싶지 않습니다 - 절대 외면할 수 없는 권리를 찾기 위한 안내서
김지윤 지음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20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4·15 총선이 끝나자마자 모든 언론들은 제각각 그 결과에 대한 다양한 분석들을 쏟아냈다. 그도 그럴 것이 정부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이 180석에 육박하는 의석을 확보함으로써 압도적인 승리를 거두었기 때문이다. 2004년 노무현 대통령 탄핵 직후에 있었던 총선에서 여당이었던 열린우리당이 152석을 확보함으로써 겨우 과반을 넘겼던 걸 생각하면 180석은 그야말로 천지가 개벽할 수준의 놀라운 결과였다. 이를 두고 한 신문은 대한민국 유권자의 이념 지형이 보수에서 진보로 변화했다는 분석 기사를 실었다. '노동운동 및 민주화운동 세력으로 인식되던 진보가 산업화시대를 대표하던 보수세력을 밀어내고 우리 사회 주류로 등극하는 서막이 올랐다'고도 썼다. 과연 그럴까? 해방 이후 70여 년 동안 쇠심줄처럼 변하지 않던 이념 성향이 하루아침에 어떻게 그토록 쉽게 변할 수 있었을까? 국민 개개인의 이념이 손바닥을 뒤집듯 그렇게나 쉽게 바뀔 수 있는 것이었던가. 나는 도무지 믿을 수가 없었다.

 

김지윤 박사의 저서 <내 권리는 희생하고 싶지 않습니다(알에이치코리아, 2020)>를 읽게 된 것도 그와 같은 그와 같은 맥락의 연장선상에서 비롯되지 않았나 싶다. 저자가 아산정책연구원 여론분석센터 센터장으로 활동하면서 다년간 한국 사회의 이슈를 조사하는 과정에서 발견한 대한민국 사회의 부조리한 모습들이 이 책에 담겨 있기 때문이다. 저자는 책에서 우리의 일상을 지배하고 있는 불균형을 우리가 제대로 인식하고 각자가 자신의 권리에 대한 목소리를 높여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모든 이들이 '주류'라는 안전망을 좇지만, 사실 우리는 대체로 '비주류'이다. 나는 남이 믿거나 말거나 '비주류'라고 말한다. 잘난 것보다 못난 것이 많은 인간이었기에, 비주류 속에서 편안함과 안온함을 느낀다. 어쩌면 나는 이 책을 통해 나의 '비주류'로서의 정체성을 알리고 싶었는지도 모른다. 그리고 더 많은 비주류들과의 교류와 공감을 통해, 코끼리에게 다가갈 수 있는 용기를 얻길 원한다." (p.10 '프롤로그' 중에서)

 

1장 '여성의 권리는 곧 인권이다', 2장 '나는 약자인가, 강자인가?', 3장 '공동체는 단수인가, 복수인가', 4장 '계급이 쏘아올린 빈곤 곡선'의 총 4장으로 구성된 이 책에서 저자의 주장은 비교적 선명하게 드러난다. 여성, 장애인, 성 소수자 등 우리 사회의 약자로 분류되는 그들의 삶을 조망하고 점점 더 옅어지는 공동체의 보호막과 확대되는 빈부 격차의 추세 속에서 우리는 과연 어떻게 행동해야 하며, 어떤 세상을 꿈꾸어야 하는가? 에 대한 저자 자신의 주관적 견해와 비관적 전망, 그럼에도 우리 사회는 공동의 선을 향해 나아갈 것이라는 믿음이 책에 담겨 있다.

 

"강한 민족주의가 만든 가장 큰 부작용은 배타성이다. 민족이라는 내 집단 속의 사람들과 끈끈한 애착 관계를 맺고 있다면, 외부인에 대해서는 그만큼 배타적 시각을 가질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강한 '우리'의 관계는 악의적인 '그들'이 있어야 정당성을 가지고 더욱 공공해진다. 특히, '그들'이 '우리'에 비해 열등하거나 비열하거나 정의롭지 못하면 '우리'의 가치는 더욱 빛난다. 이 지점에서 '우리'는 단순한 관계망에서 선한 당위성을 가진 집단으로 승화된다. 선한 당위성이 강해지면 내가 속한 '우리'는 정의로워진다. '우리' 집단의 존재 가치는 더욱 올라가게 마련이고, 집단 공동체의 자긍심은 절대적인 것으로 완성된다. 그리고 어느 순간, 이 절대적인 존재를 지키기 위해 목숨도 지푸라기처럼 버릴 수 있게 된다." (p.179)

 

책에서는 크게 다루고 있지는 않지만 우리 사회의 불균형을 조장하고, 대대손손 그러한 불균형을 세습하며, 불균형의 정도를 확대 재생산하도록 유도했던 세력이 바로 언론이다. 우리 사회의 빛과 소금이 되어야 할 언론이 제 역할을 떠나 국민의 눈과 귀를 가리고 기득권 세력의 불법을 옹호하고 감싸줌으로써 기득권 세력에 대한 비판을 앞장서서 막아주는 역할에 열과 성을 다해왔던 것이다. 그럼으로써 그들 역시 정치권의 비호 속에서 승승장구했던 것은 물론이다. 여론을 주도하는 몇몇 거대 언론의 꼭두각시놀음에 국민들마저 놀아나지 않았나 싶은 것이다. 그러나 언론의 지형이 바뀌고 정보의 접근성이 좋아지면서 우리 사회는 빠르게 변하고 있다. 유권자의 이념 지형이 바뀐 게 아니라 조작에 가까운 언론사의 농간에서 우리 국민이 빠르게 벗어나고 있음을 4·15 총선의 결과가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사고가 나면 취약 계층의 사람들이 가장 큰 타격을 입고 감염병은 여전히 이들을 가장 악랄하게 공격한다. 우리가 해야 할 일은, 분명히 존재하는 이 법칙을 외면하지 않고 공격의 총체적 영향력을 줄이는 노력을 하는 것이다. 바이러스는 누구나 차별 없이 공격한다며 세상에 뭐 하나쯤은 공평하다는 말을 하고, 그러니까 다 함께 노력해서 극복하자는 정신 승리는 이제 그만 할 때가 되지 않았나?" (p.258 '에필로그' 중에서)

 

코로나 정국을 겪으면서 우리는 국가의 리더가 어떠한 역할을 수행하느냐에 따라 국민의 안위가 달라짐을 몸소 체험하게 되었다. '민주주의는 피를 먹고 자란다'지만 40년 전 그날의 광주 시민들이 겪었던 참혹했던 경험을 세월이 한참이나 흐른 후에 그저 언론으로만 접했던 나는 동시대를 살았던 한 사람으로서 가슴 한켠에는 언제나 광주 시민들에 대한 커다란 부채의식을 안은 채 살아가고 있다. 어제 있었던 5·18 기념식장에서 연설을 하던 대통령 역시 크게 다르지 않았으리라. 우리가 시급히 회복해야 할 것은 어쩌면 아주 단순한 것일지도 모른다. 우리를 하나로 결속시키는 공동체의 연대와 약자에 대한 배려, 그리고 부당한 권력에 대한 부단한 저항.  5·18 광주 민주화 운동을 하루 지난 오늘, 나는 마음속으로 가만가만 되뇌어 본다. '희생을 보고 외면하지 않는 용기를 주소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