깊이에의 강요
파트리크 쥐스킨트 지음, 김인순 옮김 / 열린책들 / 2002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우리 사회는 어쩌면 다른 누군가를 낙인찍는 일에 아주 익숙할지도 모르겠습니다. 아무런 죄의식도 없이 말이지요. 국민성이 나쁘거나 교육이 잘못되어서 그렇게 되었다고는 생각하지 않습니다. 그보다는 오히려 그런 문화에 오래도록 익숙했던 까닭이 아닐까 싶습니다. 이를테면 이런 것이지요. 약자나 소외된 사람을 돕는 사람은 무조건 빨갱이라거나 종북으로 낙인을 찍고, 자신의 잘못을 순순히 인정하는 사람 또한 바보 천치로 인정받기 십상인지라 한 번 그렇게 낙인이 찍히면 그 주변 사람들 역시 그 사람으로 인해 자신들도 덩달아 피해를 입을까 봐 그 사람을 멀리하곤 하는 식이었습니다. 이런 문화로 인해 잘못을 저지르고도 쉽게 인정하기는커녕 되레 큰소리를 치거나 약자를 경멸하고 더욱더 따돌리려 했던 것이지요.

 

한 분야의 전문가라고 하는 사람들 역시 다르지 않았습니다. 자신의 이익을 위해서는 언제든 다수의 편에 설 준비가 되어있었지요. 파트리크 쥐스킨트의 소설 <깊이에의 강요>를 읽은 사람이라면 누구나 전문가 그룹의 '낙인찍기'에 대한 생각을 하지 않을 수 없을 듯합니다. 소위 지식인이라고 하는 사람들의 적나라한 민낯이 만천하에 드러나는 것이지요.

 

"소묘를 뛰어나게 잘 그리는 슈투트가르트 출신의 젊은 여인이 초대 전시회에서 어느 평론가에게 이런 말을 들었다. 그는 악의적인 의도는 없었고, 그녀를 북돋아 줄 생각이었다.「당신 작품은 재능이 있고 마음에 와 닿습니다. 그러나 당신에게는 아직 깊이가 부족합니다.」평론가의 말을 이해할 수 없었던 젊은 여인은 그의 논평을 곧 잊어버렸다. 그러나 이틀 후 바로 그 평론가의 비평이 신문에 실렸다." (p.11)

 

그 젊은 여인은 어찌 되었을까요? 안타깝게도 비극적인 결말을 맺습니다. 아름답고 재능이 있던 젊은 여인은 깊이가 없다는 세간의 혹평으로 인해 스스로의 삶을 마감했던 것이지요. '좀머 씨 이야기'와 '향수'를 통해 우리에게도 잘 알려진 작가 파트리크 쥐스킨트가 바라보는 세상은 결코 관대하지 않습니다. 관대하기는커녕 냉정하고 몰강스러운 곳이죠. 약자나 소수자에게는 더더욱 살기 어려운 곳일 뿐이라는 사실을 작가는 냉정하게 드러냅니다.

 

소위 전문가라는 사람들의 평은 항상 그런 식입니다. 조목조목 구체적으로 지적하거나 칭찬하는 대신 추상적인 단어를 사용하여 두루뭉술하게 넘어가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그래야 나중에 빠져나갈 구멍이 생기는 법이지요. 작품에서 '깊이가 없다'는 평론가의 평은 그야말로 흔하디 흔한 평이 아닐까 싶습니다. 그러나 깊이가 무엇이냐는 질문이나 깊이가 있다 없다를 어떤 기준으로 가름할 수 있느냐고 질문한다면 평론가 자신도 쉽게 대답할 수 없을 듯합니다. 그러나 평론가의 평이 그 한 사람에서 그치지 않는다는 데 문제점이 있습니다. 평론가의 평은 아무런 비평이나 근거도 없이 언론을 통해 세상에 전파된다는 사실입니다. 그렇게 전파된 평은 일반인에 의해 아주 쉽게 인용될 테고 말이지요.

 

'그래 맞아, 나는 깊이가 없어'라고 생각하게 된 젊은 여인은 외출도 하지 않고 방문도 거부한 채 알코올과 약물 남용에 빠지고 맙니다. 어느 날 텔레비전 방송탑으로 올라간 여인은 139미터 아래로 뛰어내림으로써 생을 마감합니다. 젊은 여인의 그림에 대해 평했던 평론가는 젊은 여인이 그렇게 끔찍하게 삶을 마감한 것에 대해 당혹감을 표현하는 단평을 문예란에 기고합니다.

 

"사명감을 위해 고집스럽게 조합하는 기교에서, 이리저리 비틀고 집요하게 파고듦과 동시에 지극히 감정적인, 분명 헛될 수밖에 없는 자기 자신에 대한 피조물의 반항을 읽을 수 있지 않은가? 숙명적인, 아니 무자비하다고 말하고 싶은 그 깊이에의 강요를." (p.17)

 

이와 같은 낙인찍기는 우리 주변에서도 흔히 접할 수 있는 일이지요. 이명박 정권 시절의 환경부 장관이었던 이만의 씨는 "역사적 소명의식의 바탕에서 4대강 사업을 반드시 해야겠다는 신념으로 말씀드린다. 나중에 4대강 정비 사업이 잘못되면 책임을 지겠다."고 했습니다만 지금까지 그가 책임을 진 것은 아무것도 없으며 그 당시 4대강 사업을 반대했던 수많은 사람들을 배척하고 여러 단어로 낙인찍었던 사실에 대해서도 사과 한마디 하지 않았습니다. 좌파, 빨갱이, 용공... 저속한 언어로 상대방을 비난하고 언론을 통해 낙인을 찍어왔던 정치인이 어디 그뿐이겠습니까. 자신의 영달을 위해 전문가 입네 떠드는 이들이 우리 주변에는 너무도 많습니다. 고 노회찬 의원의 죽음에 대해서도 자살을 미화한다는 둥 온갖 잡설을 내뱉는 잊혀진 인물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